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錦姬-
dc.creator朴錦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0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91-
dc.description.abstract韓國 近代貿易에 관한 硏究는 전체적인 무역실태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各 開港場別 事例硏究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本稿는 이러한 맥락에서 群山港을 연구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群山港은 금강, 만경강, 동진강 유역의 비옥한 곡창지대를 배후지로 하여 그 관문인 전라도 서북단 錦江 河口에 위치하였다. 古來로부터 국가적 상품유통의 중심지였던 群山은 그 배후지를 동반한 지리적인 유리함 때문에 日本으로부터 끊임없는 開港 요구를 받아 1899년 5월 1일 開港되었다. 開港이후, 群山港의 外國貿易은 대부분 일본과의 무역이었다. 開港초기에는 직통항로의 未개통, 금융기관의 미비, 大資本의 부족 등에 기인하여 群山港의 외국무역이 부진하였지만 1906년 統監府 설치 이후부터는 統監府 권력의 보호하에 외국무역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수출품의 주종을 이루었던 것은 米穀·大豆·牛皮인데, 이 중 米穀이 단연코 수위를 차지하였다. 群山港의 총 수출액에서 米穀이 차지하는 비중은 70-80% 이상이었다. 이는 他 開港場 보다도 群山港이 米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 수입품의 주종을 이루었던 것은 역시 면제품이었고 이와함께 일용잡화·가마니 등도 다소 수입되었다. 한편, 群山港의 內國貿易은 開港이래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統監府 설치이후 그의 영향으로 감소하게 된다. 移出品 중 주종을 차지하였던 것은 米·苧布·韓紙·韓貨 등이며, 移入品은 他 開港場에서 재수입되어 들어오는 金巾·石油·성냥, 그리고 국산품인 明太魚 등이다. 群山港의 內國貿易은 仁川과의 무역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群山港의 內國貿易은 거의 절반 이상이 外國貿易의 성격을 띠었다. 왜냐하면 他 開港場과의 移出入時 移出品의 일부가 외국으로 재수출되고, 移入品의 일부도 외국상품이 재수입되는 유통체계였기 때문이다. 群山港의 주요 무역품의 流通狀況은 국산품을 제외하면 모두 日商들이 그 유통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특히 日商들은 동업자간에 단체를 결성하고, 이를 통해 商權을 확보해 나갔다. 이에 대해 韓商들은 일찍부터 그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즉, 順興社라는 客主會와 商船會社 등 각종 회사·단체를 결성하여 韓商들의 商權을 옹호하고, 이 조직의 힘과 자본으로 外商에 대응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단체 뿐만 아니라, 客主 등의 개별적인 움직임도 보인다. 그러나 결국 群山港 內의 상권은 日商에 의해 주도되어 나갔다.;The studies of a modern trade must be proceeded case study that has a grip of a general trade reality and a characteristic. On this base, I regard Kunsan Harbor as a example and studied it. Kunsan Harbor has the granary of the vally of the Kum River, Mankyeong River, Dongjin River behind it and is located at the lower reaches of the Kum River in western of Cheonlla Do.(全羅道) From former, Kunsan had been a center of national commodity circulation and by geographical adventage, it had constantly been demanded open by Japan and opened a port in 1, May, 1899. After opening of a port, the foreign trade of Kunsan was generally traded with Japan. In early stage of opening of a port, the foreign trade of Kunsan made little progress by being short of a direct course, a banking system and great capital. By the way, Japanese imperialists(統監府) was established in 1906 and under the protection of it, the foreign trade began to proceed rapidly. The composition of export trade was mainly rice. The rate of rice in the total sum of export trade was more than 70-80%. Kunsan Habor exported rice more than any other open ports. The composition of import trade was mainly cotton cloth. Also, daily-bread, Kamani(가마니) etc., was somewhat imported. The domestic trade of Kunsan Harbor had been gradually proceed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imperialists but after, it was reduced to by influence of Japanese ieperialists. The composition of the domestic export was mainly rice, hemp cloth and Korean money. The composition of domestic import is Kum-Keon(金巾), oil and matches from another open ports and Alaska pollack of domestic goods. The domestic trade of Kunsan Harbor had activity of trade with Incheon(仁川). It tended to have a characteristic of a foreign trade more than half. In domestic imports and exports with others open ports, because the part of exports was re-exported to the foreign country and that of imports was re-imported foreign production. Circulation of the main composition of trade on Kunsan Harbor was held real power by Japanese merchants except domestic goods. Especially Japanese merchants formed various guils and held commercial power with them. On the other hand, from the early period, domestic merchants moved against the loot of Japanese merchants' commercial power around Kunsan Harb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ⅲ Ⅰ. 머리말 = 1 Ⅱ. 群山淃의 立地條件과 開港 = 3 A. 群山港의 地理的 條件 = 3 B. 群山港의 開淃 = 7 Ⅲ. 群山港의 貿易構造 = 12 A. 外國貿易 = 12 1. 外團實易의 推移 = 12 2. 輸出入 商品의 構成 = 20 B. 內國貿易 = 31 1. 內國貿易의 推移 = 31 2. 移出入 商品의 構成 = 35 3. 他 開淃場과의 商品流通狀況 = 43 Ⅳ. 群山港 貿易構造의 性格 = 46 A. 群山港 主要 貿易品의 流通 狀況 = 46 B. 日商들의 商權주도와 韓商의 對應 = 56 Ⅴ. 맺음말 = 65 參考文獻 = 68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875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한제국기-
dc.subject군산항-
dc.subject무역구조-
dc.subject한국역사-
dc.title大韓帝國期 群山港의 貿易構造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trading structure in port Kunsan in Daehan Empire period-
dc.format.pageiv,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