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韓國의 學校敎育課程에 關한 社會學的 考察

Title
韓國의 學校敎育課程에 關한 社會學的 考察
Other Titles
(A)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School Curriculum in Korea
Authors
張容喜.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학교교육과정School Curriculu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rapid change over the whole social phenomenon, today, largely influences schooling which plays an important function and role for the society. Schooling is highly organized by social demands which intend to make students into useful members for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o execute the ideal schooling, the curriculum which is ideally selected and organized has to be provided to the students. But the curriculum requires its modification or revision based upon changes in individual needs and social demands. In Korea, the curriculum was revised twice since 1955, the year of curriculum establishment by law. But it has failed to reflect the demands from society, because it was established under the confusion of Korean War. So it revealed much troubles on practice. Moreover, the change for all social circumstances caused it to revise the curriculum inevitably in the early of 1960's. As a consequence, it was revised first in 1963. But as schooling was executed in conformity with national policy oriented for economic growth, it resulted in the prevalence of materialism on society. Then, the demand of the times has happened which wants to establish the Korean educational doctrine. So the government, in 1968, established the Chater of National Education as a gide post of our education, and let-the Ministry of Education revise the curriculum to embody its idea. On this, the Minister of Education has revised the curriculum again in 1973 after partial modification in 1969. This new curriculum has three basic policy as following, (1) promotion of national disposition, (2)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r humanity, (3) reform in knowledge and technical education. Therefore, this thesis presented the sociality of education at first, and secondly, scrutinized the social background in establishment or revision of curriculum, and thirdly, examined the present curriculum through sociological study. In conclusion, several tasks is suggested to ahieve the three goals more effectively. To promote the national disposition, the selection and the practice of curriculum on the national literature, the national history, and the arts education have to be achieved with organic cooperation. So it must make the students of a creator of national culture and settle the national historical-view. To reinforce the education for humanity, moral education has to be reinforced. Today, under the confusion of social situation which is dominated by several value points, it is most urgent problem as intentional method for ideal characterbuilding. To reform, the knowledge and the technical education, experimental education and industry-school cooperation have to be reinforced.;오늘날 社會現象 全般에 걸친 急激한 變化는, 社會의 한 重要한 機能과 役割을 담당하고 있는 學校敎育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幾何級敎的으로 늘어나는 새로운 知識과 技術을 習得하고, 急變하는 社會에 適應할 수 있는 힘을 길러, 보다 바람직한 社會變化를 일으키는 原動力이 될 人間을 길러내고자 하는 社會的 要請은 自的的이고 意圖的인 敎育을 使命으로 삼고 있는 學校敎育을 高度로 組織化시키고 있다. 또한, 社會가 要求하는 理想的인 學校敎育을 實施하기 위해서는, 學校敎育이 그 機能을 다 하는데 中樞的 役割을 하고 있는 敎育課程이 理想的으로 選擇되고 組織되어 學生들에게 提供되어야 한다. 그러나 個人的 社會的 要求에 따라 구성되는 敎育課程은, 그들의 要求가 점차 變化됨에 따라 敎育課程의 修正 및 改正을 要하게 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 敎育課程 制定 以後 두 차례에 걸친 敎育課程의 全面的인 改正作業이 있었다. 大韓民國 政府樹立 以後 1995年에 처음으로 制定·公布된 各級學校 敎育課程은, 戰爭을 겪고 난 직후의 退亂期 속에서 制定된 것이 만큼, 當時 韓國社會가 敎育을 通해 時急히 해결해야 할 諸 課題들을 充分히 反映시킬 수 없었다. 이러한 敎育課程은, 그 實施上에 있어서 많은 問題點을 제기하게 되었으며, 더우기 1960年代 初期에 일어난 諸般 社會情勢의 變化로 인하여 敎育課程의 改正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63年에는 第一次 敎育課程의 改正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1960年代는 政策의 無點이 무엇보다도 經濟成長에 있었다. 이렇듯 全社會의 風潮가 經濟發展을 優位로 두게 되자, 이것은 浙次 物質的인 것에 價値를 높이 두는 思潮가 만연하는 結果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當時 經濟建設에의 置重이 物質萬能主義的 偏向性을 가져 오게 되자, 하루속히 韓國敎育理念의 定立이 있어야 겠다는 時代的 要請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敎育이야말로 다른 어느때보다도 來日의 歷史를 擔當할 世代에게 올바른 價値觀을 注入시킬 수 있는 가장 本質的인 길이며, 民族駿憊의 成敗가 바로 여기에 달려있음을 確信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 結果, 政府는 敎育의 指標로서 國民敎育憲章을 制定·宣布하고, 그 理念을 積極的으로 具顯시키기 위하여 文敎部로 하여금 敎育課程을 새로운 目標에 의하여 改正토록 하였다. 이에 文敎部는 當時 敎育課程에 部分的인 修正을 加하여 1969年에 公布하였으며, 그 후에도 敎育課程 改繼事業을 꾸준히 繼績하여 1973年에는 第二次로 全面的인 改正을 보았다. 새로운 敎育課程에서는, 國民敎育憲章理念의 具顯을 基本方向으로 삼고, (1)國民的 資質의 涵養, (2)人間敎育의 强化, (3)知識 및 技術敎育의 刷新을 基本方針으로 하였다. 따라서 本論文에서는, 敎育의 社會性에 대하여 서술한 다음, 敎育課程의 制定 및 第1, 2次 改正의 社會的 背景을 論하고, 마지막으로 現 敎育課程(1973年에 第二次로 改正된 것임)을 政治的 經濟的 社會的 側面에서 社會學的으로 考察한 後 結論을 맺었다. 結論에서는 現 敎育課程이 基本方針으로 하고 있는 三大目標를 보다 效果的으로 達成하기 위하여 補完되어져야 하는 課題들을 硏究하여 提言해 보는데 그 意義를 두었다. 첫째, 目標인 國民的 資質의 涵養을 위해서는 國語, 藝能, 그리고 國史敎育의 內容選擇 및 實踐에 있어서 有機的·協同이 이루어져야 한다. 요컨데 古典과 藝術作品들을 실지로 접하게 하고 史積을 見學게 함으로써 現場學習을 통한 三領域 敎科目사이의 相互 有機的 關係를 도모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民族文化의 精神을 이어받아 主體意識을 確立함으로써 傳統을 바탕으로한 새로운 民族文化를 創造해 낼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함과 아울러 뚜렷한 民族史觀을 定立시켜야 하는 것이다. 둘째, 目標인 人間敎育의 强化를 위해서는 道德敎育을 强化시켜야 한다. 社會가 急變함에 따라 多樣한 諸價値가 混在해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의 價値觀이 混亂을 일으키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 올바른 人格形成을 위한 意圖的인 手段으로서의 道德敎育의 强化는 무엇보다 重要한 課題라 하겠다. 세째, 目標인 知識 및 技述敎育의 刷新을 위해서는 實驗·實習敎育과 産學協同을 보다 强化해야 한다. 理論爲主의 敎育傾向에서 벗어나고 풍부한 實驗·實習을 통한 基本能力과 創意力을 기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學敎內의 施設이 擴充되어야 하며, 특히 實際와 遊離되지 않는 技術敎育을 위해서는 보다 能率的인 産學協同이 積極的으로 實施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