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계연-
dc.creator박계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0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monstratively the influence of public social worker's empowerment on the job performance considering the job-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of the job performance. On this study, the subjects of survey are 694 public social workers in 522 town-blck office in Seoul and 323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In this study, public social worker's empowerment, professional capability and job related environmental factor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variable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1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the level of empowerment perceived by public socail worker was 3.42 of 5, which is not that high but slightly over the mid-level. The level of professional capability was 3.26. However, social welfare value and morality of professional capability was 3.18. It shows a quite low score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job-related environmental factor, there seemed to be a complaint about the compensation system (level) and the amount of work. Second, the level of participants' job performance was 3.95 of 6, which is slightly over the mid-level. However, among the subcomponents of job performance, the effort to obtain a specialty and the skill was 3.20 lower than the mid-level. Therefore it shows that public social worker need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ability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s by the demographic social factor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uality, marraige, age, social worker's rank, working of carrer, the job experience, and the reason to becoming a social worker. Third,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among job performance, empowerment, professional capability, and job-related environmental factor,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r=.660). In addition,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capability to perform(r=.665), social work value and morality(r=.541), and possession and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r=.641), which are componen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For job-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compensation system (level) an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performance, while the amount of work had a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how empowerment could explain the job performance and to se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empowerment controlling for job-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fessional capability, the job-related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in Model 1. In Model 2 which was created by adding empowerment to Model 1, the influence of the job-related environment on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from having professional capability and the empowerment.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professional skills and the empowerment were in order.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re the sub areas of control variables were added, the capability to perform, social work value and morality, the possession and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 were significant. In Model 2, the empowerment, the capability to perform the duty, the possession and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 were significant, but the social work value,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n Model 1 were not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e empower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capability to perform the duty, possession and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llowed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empower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job performanc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 fore-mentioned study resul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induced and the following policies were suggested. 1) The professional skills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and people without supplementary education in a year composed 66.5% of this study. Therefore the periodical and continuous supplementary education system should be set as well as social worker themselves make personal efforts to improve their ability. 2) It is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empowerment which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3) Problems in process of jobs related to social welfare should be remedied. Since this study was done only to social worker working at town block offices in Seoul, it wasn't generalized to social worker across the country, and as a matter of the appropriate of evaluation, self-evaluation was used, so it could depend on subjective measurements. Moreover,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o focu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t the personal level of social worker. It is needed 1) to develop an objective and diversified method of evaluating an exclusive official's job performance, 2) to develop a measure of job performance with respect to features of the field of social work, and 3) to study various factors characterizing job performance. Furthermore, t his study should move onto a study on an influential relationship of job performance with empowerment not only at the personal level, but also at the comprehensive level of person, group, and organization, and a further study is required on the intervention effect and the control effect of empowerment. ;본 연구는 최근 국민기초생활보장 업무를 비롯한 공공부조 업무의 증대, 다양한 복지수요의 증가등 급변하는 복지환경 속에서 전문적인 실천능력과 능동적으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 즉 임파워먼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복지행정의 최일선에서 복지대상자들과 가장 우선적으로 접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그동안 직무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연구되어 왔던 전문적 능력, 직무환경적 변인과 함께 전담공무원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간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직무성과와 관련하여 임파워먼트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전담공무원에 대한 효율적 인력관리 및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전담공무원 제도의 내실화를 비롯한 공공복지 행정조직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동사무소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694명을 표본틀로 하여 5월 6-7일, 15-16일 두차례에 거쳐 실시된 '2004년 서울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연찬회'에 참석한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회수된 331부 중 총 32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기초로 하여 종속변수로 직무성과를 선정하였고, 독립변수로 전담공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먼트, 전문적 능력, 직무환경적 변인을 선정하였다. 먼저 독립변수 중 임파워먼트는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력, 영향력을 합한 전체 임파워먼트를 의미하며, 전문적능력은 직무수행능력, 사회사업가치와 윤리, 지식과 기술의 보유 및 발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무환경변인은 보상체계, 조직구성원간 상호작용, 업무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12.0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및 빈도분석, t-test 및 ANOVA,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담공무원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 3.42점으로 보통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전문적 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26점으로 보통정도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가 3.18점으로 선행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낮게 나타나 가치와 윤리에 대한 교육 및 의식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직무환경적 변인에서는 보상체계(수준)과 업무량에 대하여 불만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전체 직무성과 수준은 6점 만점에 3.95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하위 요인중 전문성·기술 습득을 위한 노력이 보통 이하로 나타나 전담공무원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별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성별, 결혼상태, 연령, 직급, 재직기간, 실무경력, 공무원 지원 동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성과와 임파워먼트, 전문적 능력, 직무환경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는 상관관계 계수가 .660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적 능력 중 직무수행능력과 지식과 기술의 보유와 발휘, 가치와 윤리도 각각 .665, .641, .541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환경적 변인 중 보상체계(수준)과 직원간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량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전문적 능력 변인, 직무환경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무성과와 임파워먼트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통제변수만 투입한 모델 1에서는 직무환경, 전문적 능력이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모델 1에 임파워먼트를 투입한 모델 2에서는 직무환경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문적 능력과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은 전문적 능력, 임파워먼트 순이었다. 통제변수(전문적 능력,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직무수행능력, 지식과 기술의 보유 및 발휘, 가치와 윤리, 조직구성원간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모델 1에 임파워먼트를 투입한 모델 2에서는 임파워먼트, 직무수행능력, 지식과 기술의 보유 및 발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모델 1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가치와 윤리, 조직구성원간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변인으로는 임파워먼트였으며, 그 다음으로 직무수행능력, 지식과 기술의 보유 및 발휘 순이었다. 모델 1과 모델 2의 설명력 차이를 살펴보면 3.4%의 설명력이 증가된 것으로 나왔으며 이는 모델의 설명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나 다중회귀분석에 의하면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논의할 수 있는 연구의 함의를 이끌어내면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직무성과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전문적 능력으로 나타났는데 본 조사에 의하면 1년 동안 보수교육을 받지 않은 수가 66.5%에 이르므로, 승진을 위한 교육점수 취득을 위한 보수교육이 아닌 사회복지분야별 실무내용 중심으로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보수교육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전담공무원 스스로도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별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직무성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중간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및 만족으로 나타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질과 전문성 등의 향상 측면에 있어서 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의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인력관리 차원에서 관리자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관심을 가지고 그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관련 업무 수행과정상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전담공무원의 배치기준을 노인, 장애인 등 기타 복지서비스대상자를 포함하여 현실화하고 점진적인 전담공무원의 추가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업무내용은 보건복지부의 지침에 따르고 있으나, 직무규정, 지도감독, 보수교육, 직무평가 등은 일반공무원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복지업무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체계가 매우 미흡하기 때문에 일반행정직과는 별도로 사회복지직에 대한 일원화된 인력관리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동사무소에서 근무하는 전담공무원을 그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전국의 전담공무원에게 일반화시키지 못한다는 점과 평가의 적합성 문제로 자기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다분히 전담공무원의 주관적인 측정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담공무원 개인차원의 수준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앞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복지실천현장별 특성을 감안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 측정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며, 직무성과를 결정짓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수준의 임파워먼트뿐 아니라 개인적, 집단적, 조직적 임파워먼트를 종합적으로 하여 직무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4 C. 연구의 한계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직무성과의 개념 = 7 B.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 11 1. 전문적 능력 = 13 2. 직무환경적 관련 변인 = 15 C.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의 관계 = 18 D. 연구의 분석틀 = 22 Ⅲ 연구방법 = 25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25 B.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 28 C. 설문지 구성 및 신뢰도 = 30 D. 자료분석방법 = 32 Ⅳ 연구결과 = 33 A. 조사대상자 및 주요변인의 일반적 특성 = 3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3 2. 각 변수들의 기술 분석 = 38 B. 직무성과 수준 : 인구사회학적 요인별 = 42 C.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 46 D.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48 Ⅴ 결론 및 제언 = 54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 54 B. 제언 = 58 참고문헌 = 65 설문지 = 69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10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