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樂賢.-
dc.creator鄭樂賢.-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3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75-
dc.description.abstract1930년대에는 소설가들이 쓴 희곡이 양적으로 확대되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동반자작가였다. 본 논문은 1930년대 劇作을 시도한 동반자작가 (유진오 · 이효석 · 채만식 · 이무영 · 조용만)의 희곡을 대상으로 해 그 희곡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Ⅱ章에서는 동반자작가의 대사회적인 성격을 살펴보았다. 동반자작가는 전반적으로 프로문학과 유사한 사상을 지녔다. 또한 일부작가는 프로연극의 대중화론에 영향을 받아 상호 관련을 맺으며 劇作활동을 하였다. Ⅲ章에서는 동반자작가의 희곡에 있어서 '계급갈등'을 통해 드러나는 사회주의 이념의 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갈등양상과 대응방식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즉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간의 갈등과 지배계급내의 갈등이 그것이다.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간의 갈등에서는 피지배계급이 순응하거나 저항을 시도하거나, 저항을 통해 승리하는 등 다양한 대응방식이 나타난다. 지배계급내의 갈등은 지주의 몰락과 지식인의 궁핍상을 보여주면서 사회주의 운동을 제시한다. Ⅳ章에서는 동반자작가 희곡의 총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희곡이나 동반자작가 소설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각각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 보았다. 동반자작가 희곡은 인물 · 대사 · 구성면에서 프로희곡과 동일하게 극작술의 미흡함을 지닌다. 반면에 동반자작가 희곡은 프로희곡보다 인물유형이 다양하게 설정되었고, 결말처리는 경향파문학의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아울러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주제를 확대시켜 프로희곡보다 식민지 강점하의 피폐한 현실을 다각적으로 폭로하였다. 또한 프로희곡에 비해 항일의식을 직접적으로 표출하여 저항의식과 아울러 근대의식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주제의 확대는 주로 농촌극을 다루었던 극예술연구회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동반자작가 희곡과 소설을 비교해 본 결과 희곡창작이 이루어진 것은 주로 동반자작가라는 칭함을 받은 1930년대 전반기였다. 또한 작품에 나타난 계급투쟁적인 요소는 동시기의 발표작일 경우에도 소설보다 희곡에서 더욱 강력하게 드러나며, 시기별로는 희곡이 후기의 작품에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동반자작가들이 뚜렷한 현실의식을 지니고, 희곡이 소설보다 일반 대중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였음을 의미한다. 동반자작가 희곡의 무대지문을 볼 때 공연성을 의식하고 창작했음이 드러났으며 실제로 소수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동반자작가 희곡은 1930년대 희곡사가 '프로연극'과 '극예술연구회'의 양 산맥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황속에 양자의 완충제 역할을 당당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Plays written by novelists were increased in the 1930s, and most of the writers were so-called Fellow Traveller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plays by the writers such as Yu Jin-o (兪鎭午), Lee Hyo-seok (李孝石), Chae Man-sik(蔡萬植), Lee Mu-young(李無影) and Cho Yong-man(趙容萬).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llow Travellers Compared with other writers of the period are examined. The writers showed a general tendency toward proletarian literature. Some of them were influenced by the 'popularization' of proletarian playwrights in writing their plays. In Chapter Ⅲ, diverse aspects of the socialist ideology revealed by means of 'class conflict' in the plays by the Fellow Travellers are investigated. Forms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s on that are displayed in various ways.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the ruled adjust themselves to the governing class, try to resist or triumph through struggling. In the conflicts among the ruling class ; they describe socialist movement through collapse of landlords and poverty of intellectuals. In Chapter Ⅳ,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lays by Fellow Travellers are pursuit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plays of proletarian writers or the novels by themselves. In dramaturgy, the plays are of low quality as those by proletarian writers in terms of characters, dialogue and plot. More various and individual characters appear in their plays than in the proletarian plays. In plot, the role of commentator is distinguished and the conclusion shows the feature of tendency literature. In their thematic variations, more diverse than those of proletarian dramas, the plays expose the impoverished real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extending themes through extensive subject matters. The plays emphasize resistence and modern thought by describing more directly the anti-Japanism than the proletarian plays. The extension of themes influenced upon the 'Drama Research Socity' which mainly concerned about the rural dramas. We can understand that most of the plays were written in the early '30s and the factors of class conflict the disclosed more intensively and continually in the plays than in the novels of the same period, by comparing the plays with the novels of the Fellow Travellers. This explains that they found the drama could provide direct effect on the general public for expressing the aspects of social conflicts and they were armed with the sense of reality. Judging from the stage direction adopted by the Fellow Travellers, we can understand that they are fully aware of the performing aspects of drama. Furthermore, some plays were really performed. In conclusion, the plays by Fellow Travellers can be regarded as all the more meaningful in that they bridged the gap between the proletarian drama circle and the - then theatrical group 'Drama Research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Ⅰ Ⅰ. 序論 = 1 Ⅱ. 1930年代 同伴者作家의 性格 = 5 A. 프로연극과 同件者作家와의 連繫 = 5 B. 同伴者作家의 對激會的 性格 = 8 Ⅲ. 同伴者作家 희곡에 나타난 社會主義 理念의 諸樣相 = 16 A. 支配階級과 被支配贍級간의 葛蘿 = 17 1. 被 支配階級의 順應 = 17 2. 被 支配階級의 抵抗 = 23 3. 接 支配階級의 謄利 = 64 B. 支配階級內의 渴藤 = 74 1. 地主의 沒落 = 74 2. 知識人의 窮乏 = 85 Ⅳ. 同伴者作家 희곡의 意義와 限界 = 92 A. 同伴者作家 희곡과 프로희곡의 比較 = 92 B. 同伴者作家 희곡과 소설의 比較 = 98 Ⅴ. 結論 = 108 參考文獻 = 111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941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1930년대-
dc.subject동반자작가-
dc.subject희곡-
dc.subject계급갈등-
dc.title1930年代 同伴者作家의 戱曲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lays of Fellow Travellers in the 1930's-
dc.format.pageiii,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