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銀柱.-
dc.creator李銀柱.-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0Z-
dc.date.issued196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3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0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356-
dc.description.abstract□紙電氣泳動法은 예민한 光學的方法을 사용한 종래의 電氣泳動法에 비하여 正確度인 點에서는 좀 모자라는 동시, 操作時 항상 條件이 일정할 수가 없어서 그 移動距離가 엄밀히 말하여 동일할 수가 없으나, 대개의 값은 같은고로 충분히 分析目的에 사용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每回의 實驗에서 mA가 수시로 변하는 것으로도 한 例를 들수가 있는것이다. 호지가 電鮮液을 다량흡수하고 外部溫度가 높으면 MA가 상승하고 낮은 mA의 電流가 흐르도록 하면 이온의 移動距離가 큰 것을 육안적으로도 볼수 있었으며, 또한 호지의 놓은 위치 방법에 따라 현저히 移動距離가 변하는것을 여실히 느낄수가 있었다. 그러므로 正確을 기울여 매번 같은 위치에 놓아야 한다. 筆者는 가능한 限 諸條件을 동일케 하려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다른 數値를 내어, 이것을 평균하여 그 이온의 移動距離로 정하였다. Ⅲ章에 쓴 表에서 보는바와 같이 대체로 移動距離의 크기는 Ca^(++)<Ba^(++)<Sr^(++)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H가 큰 액에서 더 큰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엿볼수가 있다. 즉 같은 계열의 緩衡液 PH 7,3에서 보다 PH 9,3에서 더 큰 數値를 보였으며, 또 다른 계열의 緩衡液 PH 3,3에서 보다 PH 5,3에서 더 큰 數値를 나타내고 있다. PH 1,3의 緩衡液으로 實驗한 결과, 이 液은 수소 이온 濃度가 커서 높은 電氣抵抗을 갖게되고, 二次的으로 溫度는 上昇하여 높은 mA을 表示하고 이때 생기는 熱로 호지는 타서 實驗을 행하지 못하였다. 또 보통 電鮮液에서도 높은 濃度에서는 같은 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電鮮液은 될 수 있는 限 흽가한 溶液이어서 낮은 mA의 電流가 흐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0,1 M 乳酸에서는 다른 電鮮液에서 보다 班點이 꼬리를 길게 끄는 것을 볼수 있었으며, 0,1 M NH₄ AC + 0,5 M NH₄ OH에서는 班點이 상당히 명확히 나타났다. 筆者는 上記 事實로 알카리 土金屬에 대한 電鮮液은 암모니아 계열의 것이 좋은 것으로 본다. PH 7,3인 緩衡液에서 各이온과 PH 5,3인 緩衡液에서 Ca^(++)은 +極으로 移動하였다. 顯色時 班點은 紫色이나 도색을 나타내야 하나 着色되지 않고 他部는 顯色試藥빛을 나타내였다. 班點이 亐色인것과 +極으로 移動한 것으로 미루어 complet ion 形成으로 생각한다. 끝으로 筆者가 사용한 電鮮液으로 알카리 土金屬의 Ca^(++), Ba^(++), Sr^(++)은 分離될수 있는 것을 確認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緖論 = 1 Ⅱ. 實驗 = 4 A. 原理 = 4 B. 裝置 = 4 C. 實驗時 泳動에 關係하는 諸要素 = 6 D. 實驗方法 = 15 Ⅲ. 實驗結果 = 26 Ⅳ. 考察 및 結論 = 27 參考文獻 =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4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지-
dc.subject전기영동법-
dc.subject알카리토금속-
dc.title濾紙電氣泳動法에 의한 알카리土金屬의 分離-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약학과-
dc.date.awarded196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