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金春洙 詩에 나타난 <빛>, <물>, <돌>의 이미지와 想像力의 秩序

Title
金春洙 詩에 나타난 <빛>, <물>, <돌>의 이미지와 想像力의 秩序
Other Titles
(The) Image of "Light", "Stone", "Water" & the order of imagination in Kim Choon-Soo's poerty
Authors
신정순.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무기물유기물상상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literary works by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is to elucidate vividly a poet's act of consciousness in the most literary and substantial way by studying the images' criss-crossing and unifying order with the metaphysical meaning in addition to disclosing the thematic images.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thesis to disclose the order of imagination of Kim Choon Soo's poetic world, the tendency of which is objective and surrealistic.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chapter Ⅰ, the conception of phenomenological cognition in philosophy, its related conception in literature. and the necess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Kim's poetic world are observed. In chapter Ⅱ, the concrete method to be displayed in this thesis is suggested by studying the poet's main consciousness and imaginative order through his poem before attempting to study the whole perspective of Kim's poetic world. Then, in chapter Ⅲ, Ⅳ, Ⅴ, It is studied how the materialistic imagination about , , in his poem has been developed through his whole poetic world by the poet's concrete act of consciousness. The image of mentioned in this thesis can be understood as the idealistic world, unreachable and the positive world with the purpose of gasifying and luminating the objects. And the image of shows us the present tragic situation by constructing the space of imagination, which solidifies the objects. And the image of has the duality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nd plays the intermediate role between the images of and . In chapter Ⅵ, it is studied that the imaginative space of opposite relations in , , has been substantiated by the unification of the poet's peculiar axes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poen and free imagination). In conclusi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poet possesses the poetic depth by unifying the chapters of conflict, to the chapter of reconcilation, with the shift of time axis, and and with the shift of space, .;現象學的 方法에 依해 文學作品을 分析해본다는 것은, 主題가 되는, 이미지들을 밝혀보는 것 이외에 그것들이 서로 交叉·結合하는 想像力의 秩序를 그 形而上學的 意味에까지 살펴봄으로써 詩人의 意識行爲를 가장 文學的으로 그리고 가장 本質的으로 생생하게 드러내고자 하는데 있다. 本考에서는 事物詩的 그리고 Surrealism의 詩 傾向을 지니고 있는 金 春洙의 詩世界를 現象學的 方法에 의해 分析해봄으로써 그의 詩世界의 主題를 밝히는 상상력의 질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Ⅰ章에서는, 哲學에서의 現象學的 認識論의 槪念과 이것과 관련한 文學에서의 현상학의 개념, 그리고 金 春洙 詩世界에 대한 현상학적 조명의 必要性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Ⅱ章은, 春洙 詩世界의 全體的 眺望을 꿰하기 앞서, 詩 <꽃의 素描 1>을 通하여 詩人의 主된 意識과 想像力의 秩序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전개할 具體的인 方法論을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Ⅲ, Ⅳ, Ⅴ章에서는 本格的으로 Key poem에서 살펴본 春洙 詩人의 <빛>, <물>, <돌>에 대한 물질적 상상력이 全體 詩世界에서 어떻게 展開되고 있는가를 作家의 具體的인 意識行爲를 分析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여기서 <빛>의 이미지는 對象을 氣體化, 光彩化하려는 의식에 의해 주로 肯定的인 世界를 표상하는 것으로, 도달할 수 없는 理想的 世界를 構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의 이미지는 대상을 石化하려는 想像空間을 構成하여 悲劇的 現實世界를 보여 주며 <물>의 이미지는 肯定과 否定의 二價性을 지니면서 <빛>, <돌>과 교란하는 매개적 역할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각각 詩人의 志向的 意識이 對象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갖는 存在論的 形而上學的 意味를 탐구해 본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 Ⅵ章에서는 <빛>, <물>, <돌>의 對立關係의 想像空間이 詩人의 獨特한 時間軸와 空間軸(개방된, 자유로운 상상력에 의한)에 의해 서로 統合되어 나타나는 것을 考察하였다. 이리하여 詩人은 <子正(밤)의 時間>과 <幼年期로의 復歸>라는 時間軸의 移動과 <바다로의 旅行>이라는 空間軸의 移行을 꿰하여 <빛/물·돌>이라는 葛藤의 場을 <빛×물(돌)>이라는 和解의 場으로 統合하여 <詩的 깊이>를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