View : 537 Download: 0

「喪與소리」 硏究

Title
「喪與소리」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sang yes so ri : Based and centerd on consciousness of death
Authors
姜文順.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상여소리내세종교의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論文은 口碑 詩歌文學의 하나인 民謠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시가문학의 연구는 여러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대체로 記錄文學을 中心으로 이루어져 왔다고 보아진다. 그러나 민요가 우리민족의 共感帶를 이루고 전승되어 온 詩歌 形態라는 점을 생각할 때 시가문학에서 민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적지는 않을 것이다. 이 민요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민요의 조사 채록은 많이 되어 왔으나 그에 병행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현재까지 조사 채록된 자료만이라도 정리 해석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여, 그 하나로서 민요중의 하나인 「상여소리」를 대상으로 本 硏究는 시도되었는데, 민중속에서 생기고 전승되어 온 민요, 그 중에서 특히 죽음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고 있는 「상여소리」를 통해서 우리 민족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했으며 표현했는가를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상여소리」의 구성과 내용분석을 통해 죽음과 來世에 대한 意識을 살펴보았는데, 「상여소리」는 그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가) 發靷時 下直人事 (나) 평지에서 喪輿를 運搬할 때 (다) 빨리 가거나 험한길 갈 때 (라) 상여를 내려놓기 직전에 부르는 노래로 구성되며 이 구성 부분에 따라 내용과 長短의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여소리」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죽음에 대한 의식은 단절, 특히 이 세상과의 단절로 의식됨이 나타난다. 죽음은 다시 만남이 배제되기 때문에 이별과 구별되는 것이며 이것은 삶의 一回性을 강조한다. 여기서 보이는 삶에의 강한 집착은 現世 中心的 思考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현세중심적 사고는 특히 ①시간의 흐름을 부정하며 ②자연의 無限性에 對照되는 인간의 有限性을 의식하여 再生 與否에 따라서 자연의 生(또는 死)이 긍정되고 인간의 生(또는 死)은 부정되며 ③可視的인 것이 重視되어 諸神의 恩德보다 부모님의 恩功이 중요시되며 ④이 세상에서 복을 누리고 싶어하고 ⑤來世가 모호하게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죽음은 不可避한 것이며 누구에게나 공평히 찾아오는 것, 그리고 죽음은 누가 대신해줄 수도 없는, 단독으로 당하는 것이며, 죽음은 홀연히 온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來世에 대한 의식은 죽음에 당면한 인간의 관심이 現世로 향하고 있으므로 모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모호한 의식중에서 저승은 두가지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그 하나는 실제 공간, 즉 무덤이 의미하는 저승이며 또 하나는 관념적인 공간, 즉 彼岸의 세계로서의 저승이다. 이 두가지 양상으로 설정된 저승은 서로 對立을 보이지는 않고 함께 혼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 두가지 중 어떠한 공간으로 설정되든지간에 저승의 삶은 근본적으로 이 세상의 삶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Ⅲ장에서는 「상여소리」에 나타나는 지역별 특성과 종교의식을 살펴보았다. 「상여소리」를 지역별로 살펴본 바에 의해서는 각 지역간의 뚜렷한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全南지방의 「상여소리」에서는 他 地方과는 다른 특이한 점이 나타났다. 그것은 후렴으로 염불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과 그와 함께 내용에 있어서도 불교적인 색채가 濃厚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여소리」에서 볼 수 있는 죽음에 대한 의식은 現世中心的 思考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의식이 어떠한 宗敎的 心性과 聯關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여소리」와 유사한 내용과 형식을 가진 「回心曲」과 「오구굿 巫歌」와의 비교를 시도하여 보았다. 「回心曲」과 「상여소리」를 비교한 바로는 「回心曲」이 再生과 輪廻를 인정하고, 因果應報에 의한 審判思想이 나타나며, 來世에 대해 보다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는 차이점이 드러났다. 「오구굿 巫歌」와의 비교에서는 그 의식에 있어서 大同小異하게 나타났고 다만 巫歌에서 輪廻와 再生에 대한 믿음을 엿볼 수 있는 것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점은 우리 민중에 있어서 종교의식이 불교와 巫敎가 혼용된 상태로 수용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그러나 「상여소리」에서 볼 수 있는 세계관 또는 종교의식은 보다 巫敎에 密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This thesis is the study of 'folk song', which is one of the oral poetry literature. Mostly the study of Korean Poetry literature has been made on the documentary literature, but folk songs is a oral literature in which the public feeling has been reflected. And then the importance of folk songs in poetry literature should be enough to be emphasized. This recognition of necessrty of folk songs' study was resulted from many inquiries and records of folk songs. But the analyses of them almost has not been made.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is inquiries and records of meterials is necessary to analayze. As one of this work which, the arrangement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s,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analyze "Sang yeo so ri". By analyzing the "Sang yeo so ri" which is directly concerned in death, we could know how our ancester accept and understand and express the death. In chapter two, by analyses of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 of the "Sang yeo so ri", I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the death and the life after death. Accordingly the temporal sequence, "Sang yeo so ri" can be devided into four parts. (1) When a bier is carried out of the house, (2) When a bier is carried on the level ground, (3) When they go fast and go a rough road, (4) Just before taking down a bier. Each of the four parts contains particular contents and rhythms. And by analayse of the "Sang yeo so ri", the death-consciousness is appeard as the seperation, especially the seperation from this worl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et again after death, the death is different from the parting and the life is only once. This attachment to this world is expressed as the thought 'Centering around this life', which is presented as follows: (1) It denies the passage of time, (2) It recognize the limitation of man with the limitlessness of the nature. Because the rebirth is impossible to man and possible to the nature, the life of nature is consimilated and the life of man is denied, (3) As the things in sight is taken a serious view, it is considered that the favors of parents is more important than the favors of Gods, (4) In this world, it enjoys happiness, (5) The life after death is expressed ambiguously. And it is present that the death is inevitable and fairly visit every one and doesn't approve the substitute and suddenly come. As the man attach to this world, the life after death is expressed ambiguously. This ambiguous expression is appeared in two aspect. One is the real space, that is a tomb. The other is the ideological next world. Two aspect of the next world is appeared together without opposition. Whatever space out of two is fixed, the life of the next world fundamently is presented to be similar to the life of this world. In chapter three, I examined the local character and the religious consciousness, which is expressed in the "Sang yeo so ri". The obvious difference of the local character is not found in all but Jeon-Nam district. The "Sang yeo so ri" of Jeon-Nam district strongly have on a buddhist color in their content and contains a refrain which usually is a buddhist invocation. To examine how the death-consciousness being based on the thought centering this world relats to religious nature, I attempt to compare the "Sang yeo so ri" with "Hoi-Sim Kog" and "O - gu gud mu ga". In the "Hoi - Sim Kog", the following thing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ang yeo so ri" is appeared ; the rebirth and the constant mutation is approved, the judgement by retribution is presented, and the next world is more important than this world. Comparing the "Sang yeo so ri" with the "O-gu Gud mu ga", the consciousness is similar, but the belief about the constant mutation and rebirth is expressed in "O-gu gud mu ga". The above explanation says that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our public is accepted with the Buddhism and the Samanism. But it could be decided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r the world view of the "Sang yeo so ri" is more closely to saman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