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보경-
dc.creator권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2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71-
dc.description.abstractCho-eu Eu-sun(草衣 意恂, 1786-1865) was a Buddist priest of artistic talent who was famous for writings of books about Tea(茶) and Zen(禪)during late chosen dynasty. This study i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uddhist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during late Chosen dynasty by investigation over-all aspect of Cho-eu's poems. There are 345 poems in Cho-eu Si-go (『草衣詩稿』: Anthology of Cho-eu) and Il-gi-am Si-go(『一枝庵詩積』 : Anthology of Il-gi-am) which is discussed in this study. I thought that Cho-eu's poems are classified three parts in contents. There are the poems expressed dharma, the poems expressed nature, and the poems expressed living. I classified the poems expressed dharma into the poem of expression Buddhism(法理詩), the poem of understanding Zen(悟道詩), and the poem of seeking dharma(求法 詩), and the the poems expressed nature into the poem of seclusion(隱居詩), the poom of Zenetic interesting(禪趣詩), the poem of self-enjoying(自樂詩), and the poem of things(詠物詩). Finally, the poems expressed living were classified into the poem of praising(讚美詩), the poem of mooning(哀悼詩), the poem of parting(送別詩), and the poem of meeting(會合詩). In the discussion the study sees following results. 1. The poems expressed dharma: the thou인Is of Kong(空), Wha-eum (華嚴), and Zen(禪) which are parts of Buddhism are expressed Through the works as a Cho-eu's view of life and the world. 2. The poems expressed nature; I considered Cho-eu's viewpoint of nature and pursuit of beauty of nature through the poems singing scenery of nature. 3. The poems expressed living; I though Cho-eu's poems which he exchanged with his companions showed reduction of religious aspect expressed the Buddhist Literature in those times. The last, I studied about the value and the peculiarity of Cho-eu's poem and the literatural history's significance of his poem. Finally, Cho-eu Eu-sun's poems accomplished superior circumtances of the Buddhist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by the Buddhism as the poetic peculiarity and the poetic contents.;이 논문은 지금까지 佛家 漢文學 硏究에서 소홀히 했던 朝鮮 後期 佛家 漢詩 硏究의 일환으로, 이 시기에 詩僧으로 이름이 높았던 艸衣 意恂(1786-1865)의 문학세계의 特性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후기 佛家 漢文學의 一面貌를 드러내기 위해 시도되었다. 논의의 전개과정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生涯에 대한 檢討와 著述과 思想에 대한 고찰을 동해서, 그의 문학세계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초의는 鞭羊 彦機派의 法脈에 속하는 僧侶로서 禪과 敎를 兼修하는 佛敎的 傳統을 이어받고, 實學派 文人에게서 詩를 배우는 한편, 많은 儒家 文人들과 交遊했음을 일생에 대한 검토에서 알 수 있었다. 초의는 文學作品 이외에도 茶와 禪에 관한 저술 및, 기존의 逸話나 史料에 의거하여 사실을 정리한 저술을 남기고 있는데, 禪에 관한 著述에서는 선의 이론보다는 실천적인 깨달음을 중요시하는 禪思想이 드러났고, 그 이외의 著述에서는 經驗과 客觀的 事實을 중요시하는 實證的 著述態度가 파악되었다. Ⅲ장에서는 초의의 作品世界 全般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초의의 작품은 作家의 世界觀과 情緖에 의해 作品의 題材들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意味의 層位, 즉 內容에 따라 佛法이 表現된 詩, 自然이 表現된 諦, 生活이 表現된 詩로 분류될 수 있다. 불법이 표현된 시는 불경의 내용 및 사상을 담고 있는 法理詩, 禪的인 깨달음의 경지가 나타난 悟道詩, 求道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求法詩로 나뉘어진다. 이 작품군에 나타나는 불교적 세계관은 華嚴 및 空思想, 그리고 禪思想이며, 표현적인 특징으로는 서정적 양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자연이 표현된 시는 은거의 의지를 나타내는 隱居詩, 불교적 세계관으로 자연을 해석하는 禪趣詩, 자연에서의 감흥을 표현하는 自樂諦, 그리고 단일자연물을 제재로 한 詠物詩로 나뉘어진다. 이 작품군은 불교적 세계관이 작품의 深層에 내제하고 있으며, 표현적인 특징은 작품에 등장하는 자연 題材들이 강한 불교적 상징성을 획득하고 있는 점과, 佛敎的 直觀으로 자연을 묘사해 냄으로써 작품 안에 禪理를 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생활이 표현된 시는 상대방을 찬양하는 讚美詩, 죽음을 슬퍼하는 哀悼詩, 이별을 노래하는 送別詩, 그리고 문민들과의 모임을 노래하는 會合詩로 나누어진다. 작가의 主觀的 情緖가 강하게 드러나는 哀悼詩와 送別詩에서는 불교적 세계관이 나타나고, 교유의 상장에서 지어진 讚美詩와 會合詩에서는 불교적 세계관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보았던 세 가지 부류의 시들이 서로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艸衣 시의 문학적 특성을 밝힌 다음, 그의 작품이 佛家 漢文學史에서 갖는 意義를 논하였다. 초의의 시에서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자연시는 불법이 표현된 시에 나타나는 종교성과 생활이 표현된 시에 나타나는 일상성을 작품의 내면에 받아들이므로써, 불교적 심상과 상징이라는 수사법을 사용하여 독특한 문학세계를 형성해 내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의의 작품은 宗敎的 敎戒性이 적고 文學性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특징이 佛家 漢文學史에서의 意義가 된다는 사실을 前 時代 작가와의 비교를 통해 고하였다. 초의의 작품경향은 당대의 儒家 文人인 紫霞 申緯와 秋史 金正喜의 文學論 및 文學世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절은 불가의 한문학이 유가의 영향을 일방적으로 받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추론해 낼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상으로 艸衣의 生涯와 思想, 그리고 문학을 고찰한 결과, 그는 중세의 지배적인 가치가 와해되는 이행기에서 자신의 불교사상을 독단적으로 내세우지 않고, 불교적 세계관을 작품으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 宗敎性을 크게 내세웠던 기존의 佛家 漢文學의 경향에서 탈피하여 수준 높은 문학세계를 형성해 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Ⅰ. 序論 = 1 Ⅱ. 艸衣의 生涯와 作品背景 = 6 A. 艸衣의 生涯와 交遊關係 = 6 B. 著述態度와 思想的 傾向 = 16 Ⅲ. 艸衣 詩의 樣相 = 27 A. 佛法의 表現 = 28 1. 法理詩 = 29 2. 悟道詩 = 37 3. 求法詩 = 40 B. 自然의 表現 = 46 1. 隱居詩 = 47 2. 禪趣詩 = 55 3. 自樂詩 = 73 4. 詠物詩 = 77 C. 生活의 表現 = 81 1. 讚美詩 = 82 2. 哀悼詩 = 86 3. 送別諦 = 87 4. 會合詩 = 88 Ⅳ. 艸衣 詩의 文學的 特性과 文學史的 意義 = 91 A. 艸衣 詩의 文學的 特性 = 91 B. 文學史的 意義 = 101 Ⅴ. 結論 = 104 참고문헌 = 106 부록 = 111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398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어국문-
dc.subject초의 의순-
dc.subject한시-
dc.title艸衣意恂의 漢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etry in Chinese character of Cho-eu Eu-sun-
dc.format.page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