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을 위한 근린공원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Title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을 위한 근린공원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neighborhood park for improving the image of city environment
Authors
안정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Keywords
도시환경이미지근린공원모형사례대현 공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case study of environmental design aims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by solving problems through systematic approaches. Human beings are surrounded by their environment that they interact with passively. At the very beginning, mankind have been being adapted themselves to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lso actively affected or even changed the environment to establish various cultures as the result of those interactions. Therefore human being is interconnected and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culture. The culture and the way of life are answers of mankind to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o increase in the chance of their survival. That is why people develop the different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where they are put in their own environment. Generally, our thoughts and behavior are developed by our experience that we learn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experiencing more in a better situation, people could expand this limitation to the better one. Therefore, if we study our surrounding environment, develop the better one, and provide the better condition so that nature and man-made environment can coexist, we can expect cultural growth. The city development in Korea was started from 1960's. but it's been increased in physical environment turning away the valu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e struggle for development has changed our natural environment to artificial one of an enormous piece of artifacts such as concrete buildings. Therefore the city environment becomes more and more like a desert. This shows that the decrease in natural environment is the leading cause of the formation of desert, and this let people away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ate of open space where people can mee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decreased compare with quantitative increase, also the number of neighborhood park is few the city cannot keep it's sustainability of itself without requisite conditions. This case study suggested that a neighborhood park is one of requisite conditions and also a redundancy space for the cycling system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and the aesthetic contingency given the sense of place. A neighborhood park as greenery space benefits humans in many ways. It functions as a provider of recreational space, as well as a provider of fresh air, effective circulation of heat and wind.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greenery increases in the quality of life. we should preserve the environment, we should make an environment that lasts. The site of this study was planned as neighborhood park in 1940's. But the original function of this site was lost owing to the expansion and chaotic development of the city and many buildings and stores were built illegally. The pedestrian population is about 8000 around the subway area at 5-6 PM and 3400 between the school front gate and the subway gate. Around 6-7 PM there are about 770 cars trying to make their way out of the area. (research by the office of the city of Seoul in 1997) Since there is a flood of people in the afternoon nowadays, if there is to b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destrians and cars, people who enjoy the park will be victimized more from the heavy traffic. Therefore, this researcher suggets the case study on neighborhood park as the improvement alternative plan in deteriorated place. Important things considered in the design process of a neighborhood park were both the flow of pedestrians and planning greenery space based on the topography of site. Accordingly a space program was extracted from their behavior around the site and each part of program in the site was connected with a strolling road. To get a propriety in this space program, An analysis about the flow of pedestrians was presented by using diagrams and graph of statistical data base on researcher's survey. This is based on the flow of pedestrians in this site as well as programing space and allotcating each territory. The site is higher at the northeastern side, and tilted low to the west. This kind of land condition allows the land itself to form its own climate. Therefore the greenery space which was able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its topography was selectively planned. For example, Vines and Ground covers were planed for covering an inclined plane. and evergreen confiers were planed for preventing wind in the winter at the north side of site. The location of a neighborhood park in this site is not only efficient itself but also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in city environment. and it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land prices around site. Until now we have only considered and concerned of the short-term effects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But from now on, it is highly required for us to accept and to satisfy their dem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grow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to live harmonically with the artificial environment which human made on purpose of profit. Also this harmony is a main condition to get the high-entropy city to low entropy one. Namely a neighborhood park as a greenery space in the city allows physical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to coexist. Human interacts with its environment. These interactions result in creating a new culture. Beautiful and comfortable space will play a role in not only improving the life but also creating better value and culture. This study has potential of these demands. and it can give our environment asthetic contingency. it is important that neighborhood parks are constructed as a network in every part of city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environment. So they make a balance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and give people who live in city identification of neighborhood. Therefore the researcher expects to rehabil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image in the city environmen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a suitable design alternative in the site and its positive synergy effect.;이 연구는 우리의 도시환경 이미지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근린공원의 확보 및 디자인을 통해 현대 사회의 불균형하고 혼잡한 도시 환경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환경 체계를 상호보완적인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환경 확립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도시민들의 도시환경에 대한 정서적인 만족을 위한 근린 공원 입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자연과 조화롭고 인간행태를 지원하는 디자인 방안을 기본 개념으로 근린 공원 디자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시스템으로 인식되는 도시환경에서 각각의 물리적 환경을 연결해주고 자연과 인공환경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 방법 중의 하나로, 근린공원 확보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사례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로 이대 정문 지역에 위치한 대현 공원 부지를 예시였다. 두 번째, 도시환경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한 도시 이미지 형성 요인들에 대해 고찰해보았보았다. 도시환경 이미지는 물리적인 요건, 자연적, 미적, 사회적, 경제적인 가치들의 상호 관계성에 의해 형성되는데, 근린 공원은 이러한 요건들의 관계를 지속시켜주고, 도시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장소의 특별한 정체성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과 이미지는 공간을 연계하는 도시의 공공 장소들에 의해 가능함을 알았다. 세 번째,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근린에 위치한 녹지공간 즉, 공원입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미적인 반응을 위한 조건인 근린공원과 환경 정보들을 문화로 이해하는 디자인의 접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사실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도시환경 이미지는 각각의 물리적 환경이 고려되어 있어 정서적으로 삭막하며, 생태적으로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이 조화되지 못한 것에 문제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공유지의 확대, 즉 미시설된 근린 공원의 확보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근린공원이 갖는 기능과 효과를 논의하여 이 연구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네 번째, 이 연구의 대상공간인 대현 공원 부지를 포함한 신촌 지역의 1900년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변화를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토지이용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다섯 번째로, 현재 이지역 주변의 토지이용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이용자를 예측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지 연구지 및 그 주변에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윤리적 인간의 존엄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본 올바른 토지이용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방법은 다수의 시민이 같이 공유해야하는 방향, 즉 공원 입지의 타당성을 설명하였다. 여섯 번째, 대현 공원 부지의 물리적, 지형적, 기후적 그리고 행태적 분석을 통해 환경의 문제점들을 진단하여, 이를 다이어그램, 그래프 등을 통해 예시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대상지 주변의 보행자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자의 관찰을 바탕으로 행태적인 분석 및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일곱 번째, 앞장에서 거론된 개념 안과 문제점들, 개선안들을 근거로하여, 공간의 개념, 배치 및 프로그래밍 과정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직접 스터디 모형을 제시하고 디자인 안을 피드백하여, 디자인 대안들 중에서 최종안을 선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두 가지 흐름 즉, 녹지 조성에 대한 원리와 행태과학에 근거한 디자인 방법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과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최종 디자인 안에 반영하였다. 여덟 번째로, 디자인 연구의 실제화를 위해 모형사례를 도면 및 시각적인 이미지로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기대효과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과밀한 도시환경을 내에서 순환하기 위한 잉여의 공간으로 제시 되었다. 또한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이 균형을 이루어 도시민들에게 미적인 조건을 제시하여 장소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부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변의 상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 연구의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이는 근린공원 디자인 사례가 되도록 하였다. 최종 디자인안은 이 지역 뿐만 아니라, 도시 전체에 적용되어 도시 환경 스스로 지속가능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실제 대상지에 적합한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 계획안이 도시 전체에 파급효과가 있을때, 큰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