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훈-
dc.creator정영훈-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2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76-
dc.description.abstract「신미녹」은 19세기초에 있었던 홍경래난을 소재로 하여 쓰여진 국문 방각본 작품이다. 이 작품은 흥경래난이라는 반역적 사건을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특히 그것을 방각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신미녹」에 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행해진 바 없으나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신미녹」 이 관중심의 시각 아래 쓰여진 것이고 흥경래난의 역사적 의의를 부각하는데는 실패한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신미녹」에 관한 이같은 연구들은 몇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신미녹」이 방각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정당한 주목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신미녹」이 쓰여진 시기의 역사적 한계에 대한 고려에 지나치게 인색하다는 것이다. 관중심의 시각으로 쓰여졌다는 결론 역시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위에 내려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인식하고 우선 「신미녹」의 서술방식, 인물형상화 방법, 주제를 구현한 양상 등을 면밀하게 검토했다. 그러기 위해서 시대를 달리해 나타난 홍경래난 소재 작품들, 즉 한문 필사본 「흥경래전」, 구활자본 「홍경래실기」와의 비교 검토를 하였고 홍경래난 당시 난의 진압에 참가했던 개인들의 기록인 「진중일기」,「서정일기」등도 대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미녹」은 관중심의 시각이 견지되어 있는 작품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이 작품의 구조가 비통일적으로 이루어 졌다는 분석결과에 근거한다. 이 작품의 구조적 특징인 비통일성은 우선 작품의 구성면에서 관군 중심의 서술과 흥경래군 동정 중심의 서술로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호칭이 도적 혹은 경래로 혼재되어 있는 것도 이를 방증한다. 중립적이고 사건 재현 중심의 진술이 기조를 이루면서도 비지배계충의 활약에 이르러서는 문학적 윤색을 가미하여 과장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서술 방식 역시 비통일적 모습을 보여준다. 인물에 있어서는 봉건적 충절을 바람직한 이데올로기로 내세우고 있으면서도 그를 구현한 봉건관료들은 무능한 인물로 형상화하여 이중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흥경래를 무뢰배라 언표했지만 기실 작품속에서 그와 같은 시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지는 않았다. 이처럼 작품 전체가 비통일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한 결과, 「신미녹」 은 봉건왕조가 존재해 있어 충절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전면적으로 부인되기는 어려웠던 시기, 그러나 근대적 민란이 배태되고 있고 민중적 힘이 이미 문학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역사적 계기의 문학적 절충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흥경래라는 반역자를 상업적 출판의 대상으로 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명이 된다. 이 작품을 사서 읽었던 당시 독자들의 기호 역시, 반역을 경계한다는 계몽적 필요에 의해 형상화된 '역적' 흥경래보다는 대규모 반란의 지도자로서의 홍경래에 더 큰 흥미를 지닐 수 있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이 반영되어 한편으로는 당연히 토벌되어야 할 역적 홍경래로 작품에서 언표되면서, 동시에 이와는 다른 효과를 주는 문학적 장치들이 개재되는 비통일적인 구조를 지닐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미녹」이 홍경래난 소재의 작품군들 가운데서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함을 보이고 「신미녹」의 이같은 구조적 특징이, 반역적 인물이나 의적을 바탕으로한 다른 소설들의 구조나 주제 구현 양상에 대해서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지를 언급하므로써 이 논의가 확대될 수 있는 논리적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Shin Mi Rok (신미녹) is a Korean literary work, the block print so called Kyeong Pan(京板), in which the rebellion of Hong Kyeong Rae (홍경래) in the early 19th century was written as a subject matter. This work attracts our attention in that it dealt with a rebellious event and above all in that it was the block print.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narrative technique, the method of characterization, and thematic aspects in Shin Mi Rok. For this purpose, first I compared this work with other similar works about the rebellion of Hong Kyeong nae which was written in different periods, such as The Life of Hong Kyeong Rae, a Chinese copy, The History of Hong Kyeong Rae, an old printed book. And then I also compared it with the story of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rebellion of Hong Kyeong Rae, such as The Diary of Suh Jeong, The Diary of Jin Jung. As a resut,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Shin Mi Rok is seen to be the lack of unity and coherent structure in the narrative technique, characters, and the point of view: Although Hong Kyeong Rae was called as a rascal in this work, the author did not mention that point of view consistently. While the feudal ideal of loyalty was admired, the person who embodied the loyalty was criticized as an incompetent man, And for the action of lower rank, whatever idea he had, it was appraised. This characteristic of double, contradictory elements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literary and social condition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when this work was printed. This work is the result of mixing and comprimising of two situation, the existence of feudal ideology and its breakdow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대상 및 방법 = 5 Ⅱ. 「辛未錄」의 題材와 形成背景 = 13 A. 홍경래난의 배경과 역사적 의미 = 13 1. 18, 19세기의 사회적 배경 = 13 2. 평안도 지방의 일반적 정세와 홍경래난 = 15 B. 홍경래난의 소재로서의 성격 = 20 Ⅲ. 「辛未錄」의 構成과 展開 = 26 Ⅳ. 「辛未錄」의 文學的 性格 = 35 A. 사건의 서술 방식 = 35 1. 홍경래난의 배경 = 35 2. 난의 준비과정 = 39 3. 난의 전개과정 = 43 B. 인물의 성격부여 양상 = 63 1. 홍경래와 우군칙 = 63 2. 봉건지배관료-- 정시, 임성고 형 = 68 3. 비지배계층-- 한호운, 운낭 형 = 71 4. 변절자-- 김익순 형 = 74 C. 주제의 구현 양상 = 76 Ⅴ. 『辛未錄』의 文學史的 意義 = 82 A. 『신미녹』의 구조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 = 82 B. 『신미녹』의 문학사적 위상 = 89 Ⅵ. 結論 = 93 參考文獻 = 95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558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미록-
dc.subject홍경래난-
dc.subject방각작품-
dc.subject역사소설-
dc.title『辛未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hin Mi Rok-
dc.format.page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