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劉禧瀞-
dc.creator劉禧瀞-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9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2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901-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ynthetically and critically the theory of status inconsistency as a method of stratification analysis. This paper also deals with the problem of applying the theory to Korean Society. Since Lenski introduced the concept of status inconsistency for the first time in 1954, many researches have tried to prove it empirically that status inconsistency is connected with various human attitudes and actions, such as political liberalism, prejudice, withdrawal from interaction, Psychosomatic symptoms and suicide. But the theory of status inconsistency has man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l problems in itself. First, the results of many researches are not consistent to show that the concept of status inconsistency has an absolute utility in explaining various social phenomena. Next, while the theory has been tested by numerous empirical researches, it has many methodological problems with respect to operational definition and measurement. Especially, the problem of controlling the independent effect of each status vainables, which is essantial for measuring the effect of stauts inconsistency validly, is yet to be solved. The theory of status inconsistency tends to emphasize and interpret the effect psychologically. So, the theory overlooks the aspect of social stucture, which influences the degree, form, and effect of status inconsistency, which may vary according to different social structure with varying historicall background. The phenomena of status inconsistency are found more frequently in a society where social mobility and social change occurs on a large scale. A comparative study shows that the more industrialized a society is, the more the system of status tends to be consistent. In a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various mechanism can operate in such a way to reduce or avoid psychological tension due to status inconsistency. But in a society with a low level of industrialization,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tatus inconsistency, especially of the underrewarded type, can incur great psychological tension and be a potential source of revolution or social movement, However, the effect of status inconsistency on the society may depend upon the historical and social structural reality of the society to a greater extent than hitherto studied. As a method of stratification analysis, the theory of status inconsistency has many limitations, too. First, the theoretical rationale to accept the theory as an independent approach is weak. Second, the theory can be understood in the framework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theory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That is, it focuses on individuals and interpersonal relation, emphasizes social psychological phenomena and approaches in an empirical fashion. So, the theory remains to contain the limitations of the American stratification theory.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iculties,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in applying the theory to Korean society uncritically. Moreover, the theory being based on American society, it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stable and extensive middle class. In so far as the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to have a polarized class structure, the analysis of Korean society by status inconsistency, that is, non-vertical dimension, must be applied only supplementarily to an analysis of the vertical dimensions. In Korean society, it should be preceded by understanding how economic vertical dimension, that is, class, affects the various aspects of social structure.;1950年代에 새로운 階層分析方法으로 등장한 地位不一致論은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현재까지도 이용되고 있다. 本 論文은 地位不一致論에 대하여 綜合的이고 批判的으로 考察하는 데 그 目的이 있다. 동시에 이러한 作業을 통해 地位不一致論을 韓國社會에 適用하는 問題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傳統的인 階層分析方法은 階層을 單一次元으로 보고, 垂直的 次元을 중시한다. 이에 반해 地位不一致論은 階層을 多次元으로 보고, 여러 地位次元들간의 一致, 또는 不一致라는 水平的 次元을 도입하면서, 독립된 接近方法으로 등장하였다. Lenski가 1954년 처음으로 地位不一致의 槪念을 도입한 이후, 政治的 進步主義, 偏見, 自殺 등의 다양한 인간 態度와 行動이 地位不一致와 관련된다는 것을 經驗的으로 입증하기 위한 많은 硏究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地位不一致論은 그 自體內에 많은 理論的, 方法論的 問題를 가지고 있다. 우선 地位不一致에 관한 많은 調査結果들은 地位不一致가 여러 社會現象을 說明하는 데 有用한 槪念이라는 사실을 確實하게 뒷받침해 주고 있지 않다. 또한 地位不一致論은 주로 經驗的 調査를 통해 발전된 理論이기 때문에 操作的 定義, 資料分析方法 등에 있어 여러 方法論的인 問題가 提起된다. 특히, 地位不一致의 效果를 妥當性있게 밝히기 위해 必須的인, 각 地位變因들의 獨立的인 效果를 통제하는 問題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地位不一致論은 地位不一致의 效果를 心理學的으로 解釋하고 있다. 즉 地位不一致는 언제나 개인에게 心理的 緊張을 주므로, 地位不一致者는 이를 해소하려 한다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心理學的 前提에 依存하고 있다 그 結果 地位不一致現象의 程度 및 形態, 效果에 영향을 주는 社會構造의 側面을 看過하고 있다. 地位不一致現象은 社會分化, 社會移動, 社會變化 등의 現象과 관련된다. 한 硏究에 의하면 産業化된 社會일수록, 地位體系는 一致하는 傾向이 있으며, 敎育과 職業, 職業과 收入은 一致되나, 敎育과 收入은 一致되지 않는 傾向이 있다고 한다. 한편 地位不一致가 個人 및 社會에 미치는 效果도 社會構造에 따라 다르다고 하겠다. 高度로 産業化된 社會에서는, 地位不一致에서 생기는 緊張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는 여러 가지 機制가 作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社會에서 地位不一致는 社會變化를 일으키는데 보다능 오히려 階級意識을 모호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반면에 産業化의 수준이 낮은 社會에서, 地位不一致, 특히 높은 敎育水準에 비해 收入이 적은 報償未達型은 個人에게 큰 心理的 緊張을 주고, 革命이나 社會運動을 일으키는 潛在力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社會에서 실제로 地位不一致者가 革命的 運動의 主導勢力이 되는가는 그 社會의 歷史的, 社會構造的 現實에 달려 있는 것이다. 한편 階層分析方法으로서 地位不一致論은 여러 가지 制限點을 가지고 있다. 우선 階層의 水平的 次元을 강조하는 地位不一致論이 독립된 接近方法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合理的 根據가 약하다 하겠다. 地位不一致論은 기존 理論에 비해 說明하는 現象의 범위를 확대한 것도 아니고, 더 간단한 說明을 제공해 주지도 않으며, 社會現象을 더 正確하게 豫見하게 해주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地位不一致論은 個人을 中心으로 對人關係 및 여기서 생기는 社會心理的 現象에 注目하고, 이를 實證的으로 접근하는 美國學者들의 階層연구의 경향과 그 性格이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런 意味에서 地位不一致論도 社會的 不平等의 사실을 記述할 뿐, 階級現象으로 社會構造 및 그 變動을 說明하지 못하는 美國學者들의 階層 연구 경향이 갖는 限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같은 地位不一致論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問題點들을 고려할 때, 地位不一致論을 無批判的으로 韓國社會에 적용하는 데는 상당한 問題가 있다고 하겠다. 더구나 地位不一致論은 美國社會에서 발전된 理論으로서, 一般的으로 광범위한 中間階層의 存在를 前提하고 있다. 그러나 韓國社會의 階層構造를 中間階層이 적은, 兩極化된 構造로 볼 때, 韓國社會에 地位不一致論, 즉 水平的 次元을 無批判的으로 적용하는 것은 個人間의 競爭이나 地位比較의 過程을 강조한 나머지, 오히려 階級間의 葛藤의 問題를 소홀히 다룰 危險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韓國社會를 兩極化된 階層構造로 볼 때, 地位一致, 不一致라는 水平的 次元에 의한 韓國社會의 分析은 어디까지나 垂直的 次元에 의한 分析을 補充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韓國社會에서는 階級이라는 經濟的 垂直現象이 오늘날 韓國社會構造의 여러 問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하는 問題에 대한 硏究가 時急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 地位不一致의 定義와 理論의 圖式 = 7 A. 定義 = 7 B. 理論의 圖式 = 12 Ⅲ. 地位不一致의 效果 = 14 A. 態度, 行崙에 나타나는 效果 = 14 B. 心理學的 解釋 = 26 Ⅳ. 杜會構造와 地位不一致 = 33 A. 地位不一致現象의 程度와 形態 = 33 B. 地位不一致現象의 社會的 效果 = 38 Ⅴ. 地位不一致論에 對한 批判 = 45 A. 독립된 接近方法으로서의 合理的 根據 = 45 B. 方法論的인 問題 = 48 C. 階層分析方法으로서의 含意 및 制限点 = 53 Ⅳ. 結論 = 60 參考文獻 = 68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250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위불일치론-
dc.subject사회학-
dc.subjectINCONSISTENCY-
dc.title地位不一致論에 관한 一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HEORY OF STATUS INCONSISTENCY-
dc.format.page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