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리.-
dc.creator정은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9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4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39-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취업율 증가와 더불어 직장 또는 산업장에서의 일과 질과 양은 더욱더 전문화되고 복잡화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직업으로 인해 초래되는 피로감이 작업능력이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산업보건상 중요한 측면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직업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연령, 결혼상태, 직업, 근무년수, 월경유무, 수면시간, 현재의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 등에 따르는 피로자각증상의 호소율을 조사하여 일부 직업여성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1982년 8월 3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서울시내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원 91명과 4개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1명 및 4개 사회사업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사업가 90명 총 272명을 대상으로 일본 산업위생협회의 산업피로연구회가 표준화 시킨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피로자각증상 호소에 따라 배점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독립 변수별로 본 피로자각증상호소는 T-검정 및 F-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적 피로자각증상호소에 있어서 최다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눈이 피로하다」에서 199명(73.2%)이었고 최저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졸립다」의 98%(36.1%)이었다. 2. 정신적 피로자각증상호소에 있어서 최다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일에 정성이 가지 않는다」에서 163명(59.9%)이었고, 최저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안절부절하다」에서 13명(4.8%)이었다. 3. 신경감각적 피로자각증상호소에 있어서 최다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기분이 안좋다」에서 148명(54.4%)이었고, 최저 호소수를 나타낸 항목은 「숨쉬기가 힘들다」에서 22명(8.1%)이었다. 4.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정신적 증상(B) 항목에서만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호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 5.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는 정신적 증상(B) 항목에서만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이 기혼보다 피로자각증상 호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4) 6.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직업에 따른 차이는 전항목(T) 및 신체적 증상(A)항목, 정신적 증상(B)항목, 신경감각증상(C)항목에서 각각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피로자각증상호소의 빈도는 간호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교사, 사회사업가의 순으로 나타났다.(P<0.01) 7.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근무년수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증상(A)항목에서만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9년까지는 근무년수가 증가할수록 피로자각증상호소의 빈도가 높아지나 10년이상 근무한 경우는 호소의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 8.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월경유무에 따른 차이는 전항목(T) 및 신체적 증상(B)항목 정신적 증상(B)항목, 신경감각증상(C)항목에서 각각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월경을 하는 경우가 안하는 경우보다 피로자각증상호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9.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조사전날 수면시간에 따른 차이는 전항목(T) 및 신체적 증상(A)항목, 정신적 증상(B)항목, 신경감각증상(C)항목에서 각각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시간이 적을수록 피로자각증상호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10. 피로자각증상호소의 평균의 현재의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에 따른 차이는 전항목(T) 및 신체적 증상(A)항목, 정신적 증상(B)항목, 신경감각증상(C)항목에서 각각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피로감이 높을수록 피로자각증상호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With the increase of working women,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 work is getting more specialized and complicated The effect of fatigue caused by work toward the working ability and the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aspect to consi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som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health by investigating som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years employed at present job, menstruation, sleeping hours and present condition of working women. This investigation was mad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30th, 1982.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272 including 91 nurse in two general hospitals, 91 teacher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and 90 social workers in four social work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s designed by the Industrial Fatigue Research Committee of the Japan Society of Industrial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scored by the us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and each i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T-test and F-tes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 1. Among the physical symptoms (A), the most highly responded item as a complaining factor was the one "Feel strained in the Eyes" by the number of 199 (73.2%) and the least responded item was the one "Become Drowsy" by the number of 98 (36.0%). 2. Among the mental symptoms (B), the most highly responded item as a complaining factor was the one "Unable to Have Interest in Things" by the number of 163 (59.9%) and the least responded item was the one "Become Irritable" by the number of 13 (4.8%). 3. Among the neuro-sensory symptoms (C), the most highly responded item was the one "Feel Unwell" by the number of 148 (54.4%) and the least responded item was the one "Feel Oppressed in Breathing" by the number of 22 (8.1%). 4. With respect to the age of working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systems (B). The younger they are, the higher their complaints about the fatigue are.(p = 0.02). 5. With respect to marit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ntal symptoms (B). The unmarried women showed higher degree of fatigue than the married women.(p = 0.04). 6. With respect to the job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tems (T) : Physical symptoms (A), mental symptoms (B) and neurosensory symptoms (C). Nurse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fatigue and the teachers were the next and the social-workers showed the least degree of fatigue (p 0.01). 7. With respect to the years employed at the present job,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symptoms(A). For the first 9 years, the degree of fatigue increased as the year gets longer. but after that, the longer they are employed, the degree of fatigue decreased (p = 0.04). 8. With respect to menstr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tems (T), physical symptoms (A), mental symptoms (B) and neuro-sensory symptoms (C). When they are with menstruation, they showed the higher degree of fatigue than not (p 0.01). 9. With respect to the sleeping hours they took the day before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tems (T), physical symptoms (A), mental symptoms (B) and neuro-sensory symptoms (C). The shorter they slept, the higher degree of fatigue they showed (p 0.01). 10.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 when they a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tems (T), physical symptoms (A), mental symptoms (B) and neuro-sensory symptoms (C). The more tired they felt when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 they showed the higher degree of fatigue (p 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기간 = 5 B. 조사도구 및 분석방법 = 5 C. 연구의 제한점 = 8 Ⅲ. 연구결과 = 9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9 B. 연구대상의 조사항목에 따른 자각증상호소의 분포 = 12 C.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각증상호소의 분포 = 14 1. 연구대상의 연령과 자각증상 = 14 2. 연구대상의 결혼상태와 자각증상 = 17 3. 연구대상의 직업과 자각증상 = 17 4. 연구대상의 근무년수와 자각증상 = 20 5. 연구대상의 월경유무와 자각증상 = 22 6. 연구대상의 수면시간과 자각증상 = 22 7. 연구대상의 현재의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와 자각증상 = 25 Ⅳ. 고찰 = 28 Ⅴ. 결론 및 제언 = 38 A. 결론 = 38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5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97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문직 종사자-
dc.subject여성근로자-
dc.subject피로-
dc.title전문직에 종사하는 일부여성들이 자각하는 피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of working women-
dc.format.pagevi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