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성.-
dc.creator김인성.-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3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370-
dc.description.abstractI.A. Richards has been widely credited with "the creator of modern literary criticism". He has had a great influence upon modern criticism with the publication of 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in 1924. I.A. Richards begins his literary theory by criticizing the previous critical activity. First of all, Richards thinks that the very language of criticism causes misunderstandings because its vogue, often deceiving vocabulary. For examples, critics often speak of objects of art as if the objects themselves possess qualities, Where as what they should say is that the objects evoke effects in us. To offset these impediments, Richards insists that valid criticism is contingent upon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xperience and the formulating of an acceptable theory of valu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arts. The first of these topics, "experience", is approached purely psychologically. And, he urges the simlarity between the world of poetry and the real world and fears that any separation of poetic experience from life results in imbalance, narrowness, and incompleteness in advocators of the "aestheticism". After attempting to suggest succunctly the nature and effect of experience, Richards moves on to the two topics with which he is most concerned, valuation and communication. The arts, he says, are our "storehouses of recorde values". And for value in the arts to be perceived by the spectator there must, of course, be effective communication. Richards states that not only are the arts communicative, but they are "the supreme form" of communication. After probing these "fundamental" problems,-the nature of experience, the essence of valu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arts-Richards turns his attention more specifically to the practicing critic of poetry. He insists the good critic must know what poetry is. One of the reasons for so much backward criticism, Richards believes, is that the critic simply does not know what he is judging. He needs a workable definition of poetry, and Richards offers one by defining poetry as a group of experiences which differ only very slightly from a "standard experience". In Richards' view the reader's involvement is necessary for completion of the poetic experience. These four topics, -experience, value, communication, and the definition of poetry- are the major concerns of Richards' literary criticism. I think that almost all modern critics has been influenced by his critical theory and method because of its penetrating study of experience, value, and communication and its clarification of the definition of poetry.;I.A. Richards는 현대비평의 창시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전의 비평활동이 주관적 감상에 치우쳐 있는 것을 비판한 Richards는 현대의 새로운 학문인 심리학 의미론 및 언어학 등을 비평이론에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전개하려고 했다. Richards는 비평에 있어서의 근본문제를 경험간의 차이를 식별하고 그것을 평가하는 것으로 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경험의 본질과 가치 그리고 전달이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Richards는 Kant 이후의 근대미학이, 예술경험이란 일상의 경험과는 다른 별개의 경험이라고 주장했던 것에 반대 했다. 예술경험은 일상의 경험과 연속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한 그는 경험의 차이를 단지 체제화의 정도로서 구분하려고 했다. 이런 그의 입장에서는 시적 경험이란 일상경험에 비해 더 조직적이고 질서가 잡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경험에 대한 Richards의 이러한 입장은 심리학적인 기반위에서 생긴 것으로, 그는 가치를 설명할 때에도 여기에 근거하고 있다. 가치의 문제는 더 이상 궁극 개념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의 기본 입장이다. 더욱 실용적이고 실증가능한 정의는 심리학에서 얻어올 수 있다고 본 Richards는 가치란 우리의 충동을 좌절시키지 않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좀 더 질서가 잡히고 조직화된 상태로 이끌 수 있다면 가치있고 성실하다고 보았다. 예술의 가치는 바로 이 체제화가 가능한 상태로 이끈다는 점에 있다고 Richards는 주장했다. 그에게 있어 예술의 가치는 그 전달 가능성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예술이란 과학과는 달리 정서적 언어를 사용하여 태도의 조정에 기여한다고 본 Richards는 정서의 내용보다는 그 구조에 중점을 두어 강조했다. 잡다한 충동과 경험이 하나의 단일 구조로써 나타나는 예술이야말로 바로 그 종합의 형식으로 말미암아 전달의 최고형태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이 전달하는 것은 과학적 진·위의 문제와는 무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논리실증주의의 절대적 영향하에서 Richards는 시를 과학적 진·위 문제와 분리시킴으로써 그것을 옹호하려고 했다. 그의 가진술이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야 할 것이다. Richards의 주장은 현대비평의 중요한 논점중의 하나로 부각되었으며, 특별히 신비평계열의 비평가들이 이 문제를 중점적으로 토의했다. Richards는 후기로 가면서 시와 과학의 날카로운 대립을 완화시키는 입장이 되었다. 그는 신화라는 개념으로 시와 과학의 통합을 시도하고 그런 중에 시의 가치를 강조하려 했다. 전반적으로 Richards는 초기의 객관적인 태도에서 어느정도 벗어나 후기에 이르러는 시의 역할이 종교나 형이상학등을 대신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비평이론의 근본 문제 = 6 A. 경험의 연속성 = 6 B. 가치 이론 = 17 C. 전달의 중요성 = 28 Ⅲ. 시에 대한 구체적 논의 = 36 Ⅳ. 결론 = 60 참고문헌 = 63 영문초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61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비평이론-
dc.subject경험-
dc.subject가치이론-
dc.titleI.A.Richards의 비평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I.A.Richard's Criticism-
dc.format.pagev,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