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5 Download: 0

李朝後期 貢人權에 關한 硏究

Title
李朝後期 貢人權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ngin's privilege in the late Yi dynasty
Authors
鄭亨芝.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이조후기공인권공인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Kongin (貢人), who made their appearance as merchants supplying necessities to the government with the enforcement of Taedongbop (大同法), were paid a large amount of Kongga (貢價) which reached 300,000 sok (石) annually and provided Kongmul (貢物). The Kongin were done rather great favor because they were the merchants supplying necessities to the government. For this reason the role of the Kongin was recognized as one ensuring privilege which carried with it a fairly large profit, The Kongin were also considered as part of the middle class. But though the privilege was institutionally secured, it contained many controversial problems in practice.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substance of the Kongin's privilege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 The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Kongin's privilege, examining who could perform the role of the Kongin continually and make their appearance as economically strong men, and under what circumstance they could do so. The government authorized Kongin classes were that of the general citizen (都民) without an existing occupational tradition, the hereditary-settled merchant (市廛商人), the artisan and the Gwansok (官屬 : the petty offcial and the public servant) those who combined the existing occupation with the role of Kongin. Of these people, the Kongin who had financial ability from the first and who carried out their existing occupations on the side could persue profit to the best advantag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ngin, the government secured sufficient Kongga and guaranted the Kongin's privilege (貢人權), Because Kongga was paid sufficiently (優給), in advance (先給), and paid above the current price of commodities (從貴上下), and moreover because the government guaranteed and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Kongin, the Kongin were assured large profits. However, in the process of actual management of the Kongmulpinap system (貢物備納制), there was much corruption (貢弊). Corruption increased the debt of the Kongin and withered the Kongin's privilege. For these reasons, it was impossible for the petty Kongin to perform their roles. As a result many of the lesser Kongin went bankrupt. The Kongin who had financial asserts, though there were miscarrages in payment of Kongga, could supply Kongmul. Therefore the shrinking of the Kongin's privilege was not a serious obstacle for them and through their privilege they could accumulate sofficient wealth. There is a common belief that the Kongin could grow into Kongin capitalist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Actually exercizing the Kongin's privilege could not escape its eventual demise. We can conclude that the petty Kongin ended in ruin, but that the Kongin who had financial reserves from the first, their roles as Kongin could amass a large fortune by performing.;大同法 實施에 따라 官需品 調達商人으로 등장한 貢人은 年間 30萬石에 이르는 거액의 貢價를 지급받고 貢物을 調達하였는데, 그들의 활동은 당시 商品貨幣經濟의 進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었다. 貢人이 支給받는 貢價의 규모 및 官需品 調達商人이란 점 때문에 누리는 많은 혜택등으로 인해, 貢人役은 상당한 利潤이 수반되고 特權이 보장된 자리로 인식되어 왔고 貢人을 中間階層의 존재로 파악하기도 했다. 本稿에서는, 制度的으로 a障된 特權도 실제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다고 보고, 貢人이 보장받는 貢人權의 特權의 내용과 그 變化過程을 살펴보았다. 그래서 制度的으로 보장된 貢人權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그 역할을 계속 수행하여 경제적인 실력자로 등장할 수 있는 계층은 어떤 경우인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貢人으로 設定된 계층은 종래 職業上의 전통이 없던 一斑 都民과, 종래의 職役을 계속하면서 貢人役도 겸한 市人·匠人·官屬등이었는데, 이들 중에서 貢人으로 된 당시부터 財力이 있던 자나 貢人役을 生業으로 삼지 않고 다른 생계수단도 가지고서 貢人役을 수행하는 者의 경우가 보다 유리하게 貢物을 備納하여 利를 축적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貢物備納制의 實施에 따라 충분한 貢價를 확보해 놓고 制度的으로 貢人權을 보호하였다. 貢人의 活動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貢人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는 特權을 베풀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貢價의 優給·先給 및 市價가 貴한 物種으로의 貢價 支給등은 貢人에게 많은 利潤을 보장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유리한 조건 때문에 貢人權은 재산과 같이 취급되어 자손에게 傳授되거나 타인에게 상품처럼 매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貢物備納의 실제 운영과정에서 많은 貢弊가 발생하여 貢人權을 침해하였다. 이 貢弊가 그와 유사한 문제점등은 貢人의 負債를 加重시키고 貢人權을 萎縮시켜 영세한 貢人은 계속하여 貢人役을 수행해 나가지 못하고 파산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貢人 스스로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 貢弊로 인해 貢價支給에 차질이 생기더라도 무리없이 貢物을 調達할 수 있게 될 경우는, 貢人權 萎縮이 큰 장애가 되지 않았고, 계속하여 貢人役을 수행해 나갈 수 있었다. 또 나아가 그들은 貢人權을 통해 상당한 利潤을 축적해 나갈 수 있기도 했다. 이렇게 볼 때, 일반적으로 인식하듯이 상당한 특권인 貢人權을 통해 貢人資本家로 성장이 가능했다고 하는 貢人權이란 것도 실제에 있어서는 많은 침해요소로 인해 萎縮되어 있었다. 때문에 이러한 貢人權 變化로 인해 영세한 공인은 沒落의 길을 걷게 되지만 애초에 經濟的 餘力이 있던 者로서 貢人이 된 경우는 이와 무관하게 무리없이 貢人役을 수행하여 상당한 富를 축적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