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閔桂淑.-
dc.creator閔桂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8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6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1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620-
dc.description.abstractRousseau는 여러분야에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그의 사상의 주조를 이루고 있는 것은 하나의 일관된 사상, 즉 자연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논문은 그의 모든 작품에 깔려있는 자연사상에 관하여 Emile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려고 한다. 그 자신 스스로 Emile의 밑바탕에는 자신의 근본원리가 있다고 말하고 있는 만큼 이 작품속에 인간과 문명에 관한 그의 견해가 나타나 있다. 이 논문은 3부로 나누어 제1부 ‘자연의 인간’, 제2부 ‘인간의 자연’, 제3부 ‘Emile과 인간의 이상’이란 구성으로 하였다. 제1부 ‘자연의 인간’에서는 인간의 근원적인 선성을 다룬다. 인간의 본질은 선하다. 그러나 사회가 인간을 타락시켰고 인간을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Rousseau는 그의 사상전개에 있어 출발점으로 하고있다. 사회의 외부적인 힘이 인간 본연의 모습을 더럽히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악은, 사회속에서 인간을 괴롭히는 것에 대한 증오로부터 발생하는 것이고, 본래 악산 인간의 개념은 용납할 수 없기 때문에 현실의 악을 본성으로 귀결시키지 않는다. 또 인간의 이기심, 자기중심성을 원초적인 마음의 움직임이라고 봄으로써 인간의 근원적인 선성을 인정한다. 제2부 ‘인간의 자연’에서는 인간속의 자연인을 본다. 근원적인 선성을 인정하므로써 교육의 가능성을 긍정하고 Rousseau의 교육이론을 통하여 형성되는 자연인의 모습을 살펴본다. 그는 사회의 구성 요소인 권위, 편견, 관습, 제도등 이러한 것들이 인간속의 자연성을 약화시키는 요소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보편적인 인간교육을 통하여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인간을 그린다. 인간은 행복하기 위하여 많은 것을 추구하고 얻으면서도, 실은 사회속에서 구속되어가고 있으며, 또 중요한 것을 상실해가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자연성이라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자연, 그것은 사회의 발달에 따르는 문명을 그대로 유지해 가면서 인간의 마음속에서 인간 본연의 모습을 되찾자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인위적인 간섭없이 자연에 따른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장식적인 지식의 축적이 아닌 이성을 통한 건전한 판단력과 도덕을 중시한 교육을 시도한다. 여기서 자연은 다시 근원적인 선성 문제와 연결된다. 결국 선성은 인간의 마음속에 자연성을 발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제3부 ‘Emile과 인간의 이상’에서는 자연인과 사회인의 조화를 다룬다. 인간은 사회인이 되면서 타인을 의식하게되며 자신에게서 벗어나 타인의 의견속에서 살아간다. 이때 근원적인 선성은 사회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침해를 받는다. 인간의 본성인 선과 사회의 본질인 악의 사이에서 인간은 괴로와 한다. 이렇듯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는 일종의 필요악임을 Rousseau는 인정한다. 그러므로 사회인인 자기와 본래 자연인인 자기와의 조화가 이루어져야만, 진정 사회인이면서 자연인으로 살아갈 수 있다. 이러한 이상적인 인간상을 Rousseau는 Emile의 모습으로 나타내 주고 있다. 이것은 교육에서 얻어진 이성의 힘에 의하여 도덕적인 인간으로 완성되는 일이다. 이때 비로소 자유로운 인간일 수 있다는 것이다. Rousseau가 Emile이라는 한 인간의 완성을 순수한 자연상태에서가 아니라 사회와 연결된 상태에서 찾은것은 이 두 개가 서로 조화되어야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Rousseau는 Emile에서 교육이론 보다는 자연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자연성의 회복에 의하여 인간의 보편적인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의 개념을 Emile의 교육사상으로 나타낸 것이다.;Les ide´es fondamentales de Rousseau sont fonde´es sur la nature. Il condamne toujours les pre´juge´s de la socie´te´et re´clame la nature. Il dit que l'homme souffre dans le conflit de la nature et de la re`gle sociale. Alors, le plus remarquable, c'est qu'il de´veloppe une the´orie sur la nature, don de Dieu. Cette the`se est divise´e en trois parties. Ici nous voyons' son point de vue sur la bonte´ naturelle, ensuite sur la nature humaine, et sur l'harmonie de l'homme naturel et de l'homme social a` travers son oeuvre Emile. "Emile qui m'avait cou^te´ vingt ans de me´ditation et trois ans de travail" dit Rousseau. C'est pourquoi j'ai choisi Emile. Dans la premie`re partie, nous e´tudions la bonte´ originelle de l'homme. Rousseau voit partout le de´veloppement d'un grand principe : dans l'e´tat originel, l'essence de l'homme est bonne, mais la socie´te´ a de´prave´ l'homme et l'a rendu mise´rable. L'homme devient insensible au juste et au bon. C'est-a`-dire l'homme est necessairement corrompu par des causes exte´rieures : l'argent, la puissance et les pre´juge´s. Done Rosseau de´teste tous les ouvrages humains. Pour lui, la notion d'un homme originellement mauvais est inadmissible. La me´chancete´ ou le mal ne peut venir que de la re´pulsion pour un autre dont l'existence nous menace. Rousseau ryit l'amour-propre et la concentration exclusive, puisque les premiers mouvements de la nature sont toujours droits. Par conse´quent l'homme de la nature se rappelle a` la bonte´. Dans la dpuxie`me partie, nous voyons la nature humaine. On ta^che de gagner beaucoup de choses pour satisfaire ses besoins, mais en effet on perd l'important. C'est la nature humaine. Alors, Rousseau aspire au retour a` la nature pour diminuer le malheur. Retourner a` la nature, ce West pas rele´guer l'homme au fond des bois. Il faut qu'il voie par ses yeux, qu'il sente par son coeur. L'homme qui se de´tache des pre´juge´s et des re`gle´s de la socie´te´, est l'homme libre. "L'e´ducation des hommes est la seule dont nous soyons vraiment les mai^tres." dit Rousseau dans Emile. La troisiem`e partie nous montre que Rousseau aspire a` l'harmonie de l'homme naturel et de l'homme social pour r´ealiser son ideal de bonheur. Ici, it faut me´moriser que le bonheur d'autrui soit aussi important que celui de soi. Alors Rousseau dit que la participation a` autrui peut fe´conder la vie de l'homme. Pour cette harmonie, le coeur et la raison ont besoin l'un l'autre. La raison est le fruit de l'e´ducation. Et l'instrument d'adaptation au milieu social, le sentiment est le seul moteur de la volonte´. L'homme naturel quoique civilise´, c'est l'ide´al de Rousseau. C'est l'harmonie de l'homme nature/ et de l'homme social. Rousseau se dit que l'homme devient possible plus heureux, quand on entretient la nature humaine. Donc it nous faut retrouver la nature humaine qui est ne´glise´e et oubliue´e par le de´veloppement de la civi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 本論 = 5 A. 自然의 人間 - 人間의 善性 - = 5 B. 人間의 自然 - 人間속의 自然人- = 24 C. Emile과 인간의 이상 - 자연인과 사회인의 조화 - = 45 Ⅲ. 結論 = 60 參考文獻 = 63 Re´rsume´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02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emile-
dc.subjectrousseau-
dc.subject자연사상-
dc.titleEmile에 나타난 Rousseau의 自然思想에 관한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