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韓國農村의 階層文化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農村의 階層文化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n hierarchic differentistion of Korean rural community
Authors
金慈惠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농촌계층문화토지집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rual community was expedited by the development of private land ownership system in the latter part of Lee Dynasty, thanks to the destruction of caste system, the progress of the money and commodity economy and the dissolution of feudal system of private land ownership. The government under the Japanese rule executed the project of examining the Korean land without any reform of semi-feudal landowner system which was prevailing in the latter half of Lee Dynasty. Conversely, the project of examining the Korean land in the Japanese rule nullified the every right, deriving from the land, of small landowner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registration system by way of re-confirming the land-ownership, and protected the semi-feudal landowner system by way of reconfirming the right of landowers as inviolable and sacred. Therefore, the hierarchy of the Korean rural community after the land examination was differentiated into landowners, self-sustaining farmers, tenant farmers. However, the colonial government of Japan in Korea brought about the dissoultion of Korean rural society-centralization of land owernership to the landowers, and destruction of self-sustaining farmers and tenant farmers. Cousequently, the hierarchic differentiation of Korean rural community under the Japanese rule resulted in the semi-feudal division between landowers and tenant farmers, because the semi-feudal land ownership system was prevalent at that time. And despite of the continuous tenant farmers conflicts demanding nullification of quasi-feudal landownership, hierarchic defferentiation was not developed modernally, and landowner ship as similar as that of late Lee Dynasty was continually maintained.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caused our rural society, to get the landowership system out of existence superficially and change the tenants to become the self-sustaining, thereby attaining the modern differentiation of social status. But the land reform broks the upper and lower hierarchy and the ruling class in the upper bracket changed the occupation and the remainder got worse. The basic problem of Korean rural community differentiation phenomena after the reform is that the self-sustaining farmers were the still same as what they used to be social status-wise and economy-wise. These small farmers earned their living by the other sources and the phenomena of being farmers without lend brought about the over-population of farmers. Furthermore,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ixties caused the small farmers to get worse and more to the cities or become labor suppliers in the rural areas. Then, large-scale migration of rural labor forces into urban areas was accelerated due to the heightened urbanization in the sixties, and the development of land cultivation methods also became o factor to change the social hierarchy in the rural community. The influx of rural labor forces into the urban areas is due to the pull factor from cities rather then the push factor of rural areas. The changing pattern of the cultivation methods from living means to commidity means drives the rice-only pattern to the complex products pattern. All these require us to study the relevance test as to the past analysis method of dividing the rural community in terms of size of land areas.;韓國에서 農村社會의 分化는 이미 朝鮮後期에 私的 土地所有가 展開됨에 따라 급속히 進行되고 있었다. 즉 身分制度의 붕괴와 화폐·상품경제의 成長의 進展과 더불어 封建的 土純所有制度는 解體되는 도중에 있었다. 그리하여 末期에 이르러 身分脚度는 실질적으로 붕괴되고 土地制度에 있어서도 半封建的 地主制度가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日帶는 1910~1918년에 걸쳐 소위 朝鮮土地調査事業을 실시하여 朝鮮後期의 半封建的 地主制度를 조금도 개혁하지 않고 그대로 일제치하로 移行시켰다. 오히려 日帝의 土地調査事業은 이미 朝鮮後期에 確立된 土地私有權을 再確認하여 登記制度를 도입하는 過程에서 小作地에 부착되어 형성된 小作展의 각종의 權利를 모두 소멸시키고, 地主의 所有權만을 신성불가침한 배타적 私有權으로 再確認해 줌으로써 半封建的 地主制度를 엄호한데 불과하였다. 따라서 土地調査事業後의 農村의 階層構造는 地主, 自作農. 小作農의 3階層으로 分化되었는데. 日帝의 植民統治는 地主의 土地集中化와 自作·小昨農의 沒落이라는 이른바 農村社會의 解體에 크게 作用하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결과적으로 地主制度의 內部로부터 小作農의 半封建的 地主制度의 폐지를 요구하는 끊임없는 小作爭議가 일어나기도 했으나 階層分化에 발전적 성과는 거두지 못한채 朝鮮王朝末期의 그것과 거의 다름없는 地主制度가 그대로 유지, 이행되었다. 8.15解放이 되어 日帝의 압박에서 풀려나자 우리의 農村社會는 農地改革法에 의해 형식상 地主的 土地所有가 소멸되고 小作農民은 自營農民으로서의 근대적인 階層分化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農地改革을 前後하여 農村내의 上下階層構造가 파괴되면서 上部構造의 支配階級이 農村 혹은 農業에서 직업전환을 하고 나머지 農民전체가 零細化하였다. 따라서 解方以後의 農地改革으로 인한 農民階層化 現象의 기본적인 문제점은 自作農의 性格問題인데, 새로이 創設된 自作農은 종전의 小作農과 마찬가지로 小農이고 經濟的으로도 小作農과 하등 그 차이를 認定할 수 없는 狀態하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이들 小農은 겨우 겸업으로 그생계를 유지하게 되고 農土를 잃어버린 農民아닌 農民이 생겨 農村過剩人口의 現象이 일어나게 되었다. 더우기 60年代의 經濟開發政策은 農業部問에 대하여 그 비중이 극히 낮았으며, 따라서 이들 小農들은(貧農)더욱 생활이 궁핍해져 都市로 移動해 가지 않을 수 없거나 혹은 農村내에 머물러서 農業勞動者化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던 것이 60年代 후반부터 가속화된 都市化와 産業化로 因하여 農村勞動力의 都市로의 대거 移動現象은 가속화되기 시작했고, 農業經營方式의 變化樣相도 農村社會 階層構成을 새롭게 變化시키는 하나 계기가 되고 있다. 農村勞動力의 都市로의 移動에 있어서도 그 移動方式이 60年代보다는 달리 農村의 Push요인 보다는 都市에서의 Pull요인이 더 크게 作用하고 인는 실정이다. 한편 營農方式에서 볼때 生計的 農業에서 商品的 農業으로 전환하려는 傾向은 米穀單作 農業體係에서 複合生産體係로 바뀌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에 辯地面積의 大小를 基準으로 하여 農村階層을 區分해 왔던 分析方法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 볼 必要性을 認識하게 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