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得姬.-
dc.creator姜得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8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460-
dc.description.abstract醫療란 두 가지 측면 즉 生理學的(biophysical)면과 人間科學(human science)을 함께 다룬다고 보겠다. 韓國의 지역사회 의학(community medicine)은 汎 文化的으로 적용되는 生物 醫學的 접근 방식(biomedical approach)으로 현지에 들어갈 때 농촌 주민들의 文化에 통합되어있는 民族醫療(ethno-medicine)와의 갈등 내지는 변형된 수용과정을 겪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먼저 한국 전통 문화에 통합되어 있는 민족의료가 무엇인지를 보고자 했으며, 汎 文化的으로 적용되는 現代醫學을 한국의 농촌 주민들의 醫療行態를 통하여 어떻게 갈등 내지는 수용하게 되는지를 상징주의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먼저 전통 의료를 다루는데 있어서 우리의 전통 의료는 두 가지 틀로 區別할 수 있겠다. 첫째, 무속 신앙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초자연주의적 질병관으로 不淨의 認識이 病原學的으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두 번째가 음양오행설과 四象醫學과 같은 한의학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의 病原學은 外因과 內因으로 나누어지며 자연주의적 病原觀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사회가 身分的 이중구조를 이루어 문자를 해독하는 지배계급은 한의학에 더 밀착되어 있었겠으나 문맹인 대부분 서민들에게는 무속 의료에 더 접근되어 있다고 보아 본 논문은 不淨의 認識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의료를 보고자 했다. 그리고 소폭적이긴 하지만 깊이 있는 조사를 위하여 연구대상을 육아과정으로 국한하였다. Douglas와 Leach는 不淨에 대한 認識이 A에서 not-A로 넘어갈 때 그 경계지역에서 발생하며 A와 not-A는 세속적(secular)인데 그 경계 지역은 신성한(sacred)영역으로서 不淨에 민감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境界를 어떻게 범주화하느냐 하는 것은 각기 文化마다 相異하리라고 볼 때 이들의 이론이 한국에서 不淨의 認識과 일치하는지가 연구의 과제였다. 또 이러한 전통적 인식 하에서는 더러움이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으로 分化가 명백치 않다. 그러므로 현대의료가 추구하는 물리적 더러움(physical dirtiness)을 제거하고자하는 衛生과 不淨에 대한 認識과는 일치하는 부분도 있으나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는 것 또한 연구의 과제였다. Kleinman의 의료 체계의 내부 구조를 한국 농촌 현실에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는 먼저 의료체계를 대중적 부문(popular sector), 전문적 부문(professional sector), 민속적 부문(folk sector)으로 구분했다. 대중적 부문은 환자나 가족 혹은 사회적 조직망, 그 사회 믿음체계나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 이 곳은 모든 질병이 처음으로 발견되며, 정의되며 모든 치료 행위를 주도하게 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의 건강에 대한 믿음이나 가치체계는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깊은 이론이나 용어의 세련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이다. 전문적 부분은 汎 文化的으로 보급되고 있는 현대 의료와 고도로 전문화된 전통성을 갖고 있는 한의학 등 두 가지로 세분될 수 있다. 이 영역의 건강에 대한 믿음이나 가치체계는 깊이 있는 이론을 갖고 있으나 다름 부문에 대해 배타적이다. 민속적 부문은 전문적 부문보다 더 대중적 부문에 접근되어 있으며 巫俗的 치료처럼 神聖한(sacred)영역도 있으나 민간 치료법같은 世俗的(secular)영역도 있다. 이 부문은 대중적 부문보다는 다소 정통성 있는 이론체계가 있으나 다른 부문에 대해 배타적이 아니며 오히려 절충적(eclectic)이다. 그러므로 Kleinman의 의료체계에 의해 가족과 환자, 현대의료와 환자, 전통 의료와 환자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본 논문의 과제이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개방식 녹음 면접법과 참여 관찰법을 병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형적 농촌 가정으로 여겨지는 30가구와 그 지역에서 전통적이든 현대적이든 육아나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가 10인을 편의주의적 표본(opportunistic sampling)으로 추출하였다. 硏究 結果ms 여러 가지 행동의 금기, 음식의 금기 등이 胎兒때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때부터 不淨의 認識이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금기 현상들이 아기 탄생에 이르면 그 절정에 달하고 세이레, 백일, 돌과 같은 통과의례 대에 특히 不淨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을 볼 때, Douglas와 Leach의 不淨 발생 영역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不淨의 인식이 현대 의료가 추구하는 衛生과 일치하는 부분보다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현저했다. 이러한 불일치하는 부분이 농촌 의료의 계획과 실천에 저해 요소가 된다고 본다. 육아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료행태를 볼 때 가족은 아이들이 병이 났을 때, 병명이 무엇이며 치료가 가족 내에서 가능한지, 어떤 치료를 받을 건지, 치료기간은 어느 정도 하는지 등을 결정하며 가족 내에서 질병이 연속성(sequence)을 이루며 처치되고 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현대 의료와 환자와의 관계는 의사소통이 원활치 않은 채 환자들은 病院性 挫折感(iatrogenic frustration)을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과 의사소통이 되는, 즉 상징을 함께 나누게 되는 전통의료나 변형된 의료책을 찾게되는 치료의 불연속성이 야기됨을 보았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농촌 의료 현실을 파악하는데 미시적 접근에 그친 점과 생리 의학적(biomedical)측면을 강조하는 의료전문가의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의료가 생리학적 측면과 인간과학적 측면을 동시에 다루고 있는 한 생리학적 환원주의(biological reductionism)나 사회문화적 환원주의(socio-cultural reductionism)어느 하나로도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종합 과학적(interdiciplinary)접근만이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며 그러한 접근의 일환으로 이 논문은 의료의 문화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Medicine deals with two facets of human problems, the biophysical and human scientific facets. When practicing community medicine in non-westernized socity, if public health workers rely only on a pan-cultural biomedical method, they will fail to understand the ethnomedicine which is integrat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inhabitants. This is the very problem of the community medicine project in Korean rural district.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ethnomedicine which is integrated i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n to explain acculturation of the modern medicine through symbolism. The disease view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an be classified in two categories: The first is a supernatural disease view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e shamanistic context; it is one in which boojung (impurity)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factor etiologically. The second is a natural disease view in oriental medicine, which accepts yin and yang theory and sa-sang medicine (four constitution medicines) as theoretical tools. By the way, Korean traditional society was constructed in a bi-stratification structure; consequently, the disease view of people was divided in two ways. The ruling class who could understand Chinese character accepted the disease view originating from oriental medicine; most of the common people who could not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stuck to the disease view originating from shamanistic context. To understand the health behavior of rural society the latter view must be studied. So i am focusing on the cognition of booju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ion in the shamanistic context. Douglas and Leach have proved that boojung can be perceived on the boundary zone between A and not A and that both A and not A are thought to be secular, but the boundary zone between them is thought to be sacred. It is this boundary zone which is susceptible to boojung. Their theory is adopted as one of the hypotheses by which I explain the boojung as seen in child rearing procedure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During the three weeks after child-birth, a string is tied over the door and foreigners are prohibited to enter the house. This time and spacial region is the boundary zone from A to not A and is thought to be susceptible to boojung; consequently rural inhabitants strictly observe various food and action taboos during this period. The second hypothesis 1 adopted is from Kleinman in which health care system is understood as a symbolic reality. I applied his model to explain the health care system of Korean rural socity. Kleinman divided the health care system into three sectors: popular sector, professional sector, and folk sector. The popular sector includes individual, family, social network, and community beliefs and activities. It is a popular culture arena in which illness is first defined and health care activitivities are initiated. In this arena the beliefs and values about health lack any deep theory or a good explanation but they are accepted generally. The professional sector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modern medicine which has been spread pan-culturally and orthodox oriental medicine. The beliefs and values in this sector have deep theories, but they are exclusive to the other sectors. The folk sector approximates the popular sector more closely than the professional sector. It contains not only a sacred facet as shamanistic cure but also a secular facet as folk cure. This secter has a semewhat orthedex theory system but is net exclucive to the other sectors; it is rather eclectic. The research methods I adopted were open ended tape recording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informants were selected by the opportunistic sampling method frem representative rural families and traditional or modern medical practioners who had an influence on child rearing or medical treatment. The number of informants was 30 rural families and 10 medical practitioners. Following is the summary of my observation. Recognition of boojung is initiated during impregnation, and various foods and actions are regarded as taboo. These taboos are most strictly observed at child birth; Others are observed in the rites of three seventh day, on hundredth day, and one year old birth day. All of these observances coincide with the Douglas and Leach theory which predicts that cognitien of boojung originates at the boundary zone-rites of transition. These traditional cognitions of health care have supernatual characteristics; therefere, the cenception of dirt is not fully differentiated into sacred and secular. Consequently, hygiene which is pursued to get rid of physical dirt in modern medicine and traditional conception of supernatural purity accord in part, but discord in many parts. This discordance is one of the serious obstacles in the procedure of health programs in rural districts. Another point I found as I observed the health behavior in child rearing procedure is that when a child gets ill the family is the decision maker which defines the illness and initiates health care activities. If they find it impossible to cure by themselves, they go to a specialist of folk practitioners. In many cases they encounter different sets of beliefs and values in the cognitive structure of modern medicine practitioners. When they experience failure in communication, They go to the traditional practitioners with whom they can share the same sets of medical symbols. Consequently, modern medicine is lost in the sequence of health care activities in rural society. As far as medicine deals with biophysical and human scientific facets, either one of biological reductionism or socio-cultural reductionism can not solve medical problem alone. The solution can be obtained when we approach them interdisciplinary, so I studied the cultural facet of this probl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問題의 提起 = 1 B. 理論的 背景 = 5 1. 象徵的 槪念으로서의 不淨 = 5 2. 象徵的 實體로서의 醫療體系 = 8 c. 調査 方法 = 10 Ⅱ. 調査 結果 = 14 A. 조사지역의 民族誌 = 14 1. 歷史, 地理, 交通 = 14 2. 人口 및 經濟 = 16 3. 行政構造, 敎育 및 宗敎 = 17 4. 環境衛生 및 醫療網 = 19 5. 家政 및 마을생활 = 21 B. 育兒 過程 中 나타나는 不淨의 認識 = 24 1. 胎敎와 誕生 = 27 2. 口脣 體系 = 29 1) 授乳와 離乳 = 29 2) 세이레, 백일, 돐 = 30 3) 삼신, 命다리 = 31 3. 排泄 體系 = 31 1) 排便 訓練 = 31 2) 衛生과 整頓에 대한 訓練 = 33 4. 性認識 體系 = 34 1) 性 役割 = 34 2) 잠자리 배열 = 35 C. 育兒과정 중 나타나는 의료형태 = 36 1. 現代 醫療와의 관계 = 37 1) 醫師와 患者 = 40 2) 助産員과 患者 = 41 3) 약종상과 患者 = 41 2. 傳統 醫療와의 관계 = 42 1) 漢醫師와 患者 = 45 2) 巫堂과 患者 = 45 3. 家族과의 관계 = 47 Ⅲ. 結論 = 51 참고문헌 = 55 영문초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6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정-
dc.subject인식-
dc.subject의료형태-
dc.subject한국농촌-
dc.subject육아과정-
dc.subject의료인류학-
dc.title不淨에 대한 認識및 醫療形態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韓國農村 育兒過程의 醫療人類學的 考察-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ognition of boojung (impurity) and health behavior in a Korean rural village : Medical anthropological approach for child rearing behavior-
dc.format.pagei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