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성별 불평등 구조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Title
성별 불평등 구조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Other Titles
(A) Sociological approach towards the structue of sexual inequality
Authors
강선미.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성불평등불평등구조여성의 위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conecerns the relations between women and men in the society.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for the more comprehensive theory of the social structure and women's place within it, especially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thesis evaluates the conventional stratification theories of social inequality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and explores an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 in the next part. The analysis of class structure and stratification is a methodological tool which has been developed by western sociologists in the study of their own societies. It is in the use of the associated terms of class and status above all others in the stratification lexicon that a distinctively American approach having no clear parallels in European theory is most easily discernible. Both the American and European approaches have overlooked the informal private side of social life, which is dominated by women, and instead, have emphasized the formal public side of life, which is dominated by men. There are various sexist assumptions in the study of stratification. The American approach, for example, which can be divided into functional explanation and multi-dimensional one, has overlooked the inequality based on sex or expressed the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structure of social inequality by simply acknowledging that the class system based on sex is only the one form of social inequality. Next, another similar discontent can be made about the European approach retaining the Marx's general scheme of a dualistic conflict model. The prevailing consensus has been that the subordination of women is a serious problem. However, the level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this issue never matched the degree of sophistication attained by the analysis of class structure. Most of those approaches treat all women as completely passive objects of social processes, especially within the context of the family. The exact status of the marital relationship, its causes and its effect upon sexual inequality are somewhat obscure in most theories and no one seem to be engaged in any serious historical examination of women's domestic labour, and their only recourse is to an analysis by means of analogy. The intellectual sexism which distorts women's social reality is not the problem limited within the theoretical context. The ideology of sexism has its structural bases and has its effects on the position of women. The structure of sexual inequality is to be found in social formation. The structural approach to sexual inequality revises and complements the forgoing theories of class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sexual inequality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s and males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the domestic labour for which women are mostly responsible, and the women's particular place in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men's wage labour as well as domestic labour. The third part of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exual inequality. In section A, Engels' theory of the property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structure is complemented and regained its evolutionary character. The dependent property relationship is explained to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natural sexual division of labour has become socially overdetermined. Section B explains the special meaning of different types of labour which are engaged by women. Although the domestic Labour reproduces the labour power, by giving birth and by taking care of adult males in the family, in the capitalist economy it is not counted as productive labour which performs the production of commodity. Therefore only wage labourers are included in the social inequality system, whose social position is explain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xual division of labour. The assumption for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wage and other inequal character is that they are industrial reserve army.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previous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sexual inequality is reviewed and some special problems when applied to the underdevelopment society are suggested.;본 논문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분석하고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기존 계층 이론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개념틀을 모색하는데 그 촛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의 계층이론은 크게 계층론과 계급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남성들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생활의 공식적이고 공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고, 여성들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생활의 비공식적이고, 사적인 측면을 간과하였기 때문에 사회생활의 전 영역을 종합적 이론체계 속에서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기능론적 접근과 다차원적 접근으로 대표되는 계층론은 性에 입각한 불평등을 전혀 도외시했거나 성의 불평등을 인정하지만 그것을 종합적인 이론체계 속에 통합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사회구조 속에 스며든 성별불평등의 본질적 의미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마르크스적 전통에 입각한 계급론에서는 양성 간의 의존적 관계를 인정하지만 가족에 대한 그들의 분석은 기능론적 접근과 유사하며, 가족구조 내에서의 양성 간의 관계 또한 가사노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에 근거한 설명이 아니기 때문에 여성의 "종속"이란 논리적 유추 이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계층이론의 한계를 초래한 성차별주의적 편견은 현대사회의 구성원리 속에 내재하는 것으로 비단 이론적 개념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성차별주의적 편견의 사회구조적 기반과 그것이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미치는 영향들을 과학적으로 밝히는 일은 성별 불평등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관건이 된다. 성별 불평등 구조란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역사적이고 사회구조적인 맥락에서 분석하고 파악할 때에만 그 현실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여성의 종속적 위치를 인정하면서도 논리적 유추이상의 이론적 탐구를 하지 못했던 마르크스적 계급론을 비판하고 수정할 필요가 생긴다. 성별 불평등에 대한 구조적 접근은 시공을 초월한 보편적 일반이론의 정립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생산양식의 변동에 따라 시대적 특수성을 지니는 양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특히 현대 산업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성별 불평등 구조의 특수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성별 불평등 구조의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 계급론의 가족에 대한 기능적 해석을 지양하고, 가족내에서의 양성 간의 관계를 실질적으로 규명하는 일과, 여성의 일차적 책임으로 되어 있는 가사노동, 계급구조 내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성의 임금노동을 고찰해 보아야 한다. 본 논문의 Ⅲ장은 따라서 A절에서, 가족 내에서의 양성 간의 관계를 사유재산을 중심으로 한 재산관계로 설명한 엥겔스의 이론을 보완하여, 자본주의 사회가 발달하면서 새롭게 나타난 합법적인 사유재산인 임금을 중심으로 한 의존적인 재산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의존적인 재산관계가 발생한 원인을 자연적인 성별노동분화에 대한 사회적인 초과결정으로 설명하였다. 다음 B절에서는 여성과 관계된 노동의 성격을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관련시켜 고찰하였다. 우선 가사노동은 가족 내에서의 사적인 영역에서 수행되는 노동으로서, 노동력의 생식적 재생산과 일상적 재생산을 담당하는 사회적으로 유용한 노동이지만, 다른 사회적 노동과 같은 의미에서의 상품을 생산하는 노동이 아님을 노동 가치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성의 임금노동은 다른 사회적 노동과 동일한 상품생산을 위한 노동이면서도, 계급구조 내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는 노동임을 수평적·수직적 성별 노동분화와, 여성이 받는 임금 속에 내포된 가정과, 여성의 특수한 산업예비군적 성격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별불평등구조에 대한 이론적분석은 여성의 계급구조에 대한 이중적 관계를 시사해 주는 것으로, 여성의 근대적 자아의식의 개발과정이 특수한 성격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본논문의 결론 부분은 위에서 제시한 성별 불평등 구조의 분석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 그것이 후진사회의 여성들에게 가지는 약간의 시사를 언급하는 것으로 맺어져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