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林農.-
dc.creator林農.-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4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459-
dc.description.abstractThe end of 19 century and the early period of 20 century are both the last stage of romanticism and the period when musical terms are transformed to new musical language to be repealed. Such an activity is largely begun in Germany. It emerged from the effort to dissolve the classic tonality from about 1900 to 1920.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harmony by the extreme chromatic technique, new scale derived from the national melody, Gregorian mode, the use of pentatonic scale and diatonic scale and further the use of bitonality. The whole composers of 20 century generally have tried to establish the new concept about tonality, to find out the adequate one to replace tonality and to coincide the new harmonic term with the other musical factors. The harmonic system of classic modality cannot easily explain the harmonic progressional ambiguity produced by the complicate chromatic harmonic system or non-harmonic sound which can be seen in <Tristan and Isolde> Wagner's late work. The development of harmonic modality from A. Bruckner G. Mahler, M. Reger and R. Strauss to A. Schoenberg, A. Berg, A. Webern and the later composers of l2-tone technique can be seen directly in the harmonic term of Wagner's Tristsn and Isolee. The structure and complexity of Schoenberg's music affected by the late romanticism of Germany is both superior to Mahler's and Strauss and to Wagner in romantic radical expression. The new direction to atonality is clearly appeared in Schoeuberg's works composed in the second period. In these works, Schoenberg got rid of the late romantic massivenss to move to small organization of instruments. Eventhough he used the large scale orchestra, he treated the instrument as solo rather than the acoustic massiveness or the tone color to be intersec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itch structure in two piano works in the second period and a piano work in the third period. Drei Klavierstu¨cke op. 11 composed in 1909 is the transitional style. This work which is organized in three pieces shows the traditional style; unison, ostinato pattern, or the use of triad in tonal music. Sechs kleine Klavierstucke op. 19 is composed much closer to atonality than op. 11. The theme or the motive of traditional music is never presented and the melodic idea is not repeated in it. It shows the simple and various structural aspects, the change of various rhythm and the contrast of dynamic. Though these two works escaped the traditional tonality and the pattern of melodic structure, they have the melodic or harmonic structure with same pitch structure. As the result, the common aspect in these two works is that it gives the unity to each work and the specific pitch structure is used much in the whole work. Fu¨nf klavierstucke ope 23 composed in the exper mental stage of 12-tone technique clearly suggests the motive or the theme different from op. 11 or op.19 composed by the athematic style. And it shows the transformation of suggested motive or representation. Therefore, though it is the atonal work, it different from the latter two works in melodic structure. However, in the view of pitch structure constracting the harmony or the melody, these three works clearly show the pitch structure with the specific sound, though they are composed in different period. Such harmonic structures were found out by using the pitch class and the inteval class in this Paper. As the result, it is known that all these three works hold the pitch structure with trichord, tetrachord and hexachord as the center most predominantly. Among them, trichord which is the set of 014 and 016, tetrachord which js the set of 0145 and hexachord which is the set type of 013457 are commonly used in each work;19世紀 末과 20世紀 초기는 낭만주의의 최후의 단계인 동시에 音樂語法이 새로운 音樂言語로 변형되어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독일에서 시작되었으며, 1900년에 이르는 시기에 고전적인 調性을 해체시키려는 노력에서 생겨났다. 그結果 우리는 극단적인 반음계적 수법에 의한 和音과, 민족적인 선율에서 유도된 새로운 음계, 또는 중세의 선법이나 5음음계, 온음음계의 使用과 더 나아가서는 복조성의 사용등을 볼 수 있게 되었다. 20세기 전반의 작곡가들은 대개 調性에 관한 새로운 개념을 이룩하고 조성에 대치할수 있는 적당한 것을 찾아내며 새로운 화성어법을 다른 음악적인 요소들과 합치시키려는 노력을 해왔다. Wagner의 후기作品인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 볼수있는 복잡한 반음계적인 화성조직이나 비화성음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화성진행의 애매함은 고전양식의 화성조직으로는 說明하기가 쉽지않다. A. Bruckner와 G. Mahler, M. Reger, 그리고 R..Strauss에서부터 A. Sccoenberg, A. Berg, A. Webern 그리고 그후의 12音技法의 作曲家들에 이르는 화성양식의 발전은 Wagner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화성어법에서 직접 그 흔적을 찾아 볼수가 있다. 이렇게 독일의 후기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Schoenberg 音樂의 규모와 복잡성은 Mahler와 Strauss를 능가하며 낭만주의적인 과격한 표현에 있어서도 Wagner를 능가한다고 볼수있다. Schoenberg의 제2기에 쓰여진 作品에서는 무조로의 새로운 방향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作品에서 Schoenberg는 후기 낭만주의的인 거대성에서 벗어나 樂器의 작은편성으로 옮겨가던가 아니면 대규모 관현악을 使用하더라도 음향의 커다란 덩어리 보다는 오히려 악기를 Solo로 취급하거나 색채를 갑작스럽게 교차시키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 本 論文에서는 이 시기에 作曲된 피아노曲 두곡과 제3기에 쓰여진 피아노곡 한곡을 택하여 음조직에 관하여 고찰 하고자 한다. 1909년에 作曲된 Drei Klavierstiicke op.11은 과도기적인 양식으로 되어있다. 즉 세곡으로 구성된 이 作品에서는 전통적인 양식인 Unison, Ostinato Pattern이나 조성음악에서의 3和音의 使用등을 볼 수 있으며 Sechs kleine Klavierstiicke op.19는 op.11보다는 한층 더 무조성에 가깝게 作曲되어있다. 전혀 전통음악에서의 주제나 동기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선율적인 아이디어는 반복되지 않고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구조적인 면을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리듬의 변화, 다이나믹의 대조등을 볼 수 있다. 이 두 作品에서 공통적인 面은 전통적인 조성과 선율구조의 형태는 벗어났지만 같은 음조직을 가진 선율적인 혹은 화성적인 구조를 지니므로 곡 하나 하나에 통일성을 주고 있으며, 또 작품 전체로 보아도 특정한 음조직이 많이 사용된 사실을 볼 수 있다. 또 12音技法의 실험단계에서 作曲된 Fu¨nf Klavierstu¨cke op 23은 athematic style로 쓰여진 op.11이나 op.19와도 달리 동기나 주제의 제시가 명확하며, 제시된 동기의 변형이나 재현이 나타나고 있어 무조적인 作品이지만 선율 구성面에서는 앞의 두 作品과 다른 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和音이나 선율을 이루는 음조직 면에서 볼 때, 이 세 作品들이 비록 시기적으로 다른 시기에 作曲된 곡들이기는 하지만 특정한 음향을 지닌 음조직들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本 論文에서는 이러한 화음조직들을 Pitch Class와 Interval Class를 이용하여 찾아 보았다. 그 結果 세 作品 다 Trichord, Tetrachord, 그리고 Hexachord를 중심으로 한 음조직을 가장 우세하게 지니고 있음을 알수있다. 그 중에서도 014와 016의 set인 trichord와 0145의 set인 tetrachord, 그리고 013457의 set type 인 hexachord가 각 作品에서 공통적으로 쓰이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8 Ⅱ. A. Schoenberg의 주변과 그의 음악적인 스타일 = 10 Ⅲ. 자유로운 무조성 = 19 Ⅳ. 작품분석 = 21 A. 분석방법 = 21 B. Drei klavierstu¨cke op.11 = 25 C. Sechs kleine klavierstu¨cke op.19 = 72 D. Fu¨nf Klavierstu¨cke op.23 = 98 Ⅴ. 결론 = 158 참고문헌 = 162 영문초록 =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95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Arnold Schoenberg-
dc.subject무조음악-
dc.subject음조직-
dc.titleArnold Schoenberg 無調音樂의 음조직에 대한 小考-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piano 作品 op.11, op.19, op.23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Some notes on pitch structure in Schoenberg's atonal compositions : based on op.11, 19 and op.23-
dc.format.pagevii, 1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