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제왕절개 및 정상분만 임부의 분만전후의 상황-불안 반응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제왕절개 및 정상분만 임부의 분만전후의 상황-불안 반응에 관한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state-anxiety response of gravida before and after cesarean section and normal delivery
Authors
성혜숙.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제왕절개정상분만임부분만전후상황불안반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공학은 어떤 학문 분야보다도 실천적 기능이 강조되는 학문으로 이러한 실천적인 wrj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뚜렷한 이론적 기반을 필요로 한다. 교육공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이의 상호유익한 관계는 (각각의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 발전은 있었으나) 20∼30년 전의 시청각통신 시대 이후 점차로 약화되어 왔다. 그리고 교수 매체 연구에 있어서도 사회심리학이 주된 역할을 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주류로 들어오지 못하고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프로그램 학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교육공학과 커뮤니케이션의 각각의 분야에서의 이론적인 고찰을 하고 교육공학의 통신이론적 기반에 대한 고찰로 교육공학의 기초학문 중의 하나인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어떻게 교육공학 분야에 적용되고 연구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교육공학 개념과 교육심리학과의 밀접한 제휴에 대한 비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이론도 학습이론과 같은 실천상의 적용으로 교육공학 내에서 연구되어야 하겠다는데 촛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육공학의 이론적 고찰로서 교육공학의 발달상의 기원과 개념적 관점에 관하여 살피고 2.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고찰로 Human Communication의 세 가지 기본 형태와 교육공학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한 커뮤니케이션 모델 6가지를 설명하였다. 3. 교육공학의 통신이론적 기반에 대한 고찰로, 초기 시청각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교육공학 내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의 특징, 범위 및 개념과 시대적인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연구들에 대하여 시대별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행동주의 학습이론 및 그 외의 교육심리학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매체-태도 간의 연구에 대하여 밝히고 교수매체 연구에 대한 AVCR 25년 동안의 분야별 논문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육공학은 그 분야의 개념적인 틀을 형성하는 기초학문들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갖고 연구되어야 하며, 특히 인간 학습의 기본 과정이 커뮤니케이션 과정 및 커뮤니케이션 System이기 때문에 이 두 분야 사이의 상호 유익한 관계와 Interdisciplinary Research가 있어야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아직도 다른 개별 학문들과 같이 역사가 깊지 못한 교육공학의 이론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에서부터 출발하여 그 실천 기능이 강조되는 전문직으로서 실행분야에서의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anxiety response resulted from particular situations, namely, cesarean section and normal delivery to that of State-Anxiety response by Gravida's gene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gain the fundamental data for more effective comprehensive nursing car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 of Feb., to the 3rd of May., 1982, Using the questionnaire of State-Anxiety Inventory made by Spielberg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7 Gravida who were hospitalized in delivery rooms of 8 general hospitals including Ewha University Hospital for normal or cesarean section deliveries. 199 were Gravida who anticipated cesarean section or normal delivery and 178 were Gravida who had emergency cesarean section deliveries. The data was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Anxiety repsonse before delivery between Gravide who anticipated cesarean section delivery and Gravida who anticipated normal delivery (p = 0.70). 2. There was shown that State-Anxiety response in Gravida who had cesarean section delive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avida who had normal deliveries (p = 0.01). 3. Within Gravida who anticipated cesarean section deli-v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Anxiety response by Gravida's general characteristics (p > 0.05). 4. Within Gravida who anticipated normal deliv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Anxiety response by Gravida's general characteristics (p >0.05) . 5. Within Gravida who had cesarean section delivery there was shown that State-Anxiety in Gravida who didn't want this prepna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avida who wanted this pregnancy (p = 0.002). 6. Within Gravida who had normal delivery, there was shown that State-Anxiety increased as the Gravida's age advanced (p = 0.005). There was shewn that State-Anxiety in Gravida who didn't want this pregna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avida who wanted this pregnancy (p = 0.02).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Anxiety response in Gravida who anticipated cesarean section and normal delivery oefore the fact by the predicted type of delivery (p = 0.72). 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Anxiety response after the fact by actual type of delivery. The samples indicate the following rank order of significant findings: State-Anxiety in Gravida who had emergency cesarean section deliveries vms highest; followed by State-Anxiety in Gravida who had repeat cesarean section deliveries, elective cesarean section deliveries and normal deliveries (p = 0.02).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