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崔良美.-
dc.creator崔良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5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3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37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cludes two themes as follows: 1. Education, as a continuous process, must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the context within which it occurs. 2. Education cannot be understood by only speculative analyses, and it must be ana lysed on the basis of empirica1 data. The Education has been thought as a cultural process which is related with cultural transmission and cultural clwge in the context of whole cultural system, and formal school system has been interpreted as subsystem which belongs to whole cultural system. Formal school system, as a subsystem, relates wi th the other systems around itself, affects on them and is conditioned by them. On the other hand, as a cultural system which consists on the elements such as particular sites and interacting members, stated goals, and the role relations in terms of which the goals are translated into action, it constitutes a intrinsic complex process. As a research method for understanding educational systems and processes, educational ethnography has been suggested. The method of educational ethnography which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fieldwork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area of cultural anthropology concerns with real practices and its meanings in schools and classrooms,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ose, taking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is approach, generally assuming structural-functional, ecological and sociopsychological frameworks, observes the actions and roles of individuals or social transactions in class rooms and schools at the micro level. At the macro level, it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between cultural needs of a nation and subject matter in school. Several types of ethnographic research have been forming and developing in the area of educational anthropology. However, for the deeper understandings on learning activities and educative processes, a diachronic approach at the traditional level will be required as well as a synchronic approach in this study. Ethnography offers basic informations for the deep understandings of education, and anthropological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research may be useful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국 영문초록 수록;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주제를 다루었다. 1. 교육은 계속적인 과정으로서, 그 과정이 일어나고 있는 전체 맥락과의 관련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2. 교육은 순수사변적인 분석만으로서는 이해될 수 없고,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하여서 분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육을 전체 문화체계의 맥락에서 문화전달, 문화변동과 관련된 문화과정으로 생각하고, 학교를 전체 문화체계에 속해있는 하나의 하위체계로서 해석하였다. 학교는 하위체계로서 학교 외부의 다른 문화체계들과 관련을 맺고 제약을 받으며, 또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반면, 일정한 공간, 상호작용하는 구성원, 진술된 목표, 행동을 통해서 목표를 수행하려는 역할 관계 등의 요소를 갖춘 문화체계로서 내적으로 복잡한 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체계와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방법으로서 교육민족지법을 다루었다. 교육민족지법은, 문화인류학의 현장조사·참여관찰 등의 연구방법을 도입하여서, 교육현장인 학교와 교실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과 그 의미탐구에 관심을 가지면서, 한편으로는 그것들을 학교를 둘러사고 있는 전체 사회문화적인 환경과 관련시켜서 이해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구조기능론적, 생태학적, 사회심리학적 이론의 틀을 가정하고서, 미시적으로 교실이나 학교에서 개인의 역할과 행동, 사회적 관계를 중점적으로 관찰하거나, 혹은 거시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 국가적 수준에서 문화적 요구와 교육의 관계 등을 현장관찰의 기록에 의거하여 분석하려고 시도하는 연구방법이다. 이런 접근은 교육인류학이라는 학문적 테두리에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성립, 발전되어 가고 있는데, 학습활동이나 교육의 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다룬 共時的 접근 이외에, 전통적 수준에서의 通時的 접근이 보완되어야 하겠다. 이런 접근법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결과들은 교육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화의 개념과 교육인류학적 관점 = 5 A. 문화체계이론 = 5 B. 문화과정으로서의 교육 = 9 C. 교육문제와 인류학적 탐구 = 25 Ⅲ. 교육민족지에 의한 인류학적 연구방법 = 32 A. 교육민족지의 작성 = 34 B. 교육민족지법에 대한 검토 = 42 Ⅳ. 요약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1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敎育人類學的 硏究方法에 關한 一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tudy on educational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
dc.format.pagev,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