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京姬.-
dc.creator朴京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2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81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복식을 통해 표현되는 일반예술사조와 복식형태의 변화를 樣式論的으로 논술하였다. 이는 樣式論的인 비교만이 아니라, 사회상이나 의식구조상의 변화를 통해, 미래의 복식양식블 추론할 수 었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본문에서는, 1910년대 뽈·쁘와레(Paul Poiret)에 의한 혁신적인 복식의 출현이후, 예술전반과의 연관성이 짙어진 1960년대와 형태면에서 새로운 양상을 시도하였던 1970년대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현대복식은 근대의 過剩裝飾性에서 벗어나 自然美를 표현하는데 특색이 있다. 戰後의 이례적인 好景氣를 구가하였던 1920년대의 복식은 H자형 실루엣의 개방적인 분위기를 표출하였다. 그러나, 1929년의 공황은 다시 폐쇄적인 X자형 실루엣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세계 제2차대전의 상혼이 회복되고, 향상된 생산성으로 好景氣를 구축하였던 1960년대는 몇가지 복식의 혁신을 가져왔다. 기능성 위주의 복식이며 비구조적(Unstructured) 형태의 복식이란 점에서는 1970년대와 공통점이 있으나, H자형 실루엣을 사용하여 형태의 단순화, 대담한 육체의 노출, 강렬한 색채감으로 이 시대의 사회상을 나타내었다. 1970년대 초기의 유류파동은 경기변동을 다시 침체기로 이행시켰고, 복식형태는 로우-웨이스트(Low-Waist)에서 제허리선으로 돌아간 1930년대의 경향으로 복고되었다. 완전한 폐쇄적 X자형 실루엣은 형성하지 않으나, 육체의 曲線이 그대로 나타나지는 않으면서, 형태의 변형을 시도하여 성숙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복식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경제, 사회성에 따른 복식형태의 변화를 비교하고, 美學的 측면에서의 복식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유행이란 주기적 반복 현상을 나타내므로 1980년대 초기의 복식은 다시 侏守的樣式의 복고풍을 表出하리라 推論하였다.;The costume style has progressed from over-decorated bustle shape of hates to S-shape by the aecomodation of art nouveau late 19th century. By the 20th century, art trends had moved from art for art to for the personality as importance of function. Costume both has reflected the society of the period and has intimate relation with the art trend of the same period. Up-to-date the mode has diversified and fashion trend has been industrialized. Modern fashion trend get out of the former over-decoration and give expression as natural beauty from the unfolding a formative specific character. The first recognizable trend setter of the century was Paul Poiret, whose 1910s dress followed the directorire silhouette than in fashion while expressing also a strong, individualized simnlicity. The unprecedented success of Dior was due to the inevitable combination of tastes and talent and infinite capacity for detail. Also the appearance of mini skirt was the cardinal point es the relation with the art. So, it constructs the modern fashion trend vividly in costume. Bold disclosure of the body and the formative simplification are as the same example as the simpl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abstract art. To this point, by the African and Indian native primary color's fever and the clear and loud color of geometrical pattern adds the intense the 1960s' open-heerted, future-directed, girl-like costume trend contr sts with the 1970's costume as the late 1930s' costumeamoved from open-hearted style to closed style. The 1970s' style has unstructured, comfort, casual image and deformed with loose look and big look as the modern fashion's now style. It make contrast with the 1960s' style which was open-hearted, future-directed, coloured and girl-like. The contents of fashion showed periodic repitition character. The 1960s and the 1970s' fashion contents showed the same point in unstructured but two immense different trends of the modern fashion. In the Flugel's theory of styles we can see the repitition of the progressive style and conservative style. It showed that the l920s' progressive style and the 1940s and 1950s' conservtive style has changed again as the 1960s' progressive style to conservative style of the 1980s. So, I deduce the 1980s' style is conservative and tailored look which wes shown at the late of the 197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유행의 의미 = 2 Ⅲ. 현대 복식의 경향 = 5 A. 1960년 까지의 복식 = 5 B. 1960년대의 복식 = 10 C. 1970년대의 복식 = 16 1. 루즈·룩시대 = 17 2. 이국정취시대 = 18 3. 빅·룩시대 = 22 4. 테일러드·룩시대 = 23 Ⅳ. 1960년대와 1970년대 복식의 양식론적 비교 = 27 A. 개방적과 폐쇄적 = 27 B. 미래지향적과 낭만적 = 31 C. 색채적과 형태적 = 36 D. 미숙적과 성숙적(Girl-like, Lady-like) = 40 Ⅴ. 결론 = 43 현대복식 경향의 비교표 = 45 현대 복식의 경향 = 46 참고문헌 = 47 도판 = 50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191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현대복식-
dc.subject양식-
dc.subject1960년대-
dc.subject1970년대-
dc.title現代服飾의 樣式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60年代와 1970年代 服飾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tyles in Modern Costume : Chiefly on Costume of the 1960s & the 1970s-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7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