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景順.-
dc.creator張景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8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3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873-
dc.description.abstractPlains in Korea are usually considered as being in the old stage. but in reality, however, many plains in a much earlier stage of development exist. One particular case is the Nak Dong river which runs through the mountains. In the Nak Dong river area there are not any so-called free meanders usually attributed to landforms in the old stage. On the lower part of the Nak Dong river there is a flood plain and an alluvial plain thicker and wider than any that could be formed by the lateral erosion of the river. Most of the rice fields in Korea consist of these alluvial plains. Although the hills near alluvial plains are used as rice fields, there is as a whole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how the hills and the alluvial plains are used. A village is usually located on the same hill as the one is used for the rice fields. In the past, an alluvial plain on the lower part of a big river was almost always a wasteland because it was a march or in the sphere os tidal influence. Nowadays, however, with dams being constructed and the completion of irrigation arrangements this area has been turned into a rice-grain district. The Jin Young plain, sitting on the lower Nak Dong river has characters similar to those mentioned above. The geomorphic process and the use of the land is as follows. The Jin Young plain, one of the widest inland plains in our country, is mainly composed of alluvial plains. It has a narrowly developed patch of eroded land that can be considered as a plain. According to the summit level map, the Jin Young plain is outlined by a 25m contour line and the area above the 25m line is characterized by steep-sloped mountains which forms a great erosion basins surrounded by mountains with the height of 300m or so. Here the hills, located occasionally on the alluvial plain are of great importance in many respects. The Jin Young plain's development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ternary glacio-eustatic oscillation. When the sea level was low during the glacial epoch, the Nak Dong river flowed into the Taihan Strait which sharply deepened the strait along its steep continental shelf. Therefore the Nak Dong river has excavated a deep erosion valley. This explains why the channel bed wave on the lower Nak Dong river is very gentle. The sea level of the Jin Young plain, some 50km away from the mouth of Nak Dong river, is only 5 to 10m, because the erosion valley basins were buried by the accumulations of the Nak Dong river during the low tide. The alluvial Jin Young plain, furnished with a natural levee and well-developed backswamp, is one of the flood plains. A natural levee, often chosen for a village lot and developed as a farm-land, is around 10m above the sea. The backswamp is widely developed especially south-west of Jin Young plain. It occupies a wider area than the natural levees do. The backswamp stands about 5m above the sea. In the old days most of it was a marsh or a field of reeds, but now with the completion of irrigation, water pumping, and drainage it has changed into a area of rice fields. In the past, men usually established villages on the natural levee or hill where they could escape from the danger of flood with ease, but from the ninteen twenties (1920's) since they've labored to develope the backswamp, new reclamation villages began to appear near the waterways and farmland.;우리 나라의 平野는 일반적으로 老年期 地形으로 解圻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야외에 展開되고 있는 地形 중에는 老年期와 관련 지을 수 없는 것들이 많다. 특히, 洛東江은 河口 부근까지 河道兩岸에 山地가 인접해 있는 곳이 많아서 老年期 地形에서 기대되는 이른바 自由曲流河道를 볼 수 없다. 그리고 下流에는 河川의 側方侵蝕에 의해 形成될 수 있는 것보다 두껍고 넓은 氾濫原 또는 沖積地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沖積地는 우리 나라의 畓作에 있어서 核心을 이루고 있다. 물론 沖積地 주변의 丘陵地에서도 畓作이 행하여 지기도 하지만 그것은 巨視的으로 볼 때 局地的이고, 주로 緊落 또는 밭 등으로 利用되어 土地利用 면에서 뚜렷한 差異를 보여주고 있다. 큰 河川 下流에 位置하는 平野 地帶의 沖積地는 대개 潮流의 영향권 내에 있거나 또는 低混地로서 과거에는 거의 불모지와 다름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堤防의 築造와 灌漑施設의 完備로 거의 전부 農耕地로 바뀌어져서 대부분 곡창지대가 되었다. 洛東江 下流에 位置한 進永平野는 이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地形發達 및 土地利用은 다음과 같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內陸平野의 하나인 進永平野는 대부분 沖積地로 構成되어 있으며, 平野地形에 소속시킬 수 있는 侵蝕地는 극히 좁게 發達되어 있다. 切峯面圖에 따르면, 25m의 等値線은 대체로 進永平野의 範圍를 나타내며 25m 等値線 以上의 地域은 비교적 急傾斜의 斜面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進永平野는 300m 以上의 높은 山地로 둘러 싸인 거대한 侵蝕盆地性 地形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沖積地 內의 곳곳에 分布하는 丘陵地는 여러가지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進永平野는 第四紀 海面變動과 밀접한 관련하에서 發達되었다. 氷期외 低海面時 洛東江은 大陸柵의 傾斜가 急하고 水探이 갑자기 깊어지는 大韓海峽으로 流入했기 때문에 侵蝕谷을 매우 깊게 팠을 것이라고 추측되는데, 洛東江 下流部의 河床勾配가 극히 완만한 것도 이와같은 이유일 것이다. 河口에서 약 50㎞ 이상 떨어진 進永平野의 해발고도가 5~10m로 극히 낮게 나타나는 것은 後氷期의 海面上昇과 더불어 깊게 파였던 低海面時의 侵蝕谷 내지 盆地地形이 洛東江의 堆積物質로 매몰되었기 때문이다. 進永平野의 沖積地는 氾濫原에 해당하는 바, 自然堤防과 背後混地가 잘 發達되어 있다. 自然堤防의 해발고도는 약 10m 내외로 일찍부터 聚落의 立地로 선정되있으며 농경지로도 개발되었다. 背後混地는 특히 進永平野의 南西쪽에 넓게 發達되어 있는데, 自然堤防에 비하여 면적이 훨씬 넓게 나타난다. 지면의 해발고도는 5m내외로 극히 낮고 과거에는 混地 또는 갈밭이 대부분이었으나, 지금은 관개시설과 양배수의 설치로 거의 전부 논으로 개발되어 畓作의 中心地를 이루고 있다. 聚落은 洪水 피해가 적은 自然堤防이나, 또는 丘陵地에 주로 發達했었으나, 1920인 경부터 적극적인 背後混地의 개발로 水路와 農耕地를 背景으로 한 새로운 開拓村이 發生하기 시작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 3 Ⅱ. 洛東江의 水文 = 5 Ⅲ. 進永平野의 地形發達 = 17 A. 進永平野의 範圍 = 17 B. 沖積地形 = 21 1. 沖積地의 形成 = 21 2. 自然堤防과 背後混地 = 25 C. 侵蝕地形 = 31 Ⅳ. 進永平野의 土地利用 = 36 A. 地形과 土地利用의 變貌 = 36 B. 灌漑施設과 農耕地의 開發 = 47 C. 聚落의 發達 = 53 Ⅴ. 結論 = 57 參考文獻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8592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진영평야-
dc.subject지형-
dc.subject토지이용-
dc.subject지리학-
dc.title進永平野의 地形 및 土地利用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Geographical Study on the Landforms and Land Use of the Jin Young Plain-
dc.format.page65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7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