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노동요에 나타나는 여성의 체험과 자기인식

Title
노동요에 나타나는 여성의 체험과 자기인식
Other Titles
Experiences and Self Recognition of Women Appeared in the Worksongs : Comparative Study on the worksong of Men and Women
Authors
박미라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노동요여성체험자기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구비전승 자료의 하나인 여성 노동요를 진술 내용의 측면에서 남성 노동요와 비교하고 분석하므로써 여성의 체험, 욕구, 관심사, 인식 등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데 있다. 이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의의를 갖는다. 즉 남성 중심적인 문화 속에서 여성의 숨겨진 체험과 인식을 밝혀낼 수 있으며, 지구 상의 엄청난 수의 문명 여성들의 경험까지도 연구 대상으로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여성의 구술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방법들을 제시한다. 첫째, 연구자는 여성주의적 시각을 가져야 하며, 둘째 여성들이 구술하는 이야기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장에서는 노동요에 드러나는 여성의 경험과 인식을 보다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한 현장 조사 연구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기록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여성 노동요와 남성 노동요 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배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으로 우선 남녀 노동의 형태와 노동의 범위를 알아 보았고, 그 다음에 현장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동과 노동요의 관계 그리고 구연 상황에 대해서도 알아 보았다. 남성노동과 여성 노동의 차이는 행동의 통일, 힘, 노동의 장소, 집단성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난다. 그리고 이 네가지 기준에 따라서 노동요가 얼마만큼 노동에 밀착되는가도 결정된다. 또한 여성 노동요는 여성 노동의 특성상 그리고 사회 관습상 몰래 불리워졌으며, 남성 노동요와는 달라서 극소수의 비노동 계층 여성을 제외하고는 노동하는 모든 계층의 여성이 향유했다. 5장에서 노동요의 내용 분석이 구체적으로 이루어 졌다. 진술 내용에서 나타나는 남성 노동요와 여성 노동요의 차이는 다음의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노동의 고통과 보람에서 보면 여성 노동요는 남성 노동요보다 노동을 힘겹고 어려운 것으로 표현하고 있고 노동의 보람도 나타나 있지 않다. 반면에 남성 노동요에서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긍정적이며, 국가에 대한 충성이나 가족의 부양에 대한 보람도 표현된다. 둘째, 남요에서 성에 대한 관심은 노동요의 주요 주제가 될 만큼 많이 표현되고 있으며, 님에 대한 묘사도 성적 대상화나 파편화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부요에서는 님이 전인적 인간으로 묘사되며, 남편은 여성에게 있어 절대적인 존재로 부각된다. 세째, 여성은 자신의 처지에 대해 비관적이지만 남요는 긍정적이고 낙천적이다. 네째, 여성은 주로 시집 식구에 대해 강한 적대 의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남요에서의 적대적 대상은 양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적대 의식의 정도가 여성 노동요에 비해 매우 약하다. 6장에서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드러나는 여성 노동요의 두 가지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째로 여성 노동요는 창자 자신의 노래라고 할만큼 자신의 처지와 심정을 표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런 자기 표현의 노래는 여성 집단 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개인과 집단이 통일되는 것이다. 그러나 남성 노동요에서는 개인과 집단이 철저히 분리되는 데 즉 혼자 부르는 노래와 다같이 부르는 노래가 다르다는 것이다. 둘째로 여성 노동요는 억압 집단의 노래이기 때문에 지배 집단의 문화와 억압 집단의 저항 문화가 공존하는 형태를 띄게 되어 복합적인 내용을 갖는다. 여성노동요에서 나타나는 표현 방식과 복합적인 인식 중에서 저항의 언어를 올바로 분석해 내므로써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다. 앞으로 본 논문을 기초로 하여 발전된 여성 물화 연구와 여성사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남요는 지나치게 현실을 긍정적이고 낙천적으로 바라보므로써 현실의 제반문제들을 회피하려하고 있고, 부요는 현실의 억압적인 문제에 직면하려고 하지만 현실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남녀 노동요는 위의 몇가지 주제에 대해 비교적 상반된 인식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본 논문을 기초로 하여 발전된 한국 여성사와 여성의 경험 연구가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women's experience, desire, interest and recognition clearer than ever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work-songs of women and ten which is one of oral traditions in view of statements. This attempt has two meanings as follows. Firstly, we can find out women's buried experience and recognition in the male-centered culture. And secondly, we also can study the illeterate women'a experiences-there are many women who can't read and write at all in the world. In chapter 2, three methodologies are suggested to analyse women's oral traditions. First, the researcher should have feministic perspective. Secondly, she(or he) should understand the CONTEXT of woman's oral tradition. Thirdly, in the process of study, interviewer should be equal with one's interviewee. In chapter 3, the method and process of field research which is suggested a proper way to reveal women's experience and recognition in the worksongs. In chapter 4, the context which makes differences between women's worksongs and those of men are examined. For those purposes, first of all the form and scope of work of women and ten is studied. And in the base of work and worksongs and the situation of oral performande are also studied.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s work and men's work are found as a unification of activities, power, work places and collectivity, which determine th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worksongs. Female worksongs are sung secre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female work and the customs at that tire, which is different to those of men. And female worksongs are enjoyed through all classes except few high-class women. In chapter 5, the worksongs are analysed in concrete. The differences of male and female work-songs from statements can be classified briefly as follows: 1. Difference in hardness and content of work 2. Difference in delineation about sex, love, and lover 3. Difference in consciousness of her(or his) situation 4. Difference in antagonism In the women's worksongs, firstly their work is expressed hard and difficult and no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men accept work positively and express a kind of patriotism and satisfaction for supporting their family. Secondly, the descriptions about sex are very great and a lover is only not a sexual object in male work-songs. On the other hand, a loveeeeer is delineated as a human being and her husband is expressed as an absolute person in female work-songs. Thirdly, while women are pessimistic about their situation, men are positive and optimistic. Forthly, while women have a strong antagonism against their family-in-law, men against aristocracy and that is meek compared with that of women. In chapter 6, the two characteristics of women's worksongs revealed in the content analysis before are examined. Firstly, women's worksong has the structure which express one's situation and emotion, and helps to make rapport with women. But in men's worksong the personal and the group are seperated to the back bone, which is meant that the songs are different when one is alone or comparied. Secondly, in the women's worksongs the dominant culture and counter culture are found altogether because they are songs of oppressed group. So they have multiple voice. We can find the possible form of women's emancipation by analysing the way of statement and multiple voice in women's worksongs in proper point. I anticipate this study would be a brick to the here develope Korean women's histories and the more study of women's experi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