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Title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Authors
최승우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국내에서는 방송 영상자료를 취급하는 방송국 자료실 및 관련 기관들마다 서로 상이한 메타데이터 형식과 요소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공통된 분야에서 표준화된 형식의 부재는 자료의 공유 및 교환, 통합검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한다. 앞으로 방송 환경의 디지털화가 확산된다면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에 대한 적극적인 이용과 요구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메타데이터의 유통과 활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형식들간의 상호운용성과 표준화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송 관련 기관에서 이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형식들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방송 현실에 맞는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 형식의 표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송 영상자료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방송 관련 메타데이터 형식인 TV-Anytime 메타데이터와 함께 방송 분야 메타데이터 중 더블린 코어를 확장 적용한 사례로 PB 코어 메타데이터와 EBU 라디오 메타데이터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KBS, MBC, SBS의 영상자료실과 한국방송진흥원의 디지털아카이브센터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요소 비교를 위해서는 타이틀 정보, 내용 정보, 제작진 정보, 제작 및 저작권 정보, 방영 정보, 촬영 및 제작일 정보, 배포정보, 시청각 정보, 매체 정보, 식별기호 정보, 관리정보, 이용정보, 기타 참조 정보의 13개 유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TV-Anytime 메타데이터, PB 코어 메타데이터, EBU 라디오 메타데이터의 사례와 방송 영상자료의 특성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메타데이터 요소와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 요소는 기본적으로 국내 방송 기관에서 기존에 이용하고 있던 요소들을 수렴하되 기관별 요소 이용의 문제점 및 상호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 및 통합하였으며, 국내 기관에서 표현이 부족한 속성들을 중심으로 요소를 추가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계층 구조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의 계층구조는 방송 영상자료의 내용물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계층적 구조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그룹 메타데이터, 프로그램 메타데이터, 코너 메타데이터, 기사 메타데이터, 장면 메타데이터로 구성하였다. 계층별 메타데이터는 구조 정보 영역의 요소를 통해 관계를 연결할 수 있으며, 구조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 더블린 코어의 HasPart과 IsPartOf 요소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를 위한 제안 요소는 요소 분석시 이용하였던 13개 유형 외에 구조 정보를 새로 추가하여 14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요소의 상세구분은 하위요소의 제안 또는 제시된 속성값에서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참고할 수 있는 통제어휘표가 있을 시에는 분류 스킴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하위요소는 상위요소의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정화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만약 하위요소의 이용을 원하지 않는다면 해당 하위요소를 무시하고 그 상위요소에서 데이터를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안 요소들은 각각의 메타데이터 계층에서 반복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계층별 의미에 제한된 요소 이용임을 고려해야 한다. 의미 구분 및 적용에 있어 혼동의 여지가 있는 제안 요소에 대해서는 정의, 적용과 관련한 설명, 적용 사례 등을 이용해 해당 요소의 의미 및 범주, 적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국내 메타데이터 비교 분석 결과 및 제안은 기존의 국내 방송 기관들에서 이용하던 메타데이터들간의 상호운용에 있어서 문제가 되었던 용어의 통일 문제, 요소의 범주와 이용의 혼재 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형식은 국내 방송 영상자료 메타데이터 형식들의 통합 및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련 메타데이터 설계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elevision archives are currently using different metadata format and elements. However, this discordance and absence of standards prevent data from fluently flowing and being shared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metadata format for television program materials in Korea. For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re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includs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program and television program materials. And the TV-Anytime metadata, PB core metdata and EBU core metadata set for radio archives are reviewed. KBS, MBC, SBS and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Digital Archive Center are selected and researched by using interview and case study. The metadata treatment status and input elements in Korea television archives are provided. Thirteen information types are used to compare data elements. They are titl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credits information, copyrights information, release information, production date information, distribution information, audio and video information, format information, identifier information, administration information, usage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The metadata format that is newly proposed in this study has a hierarchy structure. Hierarchy classes are television program group metadata, program metadata, corner metadata, news metadata and scene metadata. This structure is expressed by using HasPart and ISPartOF of Dublin Core Qualifiers. In the proposed metadata, some more elements are add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metadata format, because elements that have used in Korean television archives are not enough. The metadata format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current difficulties of inter-connection, with regards to data search which involves different input form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ame word and the range inconsistency between similar elements. The metadata format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basic research to synthesize and standardize Korean broadcasting's metadata format. In addition, it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build database and design metadata in the area of Korean broadcasting.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