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梁惠蓮-
dc.creator梁惠蓮-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76-
dc.description.abstractGroup influence is a psychological force operating upon a person to fulfill others' expectation of him, conformity is a change in behavior or belief toward a group as a result of real or imagined group pressure. Conformity as a response to group influence has been widely researched from M. Sherif to the most recent investigators. But it is in confusion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integrate with the empirical results. Thus, this study will integrate the conformity researches, and also survey empirically the conformity phenomena in four groups of Korea society. A survey employing questionnaire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t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Conformity as a response to group influence is revealed in a high level. 2. Status orientation is in par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nformity. 3. Rewarded experience in the past for nonconforming or for innovative behavior is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formity. 4. Characteristic of the task is the main variable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conformity. Thus, when a task is difficult and ambiguous, conformity is found in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a task is perceived an important thing to the respondent, conformity is revealed in a low level.;국 영문초록 수록;집단영향력은 개인이 다른 사람의 기대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심리적 동력이며, 순응은 집단의 압력이란 그것이 구체적 존재상태이든 막연한 가상적 상태이든지 상관없이 그 결과로 인해 발생한, 개인의 집단에 대한 행동 혹은 신념체계의 변화이다. 집단영향력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순응을 관찰한 연구는 Sherif 이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져 왔으나 개념적 틀과 실증적 결과들을 통합하는데 있어 많은 혼란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영향력에 대한 순응 연구들의 통합을 시도함과 동시에 한국사회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4개 집단군을 선정하여 순응현상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고찰을 위하여 이제까지 서구에서 이루어진 틀(framework)에 한국사회의 심리문화적 메카니즘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서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상의 실증적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영향력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순응은 높은 정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지위지향성과 순응과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긍적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세째, 개인이 과거 비순응행동으로 인하여 받은 보상의 경험과 순응과의 관계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네째, 과업의 특성은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서, 과업이 어렵고 애매모호한 경우에 있어서 순응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과업이 응답자에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될 경우 순응은 낮은 정도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머리말 = 1 A. 문제의 제기 = 1 B. 본 논문의 구성 = 3 Ⅱ. 이론적인 배경 = 4 A. 개념의 정의 및 초기 연구의 고찰 = 4 1. 개념의 정의 = 4 2. 집단 영향력과 순응에 관한 초기의 연구 = 9 B. 순응연구의 통합을 위한 접근 = 12 1. 집단영향력의 본질 = 13 2. 순응하게되는 동기와 순응에 개입하는 변수 = 15 3. 집단영향력 행사시도의 결과 = 31 C. 가설의 도출 = 33 1. 가족주의적 특성과 순응과의 관계 = 35 2. 지위지향성과 순응과의 관계 = 39 3. 개인의 과거 비순응적 행동으로 인한 보상경험과 순응과의 관계 = 40 4. 과업의 특성과 순응과의 관계 = 41 5. 가설의 설정 = 42 Ⅲ. 방법론 = 44 A. 주요변수의 선정 및 조작적 정의 = 44 1. 순응의 조작적 정의(conformity) = 44 2. 지위지향성의 조작적 정의 = 44 3. 개인의 과거 비순응행동으로 인한 보상경험의 조작적 정의 = 44 4. 과업특성의 조작적 정의 = 45 B. 질문서의 작성 = 45 C. 조사대상의 선정 = 47 D. 조사의 실시와 자료의 분석 = 48 Ⅳ. 결과와 토론 = 50 A. 가설의 검증과 결과의 해석 = 50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50 2. 한국사회에서의 순응의 정도 = 53 3. 한국사회에서 지위지향성과 순응과의 관계 = 58 4. 개인의 과거 비순응행동으로 인한 보상의 경험과 순응과의 관계 = 65 5. 과업의 특성과 순응과의 관계 = 68 B. 토론과 연구의 한계 = 74 C. 본 연구의 유용성 = 77 Ⅴ. 맺는말 = 80 참고문헌 = 82 부록 = 91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90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집단영향력-
dc.subject순응현상-
dc.subject실증-
dc.subject집단군-
dc.title集團影響力에 대한 順應現象의 實證的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4개 集團群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n) empirical study of conformity phenomena to group influence-
dc.format.pagev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