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한국여자교수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여자교수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of women professors in korea
Authors
신은숙.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성역할여자교수역할갈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factors of role conflict caused from dual roles in a group of professional women in Korea and then to clarify what the proper solutions may be. The basic roles are learned through the process of early socialization. It will establish in theory that specialization in sex roles between men and women is learnt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n the basis of social norms and tradition rather than directly determined by physical factors. Women's role in a patriarchal society like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being passive and dependent, and their activities are confined to the inside of home. Recently, however, increasingly a large number of women are assuming heavy burdens as working wives/mothers. In special, those women who have higher professional jobs are suffering from difficulties between roles as a professional and as a housewife. Accordingly, serious role conflict is expected to arise from the duality of role.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roblems of role conflict among Korean professors, arising from the performance of their professional and familial roles. Women professors in Korea are on the average of younger a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en, and have shorter years of experience. This is because women began to enter the particular profession fairly recently and tend to retire earlier from their accupation than men. Women professor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the fields of home economics, nursing science, art and linguistics or literature. This tendency is very similar to the major fields in which female college students are concentrated. And many of women professors are distributed in schools of lower prestige than those of men, and are located in lower positions. In the performance of professorship, women fall behind men in the degrees they hold a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but show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hours of classes they are in charge. This indicates that though women fall behind men in Qualifications and in research activities, they bear the same burden with men in teaching students.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the ratio of single women in greater than that of men. It can be said that this tendency may be an indirect expression of role conflict between work and home-making. In order to deal with the subject matter of role conflict,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mailed to 500 women professor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based upon the 209 cases. It shows that they think their profession is in general a prestigeous one with relatively high social recognition. They also think that they have ample apportunity to display their ability, but they are too busy to enjoy leisure. They recognize that they fall behind their fellow male professors in qualifications and in the sense of calling. Howe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profession is very high to the degree that they would like to recommend their daughters to become professors. Those who are married have 2.35 children on the overage,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 rearing of children necessitates help from parents and/or employed domestic helpers. Women professors feel that their husbands and children show a neutral attitude toward their having a job, but express satisfaction with the fact that they are professors. On the other hand most respondents feel that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in the family as wife, mother and daughter-in-law is dissatisfactory. The seious problems they feel in performing their professorship are the shortage of time to study, child-rearing and education, and to secure a domestic helper. All these problems are originated from their dual roles. Women professors always feel guilty toward their family members from their having a job, which gives them a great psychological burden, thus strengthening the stress from role conflict. A woman professor herself has a strong sense of obligation to perform the role of a housesife as good as other nonworking housewives. A new kind of family system with redifind roles may help solving their problems. In special, it is significant that women should have correct understanding and view of value of role of herself in the society. It is also desirable that women as well as men have alternatives of life style among which they can choose freely and become satisfied with the role they chose.;본 논문은 한국 전문직 여성의 이중 역할 부담에서 오는 역할갈등의 내용과 그 요인 그리고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하는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기본적인 역할의 학습은 사회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남녀간의 역할분화는 남녀의 신체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사회규범, 전통에 기반하여 사회화과정을 통해 학습된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한국의 전통적인 사회규범을 포함한 가부장적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은 소극적이고 의존적이며 여성의 활동무대는 가정속에 제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발해짐에 따라 직업 여성들은 가정인으로서의 역할수행의무에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수행의무가 가중됨으로서 이중역할수행에서 오는 무거운 짐을 지게 된다. 특히 전문직여성의 경우 다른 분야에 비하여 직업인으로서의 역할과 가정주부의 역할을 병행시키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중역할수행에서 오는 역할갈등은 더욱 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의 대표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대학교수직에 종사하는 여자교수들을 대상으로 역할갈등의 문제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여자교수들은 남자교수들에 비하여 볼 때 평균연령이 낮으며 경력연수도 짧다. 이는 여자들의 교수직에 진출한 것이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남자교수보다 일찍 퇴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여자교수들은 대부분 가정학계, 간호학계, 예술학계, 어문학계에 집중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여자대학생의 집중분포경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남자교수보다 낮은 지위의 학교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학교내에서도 낮은 직위를 차지하고 있어 질적인 면에서의 열세를 보인다. 교수직수행에 관한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교수직 수행능력에 있어 학위정도와 발표한 논문, 저서의 수에 있어 남자교수보다 뒤떨어지나 담당수업 시간수에는 별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즉 교수로서의 기본자질과 연구활동은 뒤떨어지나 학생가르치는 일에서는 대등한 위치임을 나타낸다. 혼인상태별 비교를 보면 여자교수는 미혼율이 남자교수보다 높아 여자교수는 남자교수보다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여자의 경우 직업과 가정의 역할갈등 문제에 대한 간접적인 표현이라 볼 수 있다. 역할갈등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 500명의 전국 대학이상의 여자교수에 설문지를 우송하여 209명으로부터 회송된 설문지자료를 분석했다. 설문지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들을 보면 여자교수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시간의 여유가 없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동료 남자교수에 비해 능력이나 직업의식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직업만족도는 대단히 높으며 딸에게도 교수직을 권장하겠다는 의견을 나타낸다. 여자교수들의 배우자 직업은 교수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중류이상의 경제능력을 가지고 있다. 자녀수는 평군2.35명으로 전국평균보다 낮은 분포를 보이며 어린자녀의 양육에는 가정부와 양쪽 부모의 도움이 절대적 필요조건인 것으로 나타난다. 자녀와 남편의 여자교수직에 대한 태도를 보면 어머니나 부인이 직업을 가진 사실에 대하여는 중립적 태도를, 교수직에 대하여는 만족하다는 태도를 가진 것으로 교수들은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 내에서의 자신들의 어머니로서 부인으로서 며느리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하여 약간 부족하다고 느낀다. 교수직수행에 있어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들은 직업적 측면에서는 연구시간의 부족이라는 점이며 가정적 측면에서는 자녀양육과 교육문제, 가정부 문제 등이다. 이는 여자교수들이 직업인과 가정인으로서의 이중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들의 시간과 비용을 양쪽으로 분해야만 하는데서 기인하는 것이다. 여자교수들은 항상 그들이 직업을 가졌기 때문에 가정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생각에서 가족에게 죄의식을 느끼는데 이것 또한 커다란 심리적 부담감을 줌으로써 역할갈등에서 오는 긴장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는 여자교수들 자신이 사회화를 통하여 가정인으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내면적인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제도적인 변화, 특히 새로운 가족제도의 모색이 있어야 하겠으며 이와 동시에 전통적인 성역할개념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의 가치관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특히 여성들이 스스로 자신의 역할에 대한 뚜렷한 재인식과 가치관을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