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明嬉.-
dc.creator金明嬉.-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829-
dc.description.abstract集團的 勤勞關係는 團體協約에 의해 平和的으로 規律되는 것이 가장 理想的인 것이지만, 勞使의 利害의 對立이 언제나 平和的으로 解決될 수는 없으며, 어떤 意味로는 協約自律은 集團的 利害關係의 對立을 힘에 의하여 解決할 수 있는 方法이 前提되어 있기 때문에 可能한 것이다. 그러나 勞使間의 紛爭은 當事者들 自身에게 經濟的損失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나아가 國民生活에 對하여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하여 勞動爭議調整法은 勞使關係의 公正한 調整을 圖模하고 勞動爭議를 予防 또는 解決함으로써 産業平和의 維持와 國民經濟發展에 蹉跌이 없도록 여러가지 制度를 마련하고 있다. 諸外國에서도 이에 類似한 立法的 措置를 取하고 있으나, 그 方法과 內容은 國家의 經濟的, 社會的, 政治的 諸條件에 따라 各己 다르다. 다만, 共通的인 特性을 發見할 수가 있는데, 이는 즉 勞動爭議調整制度의 要點은 勞使間의 自主的인 解決이며, 解決이 되지 않을 경우에만 國家나 政府機關이 助力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勞動爭議調整法은 이러한 自主的 解結이라는 基本原則을 明示하고 있다. 그러므로 本 論文에서는 우리나라 現行 勞動爭議調整制度가 自主的解決의 原則下에서, 그의 立法趣旨에 符合되게 運營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調整을 擔當하고 있는 機關構成과 調整節次 開始의 側面을 中心으로, 諸外國의 制度와 比敎하여 考察해 보았다.;Both parties often commence discussions with aims and views different from each of other's-resolving these differences is what the bargaining process is all about. So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the techniques developed to assist the parties in reaching an equitable solution to disputes that arise before or under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Remember tha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for enabling the parties to reach a solution which is mutually satisfactory via collective bargaining, so a third-party is employed only when the parties fail to resolve the issues on their own. The preferred method of reach agreement on the issues is to negotiate. The aim of the labor laws is to promote the procedure of negotiations, and agreements reached will usually be given great weight unless they violate a law or public policy. On the basis of this theory, I analyze and criticize our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The important contents are as follows : 1. Introduction to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2. Comparative Law on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A.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in United States B.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in West Germany C.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in Japan D.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in Philippine, Singapore & Malaysia 3. The Principles of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4. Dispute Settlement in Korea A. Introduction B. Construction and Questions of our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5. Conclu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勞動爭議調整制度의 槪觀 = 1 B. 勞動爭議의 槪念 = 5 C. 硏究의 目的 = 7 D. 硏究의 方法 = 7 Ⅱ. 各國의 勞動爭議調整制度에 관한 立法例 = 8 A. 美國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9 1. 聯邦斡旋調停部에 의한 調整 = 12 2. 全國調停委員會에 의한 調整 = 13 B. 西獨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14 1. 州調停官(landeschlichter)에 의한 調整 = 16 2. 仲裁委員會(Schiedsausschuss)에 의한 調整 = 16 3. 經營組織法上의 和解機關에 의한 調整 = 17 C. 日本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19 1. 勞動委員會에 의한 調整 = 19 가. 斡旋 = 19 나. 調停 = 20 다. 仲裁 = 21 라. 緊急調整 = 21 2. 公務員勞動法(以下 公·勞·法이라 함) 및 地方公務員勞動法 以下 地·公·勞·法)에 있어서 公共企業體등 勞動委員會 및 勞動委員會에 衣한 전爭論調整 = 22 D. 필리핀·싱가폴·말레이지아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23 1. 필리핀에서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23 2. 싱가폴에서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25 3. 말레이지아의 勞動爭議調整制度 = 26 Ⅲ. 勞動爭議調整制度의 基本原則 = 28 Ⅳ. 우리나라의 現行 勞動爭議調整制度 = 33 A. 序說 = 33 B. 現行 勞動爭議調整制度의 構造 및 問題点 = 36 1. 一般調整制度 = 36 가. 調整機關構成에 있어서의 民主性 = 36 나. 調整節次開始에 있어서의 自主性의 原則 = 41 다. 調整의 效力 = 45 2. 特別調整制度 = 48 가. 調整機關構成에 있어서의 民主性 = 48 나. 調整節次開始에 있어서의 自主性의 原則 = 51 Ⅴ. 結論 = 54 參考文獻 = 58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217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동쟁의-
dc.subject조정제도-
dc.subject법학-
dc.title勞動爭議 調整制度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198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