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宋美英.-
dc.creator宋美英.-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5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4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6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의 모든 명사를 가산명사(countables)와 불가산명사(uncountables)로 분류하고 이들 각 범주의 명사들이 취할 수 있는 수식어들, 주로 문법형태소들(grammatical morphemes)을 규정해 놓은 전통문법의 지배개념(government)은 타당하지 못하며, 명사 그 자체는 가산명사·불가산명사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이들의 속성은 부정관사 a/an의 쓰임·안쓰임에서 추리되는 의미임을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그 결과, 사전에 가산명사·불가산명사로 구분하여 수록할 필요성이 없다는 사실을 얻었다. 전통문법에서, 특히 Jespersen(1913, 1924, 1933), Schibsbye(1965), Quirk & Greenbaum(1972)등은 명사의 분류기준을 수(number)의 개념으로 보고 명사를 수를 헤아릴 수 있는 가산명사와 그렇지 못한 불가산명사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문법이란 어희형태소들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형태소들의 분포를 예측하는 일련의 규칙들의 모임'이라는 지배개념에 의거하여 각 범주의 명사들이 취할 수 있는 수식어들을 규정해 놓았다. Hornby(1974) 및 시사영어사(1980)사전 등은 지배개념을 그대로 답습하여 모든 명사를 각각 가산명사·불가산명사로 구분하여 수록하고 아울러 각 범주의 명사들이 취할 수 있는 수식어들도 열거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들 사전을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의 명사들이 가산과 불가산으로 두루 쓰이고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가산 용법으로 쓰일때는 부정관사 a/an을 취함과 동시에 '구체성과 개별성(concreteness, particularization)의 의미를 불가산 용법으로 쓰일때는 부정관사 a/an을 취하지 않음과 동시에 '추상성과 일반성(abstractness, generalizaion)의 의미'를 일관성있게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명사 자체를 가산명사·불가산명사로 구분할 필요성이 없음과 그 가산·불가산의 속성은 부정관사 a/an의 쓰임·안쓰임과 관계된다고 간주하였다. 이론적 뒷받침으로 구체적인 제안을 하고 있는 Garcia(1977) Kiraner(1979), Langacker(1980)의 이론을 도입하였다. 이들의 이론은 결국 Bolinger(1977)의 '형태가 같으면 의미도 같고 형태가 다르면 의미도 다르다(one form, one meaning)'는 생각과 같은 것이다. 어휘형태소들 뿐아니다 문법형태소들도 각기 그 자체의 교유한 의미를 지녀 바로 그 때문에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 독자적으로 문장에 의해 전달되는 의사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는 전통문법의 지배개념에서 벗어난 것이다. 필자는 사전의 (A)항에서 (E)항까지 2,000여개 명사들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명사들이 가산·불가산 두 용법으로 모두 쓰일 뿐아니라, 가산명사라 하더라도 부정관사 없이 불가산명사처럼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불가산명사라 하더라도 가산명사처럼 부정관사와 함께 쓰인 경우들이 많이 있음을 밝혔다. 그 결과, 필자는 명사 자체는 가산명사·불가산명사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며, 문법형태소인 부정관사 a/an도 그 자체의 고유한 의미 즉 '개체화(individualization : Bolinger, 1980 참고)'를 지녀 그 쓰임·안쓰임에서 명사의 가산·불가산의 속성이 추리돼 나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므로, 부정관사의 쓰임·안쓰임은 명사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의 고유한 의미, 문맥, 화·청자간 대화시 주어진 상황, 그리고 세상일에 대한 우리의 지식등을 토대로 결정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전통문법에서의 가산명사도 그 문맥이 허락하면 부정관사 없이 쓰여 불가산명사처럼 나타날 수 있으며, 불가산명사도 그 문맥이 허락하면 가산명사처럼 얼마든지 부정관사와 함께 쓰일 수 있다고 하였다. 끝으로 부정관사 a/an 뿐만아니라 복수어미 -s도 명사의 가산·불가산의 속성과 관계한다는 시사를 덧붙였다.;In the traditional grammar, nouns were classified into count and mass noun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as thought to be determined by the kind of nouns with which they were used in a construction. This is one example of the theory of government --- the analysis of grammatical morphemes to be dependent upon the lexical items. This study started to find out if the classification of nouns into the two kinds is tenable. Through my investigation it has become clear that nouns cannot be classified into the two classes: they are neutral. That is, they can be used both as count and mass nouns, and the use of the indefinite article, a/an is not determined by the kind of nouns. Instead it has its own meaning and contributes semantically. As the result I concluded that a dictionary in fact is not necessary to indicate explicitly whether a noun is count or mass. In the traditional grammar, especially, Jespersen (1913, 1924, 1933), Schibsbye (1965) and Quirk & Greenbaum (1972) classified all the nouns into count and mass nouns on the basis of the count ability. And they prescribed with which quantifiers, mainly grammatical morphemes, these kinds of nouns could be associat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government in which grammar was viewed as a set of rules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grammatical morphemes from a lexical basis. Following this traditional analysis, Hornby's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f Current English (1974) and The New World Comprehensive English - Korean Dictionary (1980) published by Si-Sa-Yong-O-Sa, etc., explicitly indicate whether a noun is count noun or mass noun and enumerate which quantifiers these kinds of nouns can take. Upon investigation of the two dictionaries it was found that nouns, for the most part, could be used both in the sense of count with the indefinite article and of mass with the zero article. In these cases, there is a regular, consistent difference of the meaning between the two usages. That is, the former usage stands for something concrete of particular and the latter stands for something abstract or general. Accordingly I suggested that the noun itself should not be classified into count noun and mass noun, and the property of countability could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the indefinite article. For the support of my analysis I introduced the theory of Garcia (1977), Kirsner (1979) and Langacker (1980). They insist that the grammatical morphemes. as well as the lexical ones carry their inherent meanings and accordingly make their own distinct, independent semantic contributions to the meanings of the constructions. This view is shared by Bolinger (1977), who emphasizes that an invariant meaning is always indicated by a particular signal (i. e., one form has one meaning).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alysis. After the investigation of about 2,000 nouns from A to B of the two dictionaries, I discovered that despite the dictionary classification, (1) many count nouns could be used as mass nouns with the zero article; (2) many mass nouns could be used as count nouns with the indefinite article; and (3) besides the two classes of nouns, the majority of nouns could be used in two ways: count and mass. Through this examination,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noun itself should not be classified into count noun and mass noun, and that the property of count ability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the indefinite article. Because the indefinite article itself as a grammatical morpheme carries its own meaning of "individualizer" Accordingly I insist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indefinite article is not determined by these kinds of nouns, but by its own meaning, the context in which it appears, the epistemic spa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and the knowledge about the world affairs of us, etc. Therefore, count nouns in the traditional grammar can be used with the zero article like mass nouns, if contextually possible, and mass nouns also, like count nouns, oan be associated with the indefinite article, if contextually possib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기본의미와 추리된 의미 = 7 Ⅲ. 전통문법의 명사분류 및 문제점 = 13 A. 명사분류 = 14 1. Jespersen(1913, 1924, 1933) = 14 2. Schibsbye(1965) = 17 3. Quirk and Greenbaum(1972) = 21 B. 문제점 = 24 Ⅳ. 새로운 접근방법 = 31 A. Garci^´a(1977) = 32 B. Kirsner(1979) = 38 C. Langacker(1980) = 46 Ⅴ. 부정관사 a/an의 기본의미와 명사의 가산성 = 56 Ⅵ. 검증 = 70 A. 가산·불가산 두 용법으로 두루 쓰이는 명사 = 71 B. 불가산명사로 쓰이는 가산명사 = 79 C. 부정관사와 함께 쓰이는 불가산명사 = 84 Ⅶ. 결론 = 88 참고문헌 = 92 부록 : 사전상의 명사분류 = 96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31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정관사-
dc.subject가산성-
dc.subject명사분류-
dc.title英語 名詞의 加産性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untability of english nouns-
dc.format.pagevi,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