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崔蕙蓮.-
dc.creator崔蕙蓮.-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6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671-
dc.description.abstract情意敎育 卽, 人問敎育의 한 方法으로 小集團 經驗學習이 適用되는 傾向이 요즈음 敎育界에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敎育現場의 추세에 따라 본 硏究는 中學校 學生들 情意敎育의 한 方法의 小集團 經驗學習을 적용시켜 본 實驗的 硏究이다. 本 硏究에서 使用된 小集團 經驗學習의 內容은 중학교 학생들의 情緖的 水準과 身體的 發達정도에 맞는 "연습"의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이 "연습"의 내용들은 주로 小集團 經驗者들이 모두 적극적이며 자발적인 表現力을 向上시키기 위한 것들로 구성하였다. 또 本硏究는 1976년 9월중에 서울 시내 한 중학고 1학년 학생 21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65명) 1名當 3회에 걸쳐 총9시간의 경험학습을 실시했고, 그 효과 측정은 鄭元植의 자아개념검사지(1970)로 하였다. 그 결과 자아개발검사 내용중 총자아긍정점수(T·P)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공변량 분석결과는 意義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아동일시점수(Ⅰ)도 사전-사후 검사점수의 공변량분석에서 意義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아수용점수(Ⅱ)는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공변량 분석에서 별 의의없는 변화를 보였으나 자아행동점수(Ⅲ)에서는 意義있는 변화 나타냈다. 또한 實驗集團의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의 분류에서도 각 집단의 점수변화 경향은 하집단>중집단>상집단으로 나타났으나 t검증에서는 의의있는 수준이 보이지 않았다. 그리하여 本硏究에서는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기타 제한점 및 시사점등이 논의되었다.;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n affective education of a total human, T-Group Experiential Learning is highly esteemed today's educational field. According to such a trend of active education,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urvey that applies T-Group Experiential Learning to affective education. The materials of T-Group Experience Learning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a composite of "Exercises" agreeable to the level of preaddercent mentality and physical development. This "Exercise" consists of the materials to expedite the positivity and spontaneous expression of th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Group Experiential Learning was given 3 times for 9 hours percapita during September, 1976. The effect of this Learning was measured by Self-Concept Test (Chung Won-Sik, 1970). Using the co-variant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ositive (T.P) Self Score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lso the simil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 Identity Score (Ⅰ) and Self Behavior Score (Ⅲ). But insignificant degrees of change were found in Self Satisfaction Score (Ⅱ).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 Middle, Low) on the basis of pre-group learning T.P Scores. The magnitude of pre and post differences in Self-Concept Scores among these three sub-groups were tended to be in the order of Low group, Middle group and High group, although not all the inter-sub group differences did reach the significant level of .05. In addition,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ⅸ Ⅰ. 緖論 = 1 A. 연구의 취지 및 목적 = 1 B. 연구의 意義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情意敎育의 槪念 = 5 B. 중학생의 정의적 특성 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 9 C. 레크레이션으로서의 "연습"의 意味 = 15 D. 小集團 經驗學理論과 旣存硏究 = 18 E. 본 연구의 가설 = 29 Ⅲ. 硏究方法 = 31 A. 실험 설계 및 실시 = 31 B. 도구 = 33 C. 자료의 처리 = 35 Ⅳ. 結果 및 解釋 = 36 A. 결과 및 해석 = 36 Ⅴ. 論議 및 結論 = 47 參考文獻 = 51 附錄 = 54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67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학생-
dc.subject소집단-
dc.subject학습-
dc.subject정의교육-
dc.title中學校 學生들의 小集團 學習을 通한 正意敎育에 關한 一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ffective Education through the T-Group Experience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dc.format.page63, 2 p. :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