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분노의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Title
분노의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Authors
한일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분노여성주의목회상담기독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안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인간 관계 안에서 침묵되고 억압되어 결국에는 왜곡된 방법으로 표출되는 여성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또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출발점은 여성으로서의 필자 개인의 경험과 가부장 사회의 억압적인 현실 속에서 있었던 성서 속의 여성들의 잃어버린 분노와 그리고 오늘날 여전히 교회 여성의 현실 속에서 침묵되고 있는 분노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다.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일반심리학에서 말하는 분노의 이해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분노에 대한 이해들을 제시한다. 일반심리학에서 말하는 분노에 대한 이해는 다양하다. 많은 심리학자들이 분노는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인간의 정서라고 말한다. 즉 모든 사람이 분노라는 감정을 경험한다. 또한 분노는 적대감 혹은 공격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때로는 적대감과 공격성을 수반하기도 하지만 분노에는 긍정적인 측면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분노의 원인들도 인간 관계 속에서의 좌절과 자존감에 대한 상처, 열등감, 부당한 일이나 사회적인 불의 너무나 다양하다. 또한 분노에는 짜증으로부터 격노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단계가 존재하고, 분노는 건강한 분노 혹은 왜곡된 분노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 왜곡된 분노가 여러 가지 문제들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분노의 원인은 사회 구성적 요인들과도 관련이 있어서, 문화나 성에 따라서 나타나는 양상이 달라진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일반심리학의 이해와는 달리 여성의 분노 표현에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여성의 삶에 있어서 분노는 여성의 심리 구조와 여성이 처해있는 상황/현실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들은 가부장적 사회의 차별적 인식에 의해서 자신들의 분노를 오랫동안 억압해 왔다. 생애주기를 통해 볼 때, 여성이 남성과 다르게 분노를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은 후기 아동기를 지나면서부터 이다. 이것은 여성들에게 있어 분노가 부정되고 억압되며, 왜곡된 형태로 표출되기 쉬운 이유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이원론적인 사고는 여성의 억압을 더욱 강화하였고, 그러한 틀 속에서 분노를 파괴적인 것으로 보는데 공헌해왔다.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볼 때 분노는 여성들이 자신의 힘을 인식하는 매개로서, 변화를 위한 매개체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적 목회상담의 접근은 교회의 여성들이 억압된 자신들의 분노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돕고자 한다. 분노에 대한 여성주의적 목회상담의 출발점으로서 목회상담자의 역할은 중요하다. 목회상담자 자신의 분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목회 상담자가 상담의 과정에서 여성들이 분노를 인정하고 수용하도록 돕는 데에 공감과 힘의 부여는 필수적인 것이다. 그리고 목회상담자 자신이 상담에 있어서, 일상의 삶의 과정에 있어서 모델이 될 수 있다 상담자로서의 목회자는 공동체 안에 나타난 분노의 문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분노를 다루는 상담과 돌봄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여성들의 분노의 해결하도록 돕는 목회상담의 기법으로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 번째로 분노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여성들이 분노를 중심으로 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삶 가운데 형성된 분노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분노를 인식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두 번째로 자기 자신과 대화하기는 여성으로서의 자신을 수용하며, 자신의 분노를 인정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상하기를 통해 자기 자신과의 내적 대화와 글쓰기 등을 통한 내적 대화가 있다. 이러한 분노에 대한 인식과 변화의 작업들을 통해 여성들은 자신의 분노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데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세 번째로 분노 표현하기는 주장성(assertiveness)에 기초하여 여성들이 자신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분노 표현하기는 여성들이 수동적이거나 공격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의 권리와 감정들을 존중하고 분명하고 정직하게 자신의 감정들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분노는 억압되어야 할 그 무엇이 아니라 건강하게 표현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성주의적 접근에 기초한 분노에 대한 목회상담은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분노를 왜곡된 방법으로 표출하여 고통당하는 여성들이나, 분노의 감정을 전혀 느낄 수 없는 무력한 상태에 빠져있는 여성들을 위하여 교회가 시작해야 할 우선적 과제이며, 동시에 교회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나가야 할 목회적 과제이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the anger of women who are expressing restrained anger by methods distorted in the church, the home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person and person. Also, it aims to suggest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by which the anger is changed to energy to transform women's liv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is a recognition about what it is that caused my individual experiences as a woman, the restrained anger which is shown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bible and also which still appears in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the Church today. It i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진 understanding and feministic understanding of angers as basic, works for the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Many varieties of anger are mentioned in the aspect of the general psychology. he understanding of anger as a psychological state covers a wide variety. Psychologists have said that it is a natural and normal emotion for human beings, who are experiencing anger. Anger is accompanied by hostility and an aggressive attitude but it also has positive sides.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warm anger. The other is cold anger. This causes a lot of problems. The causes of anger are related to factors in society, so that the figures are changed by culture and gender. The aspects of feminism offer an understanding of anger in depth rather than general psychology. Anger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women and in women's mentality. Women have been repressing their anger for a long time by the discriminatory ac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The dualistic thoughts of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strengthen the oppression of women and contribute to regarding anger as destructive in a framework such as this. In the feministic aspects, anger is used as an intermediation or a medium for the recognition of women and change. Depending on this premise, I would try to help so that women can express their oppressed anger through the approach of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ling. The role of the pastoral counselor is very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for feministic and pastoral counseling on anger. Pastoral counselors must understand their anger and help women to acquire and accept their anger in the counseling process. The pastor, as a pastoral counselor should show concern by counseling and care, about the anger in his/her community. There are three technical methods of pastoral counseling to help in solving the problem of anger. First, it is in talking, caring sessions in which the counselor lets women talk through their anger by themselves. This is done so as to lead women to grasp the problem of their anger through talking about it. This is the first step for the recognition of anger. Second, it is inner dialogue, which can help women to accept themselves as a woman and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change themselves. There are two inner dialogues, one is to imagine and the other is to write down the contents of the various angers. Third it is by expressing anger on the basis of assertiveness. It is to help women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emotions without hurting other people. In the aspect of feminism, anger is not anything else but a way to express it in a healthy manner. Pastoral counseling on the basis of anger from a feminist aspect should go ahead for women who have been oppressed and lack expression by the distorted attitudes in the church. This is the first task in the pastoral concern for women in the chu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