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崔潤-
dc.creator崔潤-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3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0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089-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to elucidate a concept of rationality based upon introducing irrationality in rationalization process at former industrial society and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ity of an individual activity and a society. The maaning of rationality of the Enlightenment theorists in the 18 century has been changed through transition of time. The meaning is so various that sometimes, it includes a discrepant meaning and we cannot well understand the significance without supplementary explanation on it. Therefore, we cannot find out the most accurate and proper significance of it now. I aim at enumeration of various meaning of it and explicating the relations among them. Many sociologists agree upon that the modern society undergoes a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rat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but they have the different significance of irrationality in the process. Some sociologists advocate that the object of a social system has to be established and rationally to be realized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They say that technological rationality necessitates to impose some restriction upon substantial rationality of an individual activity, and it has a irrational characteristic as a fundamental principle--paralizes autonomous power of thinking, insist that social rationality must be a synthesis of industrial rationalities in social relations and a capability to be able to meet ultimate desire of an individual. Some one emphasizes more individual autonomy than maintenance of social order in making a desirable society, and vise versa. According to one's emphasis, he has different evolution in explanation of social rationality. When we visualize a model of a desirable society, we have to assume that rationality of an individual activity and social rationality are able to be materialized only under the existence of the other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an adequate standard of harmonization of two-rationality. As it was significant to examine good harmonization of both technological and substantial rationalities and relationship of rationality of both individual activity and society, I tried it in this paper.;이 論文은 現代社會의 合理化 과정속의 非合理性 問題를 제기하는데 있어서 準據가 되고 있는 合理性의 槪念을 밝히고 個人의 合理性과 社會의 合理性이 어떤 관련하에서 說明되고 있는가를 밝혀 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18C 계몽주의학자들에 의해 精巧해진 合理性 槪念은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그 意味가 다양해져서 서로 상충적인 의미가 함께 내포되어 이제는 合理性 앞에 다른 표현을 결합시키지 않고는 그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심지어는 동일한 著者의 저술에서 어떤 社會가 한가지 점에 있어서는 合理的이라고 기술되고 비난되면서 다른 부분에서는 個人의 合理性을 방해하거나 억압한다는 의미에서 非合理的이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合理性 槪念의 다양성을 열거·비교하고 서로 관련시켜 고찰해 보았다. 合理性 槪念에 대한 당야한 說明方式 중에서 個人行爲의 合理性을 설명하는 방식을 세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個人行爲의 實踐的 合理性은 行爲主體가 目標를 가지고 행위했을 때 나타난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그리고 추구하는 目標가 추구하기에 합리적인가를 □□□□ 알고 目標達成을 위한 意識的인 手段選擇을 하는 경우에 실천적 합리성이 나타난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것을 形式的인 實踐的 合理性(formal-practical rationality) 이라 한다. 행위자가 자신의 目標가 추구하기에 합당한가를 고려하면서 目標達成을 위한 의식적인 수단 선택을 하는 경우에는 형식적인 실천적 합리성과 구분하여 實質的인 實踐的 合理性(Substantial-practical rationality)이라 한다. 그리고 실천적 합리성의 강력한 기준에는 목표 수단관계를 고려하는데에 論理的·經驗的 검증가능성이 추가되고 있다. 그런데 어떤 行爲를 合理的이라고 규정할 때는 行爲主體에게 合理性을 부여하기도 하고 非人格的인 의미(impersonal sense)에서 合理的이라고 규정하기도 한다. 후자는 個人 行爲者 자신의 目標가 아닌 外婦에서 주어진 단일의 目標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조건들을 만족시켰을 경우에 合理的이라고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技術的인 合理性이라 한다. 이러한 糾正方式과 관련하여 制度나 社會를 合理的이라고 할 때는 個人의 合理性을 촉진시키는 경우에 合理性을 부여하는 입장이 있고, 社會의 合理性이란 個人의 合理性과는 별도로 존대한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후자에서는 社會體系의 維持를 위한 技術的인 合理性을 주장하고 있다. 社會의 合理性이 個人의 合理性과는 별도로 존재한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社會가 維持되기 위해서는 社會體系자체의 目標가 설정되어 그것이 合理的으로 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 體系자체의 技術的인 合理性은 흔히 個人行爲의 實質的인 合理性에 대한 다소의 억압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社會體系의 기술적인 合理性은 個人行爲 □□□□ 억압하여 가면서 非人格的 특성을 띄게 된다. 이러한 社會體系의 合理性이 官僚制的 경영과 연결된다. 官僚制的 경영을 행하는 조직에서는 고도의 效率性(기술적 합리성)을 얻기 위하여 個人의 실질적인 合理性을 억압하여 간다. 社會의 諸조직은 하나의 體系가 기능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합리성을 끊임없이 추구하기 때문에 個人으로 하여금 技術的인 思考만을 하도록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社會體系의 技術的 合理性이 個人으로 하여금 자율적으로 思考하는 능력을 마비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社會的 合理性이란 사회관계 속의 個人合理性의 총합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人間은 본질적으로 合理性을 추구할 능력이 있는데 이 能力을 社會體系가 왜곡시키고 있으므로 인간의 잠재력이 자유롭게 발휘될 수 있는 社會를 合理的인 社會로 보는 입장이 있다. 바람직한 社會를 이루는 데 있어서 個人의 自律性과 社會秩序의 維持 두가지중 어느 것을 더 강조하느야에 따라 社會의 合理性에 대한 論理 전개방법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바람직한 社會像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個人行爲의 合理性, 社會의 合理性 이 두 형태는 현실적으로 相對의 存在下에서만 成立될 수 있다는 것을 前提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두형태의 合理性의 적절한 調和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기란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바람직한 社會發展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個人行爲의 合理性, 社會의 合理性의 적절한 관계, 그리고기술的 合理性과 實質的 合理性의 적절한 調和를 위하여 合理性의 說明方式을 조명해 보는 일은 의미있는 일로 생각되어 이 글에서 시도해 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머릿말 = 1 Ⅱ. 個人의 合理性과 歸屬方式 = 6 A. 個人行爲의 合理性 = 6 B. 社會的 人間으로서 個人의 合理性 = 15 Ⅲ. 社會의 合理性 = 27 A. 社會體系의 合理性 = 28 B. 個人의 총합으로서 社會의 合理性 = 35 C. 人間本質과 社會의 合理性 = 41 Ⅳ. 맺음말 = 51 參考文獻 = 54 英文抄錄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8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合理性理解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