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高麗武人 執權期의 文士에 관한 一考察

Title
高麗武人 執權期의 文士에 관한 一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civilian of koryo military government
Authors
張淑卿.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무인정변무인집권기최충헌정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fter the outbreak of the military coup d'etat which occurred in the 24th year of King Uijong's reign (1170),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society of the latter Koryo period. The military officers who led the coup purged inexorably the high-rankipg civil offjncials, subverted Uijong's realm and placed King Myongjong in the throne of the abdicated Uijong. And they came into complete control of the political power. Some of the civil officials or the literatic who survived the political shift were later given high positions in the government office by the military elite, but others took care of their dignity and self-importance as the literatic, denouncing the converted civilians who joined the military government. Many of the literatic are said to have gone to temple and have been converted to Buddhist monks or lived in seclusio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what view or attitude the intellectual class, though their social value and position were weakened after the coup, took toward the military authority and what military-civilian conflict existed in the days of General Choe Chunghon's political rule. Those civilians survived the bloody purge following the military coup were persons of virtue, who long before the coup felt discontented with the corruption of the royal court and oppression of civil ministers in the Uijong dynasty. Many of them, who were scholars and civiliant aristocrats since the early period of Koryo, had treated unprivileged soldiers with respect. But as a matter of course they, though displeased with Uijong's political domination, sought no social and political upheaval such as the military revolt. After seizing its control over the kingdom after the 1170 coup, the military leadership unskilled in political affairs both domestic and foreign had to depend upon civilian support, for civilians had administrative experience, knowledge and skills. But a fair proportion of civilians who entered the military government service, were eager only to preserve their positions as they had become feeble and timid under the military control. All of the military officers in high-ranking positions, however, did not be little the civilian officials. The days when General Kyong Daesung gained power, though a brief period, the military power period a favorable respect to the civilians and confucian scholars. It was probably for this reason that such scholars as Oh Seijai and Im Chun who had refused official ranks came to apply for the state examinations. But such a situation disappeared when Lee Dimin, a person of low birth, seized the power and influence of the military leadership. The period of Lee Uimin's political regime was a dark age to the civilians. With the collapse of Lee Uimin's domination, however, there happened the drastic change of the situation. Choe Chunghon who overthrew Lee's dictatorship was not a wirror like the past military men exercising their power's relentlessly. As nearly thirty years passed by after the 1170 coup d'etat and subsequent scrambles for power, both civilians and military men come to be now new-generation. They existed no necessity of hatred, grudge or hostility between those two sects. Choe, dissimilar in character and status to Lee Uimin, needed civilian cooperation to operate the dynastic structure which he chose to revive. He secured his authority and strengthened his influence over the kingdom through giving a warm consideration to intellectual class. General Choe who used to be on intimate terms with several scholars, made them his close associates in the early period of his reins of power. It appears that the civilians harassed and harrawed under the military dark age, anchored their great hopes on Choe's political measures. He invited scholars to his house made them compose poetry and proses. They were rewarded with government ranks and title. Those who were given the security of their livelihood under the Choe's government, naturally approved his authority. After Choe Chunghon gained power, civilians again played an increasing important role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kingdom. But apprently Choe Chunghon did not have great confidence in those scholars as his intimate attendants.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sly and alert fatterers such as Kumui were among Choe Chunghon's new staff members. Later Choe Chunghon adopted these new members (rising generation) as top officials of his government and consequently established his firm political foundation. We suppose it was because with the shift in generation the lineage bound by Choe Chunghon his close civilian ministers-rising bureaucrats built the reign of Choe's clan lasted over sixty years. During that period the political character of Choe's authority degenerated gradually contrary to the people's expectations in the early days of his rule.;高麗 毅宗 24年(1170)에 발생한 武人政變을 계기로 高麗社會는 政治·社會 전반에 걸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政治·社會의 주도세력이었던 文士들은 들러리에 불과하게 되었고, 이제는 政權을 掌握한 武人들이 그 役割을 擔當하게 된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당시의 知識層이었던, 그러나 보완적인 기능밖에는 맡을 수 없었던 文士들이 武人政權을 어떻게 보고 있었는가를 그들의 입장에서 살펴봄으로써, 이 시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武人政變 後에도 계속 存續할 수 있었던 文士들은 어떠한 人物이었나를 人物分析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들은 大部分이 毅宗朝의 부패상을 잘 인식하고 있던 人物들이었다. 그렇다고 하여 이들이 政變과 같은 社會改革을 바라던 것이 아니였음은 여러 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제까지 政治·社會의 주도세력이었던 文士들은 그 주도권을 武人들에게 넘겨주게 되었고, 따라서 이들 政權에서 벼슬을 지낸다는 것은 武人勢力과의 결탁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었다. 또 실지로 어떤 文臣들은 武人勢力家와 인척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文臣들과 混亂된 社會를 비판하며 文人임을 자부하고 있언 人物들도 있었다. 그러나 武人執權者라고 하여 모두가 文士들을 抑壓한 것은 아니었다. 明宗 9年부터 13年까지 세력을 잡고 있던 慶大升은 武人이면서도 비교적 文士와 儒學을 尊重하던 人物이었다. 吳世才, 林椿과 같은 文人들이 이즈음 科試를 치르는 것도 이러한 상황 변동과 관련지어 볼 수 있을것 같다. 이것은 執權勢力의 변동이 文士들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러나 賤系 出身의 포악한 李義旼이 들어서면서부터 文士들은 또 다시 암담한 현실에 直面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이때에도 官職에 있던 文臣중에는 비록 弱하기는 하지만, 자신이 文臣이라는 자각을 가지고 그에 따른 責任遂行을 하려 했던 흔적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들은 武人 밑에서 벼슬 지내는 것을 비난하던 다른 文人들을 외면하며 자기 合理化를 꾀하고 있었던 것이다. 李義旼을 제거하고 政權을 掌握한 崔忠獻은, 그의 身分과 성향, 그리고 文士를 우대하는 政策으로 因하여, 文士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이미 친분이 있던 文臣들이 그의 初期 政策遂行을 도와주고 있었고, 生活保障과 安全을 얻은 文人들은 그의 政權을 찬양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文士들에 대한 진정한 우대라기 보다는 지지세력 確保를 위한 政策的 側面이었다는 인상이 짙다. 그런데 崔忠獻은 이렇게 包攝한 文士들을 그의 側近에 두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는 이렇듯 時代를 타는 旣成文士들 보다는 자신의 側近 勢力에 의해 선발되어 처음부터 자기의 편으로 키워진 新進官僚들이 더 큰 지지세력이 되리라는 것을 알았던 때문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 세력의 確保를 위해 崔忠獻은 科擧에 큰 비중을 두었고, 科擧 及第者를 特別히 우대하였다. 그리하여 崔忠獻 - 側近文臣 - 新進官僚로 人脈을 구축하여 자신의 政權을 더욱 確固히 다질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이 안에서도 각각의 성격과 입장이 달랐던 文士들은 執權層의 부패상과 民을 무시한 현실, 그런가 하면 또 側近 자체 내에서도 발생되는 문제들에 갈등을 일으키고 있었다. 즉, 武人政變 以後 崔忠獻執權期까지의 기간 동안, 文士들은 武人執權期라는 한계 상황 속에서 저마다의 입장과 사정에 따라 政權을 대하는 태도를 달리해가며 混亂期를 겪고 있었던 것이다. 몇차례의 政權交替에도 계속 高位官職을 지내던 人物이 있는가 하면, 文人으로서의 自尊心을 지키며 살던 人物도 있었고, 그때 그때 자신의 價値觀을 변화시켜가며 適應하던 人物도 있었다. 그러나 어떤 입장에서 어떤 태도를 취하였건, 責任意識을 상실한 知識人으로서 이들의 갈등은 심화될 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知識人이기에 이들의 겪는 갈등이었으며, 生活을 위해서는 仕官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던 文士의 고뇌이기도 하였고, 以前 時代의 잘못으로 인하여 主導權을 상실 당한 사람들이 當面해야만 했던 아픔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제까지 武人執權期에서의 文士들을 살펴보건대, 武人들에 대한 硏究만으로는 이 時代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있음을 알 수 있을것 같다. 따라서 文士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硏究가 병행되어야겠다는 생각에서 이 硏究를 하게 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