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애.-
dc.creator정영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2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9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93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불평등체계 내에서 사회이동 및 이동연구에 대한 이론적 의의를 살펴보고, 이러한 이론적 전제 위에서 한국사회의 이동적 유형 및 그 요인에 관해 정리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되었다. 현대 사회의 사회경제적 역할이 분화됨에 따라, 그와 관련된 법적, 제도적 규범 자체도 보편주의적이며 평등지향적인 것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사회에서나 불평등현상은 체계 자체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존재하며 사회적 긴장과 갈등을 초래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사회이동의 주제는 사회구조적 모순에 접근하는 한 시도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사회이동은 "개인적 또는 사회적 대상이나 가치의 한 사회적 위치에서부터 다른 위치에로의 전환"이라고 정의된다. 그리고 사회이동의 특정한 유형과 정도는 가장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개인의 자아욕구로부터 형성되어, 개인의 동기 및 재능에 따라 마련되는 사회이동의 가능성과 객관적 사회구조적 요인 및 주관적 규범들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구조적 요인은 공백지위에 의해 일어나는 타율적 또는 구조적 이동에 그리고 주관적, 규범적 요인은 사회개방성의 지표가 되는 자율적 또는 순환이동에 각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동의 효과는 개인이 이동하는 사회자체의 구조적, 규범적 제 상황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지마는, 대부분의 경우 상승이 동에 의한 부정적 효과는 이동자체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불완전한 이동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하강이동의 경우에도 사회의 지위기준이 공정한 것으로 인식되는 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부정적 효과가 사회적 차원에로 발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사회이동은 세습에 의한 불평등의 존속 및 강화를 감소시킴으로써 사회평등화에 기여하며, 집합적 행동에 의거하여 갈등상황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사전에 해결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위한 안전발브의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완전한 사회이동에로의 움직임은 사회체계 자체의 권위의 요구 및 귀속성에 기인하는 제재에 의해 한계에 부딪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회평등을 통한 불평등에로의 접근이 지니는 규범적 제한과 아울러, 연구되고 있는 단의 외부로부터의 요인에 대한 설명력의 약화나 상황해석시의 연구자 자신의 주관개입, 방법론상에서 나타나는 제 문제 등으로 인한 이동연구의 여러 제한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 위에서 한국사회 이동에 관해 살펴보면, 한국사회가 지난 세기동안 겪어 온 사회구조적 격변에 비하면 그다지 많은 사회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들도 대부분 타율적, 단거리 이동임이 나타나 개방적 사회체제가 실현되지 못했음이 드러났다. 이런 상황의 원인은 가족주의적, 전통적 가치관의 존속, 분단으로 인한 구조적 경직성, 사회경제적 성장과정상의 제 문제점 및 교육기회구조의 차별성 둥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들로부터 사회이동을 통한 개방체제의 형성이 현대산업사회에서 사회불평등체계에 접근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시도가 될 수 있으며, 한국사회에서도 구조의 개방정도를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발전 목표들에로 지향하기 위한 당위성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social mobility and to inquire about the extent of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mobility in Korean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existing materials. According to a theory of modernization, in proportion to the differentiation in the socio-economic roles, traditional legal and institutional norms change to take a universalistic and eoualitarian form. But there has always existed inequality in every society, which brings about social tensions and conflicts. Under the circumstance, studies of social mobility have emerged as one of the major academic endeavors to solve this structural contradiction. Social mobility defined as any transition of an individual or social object or value from one social position to another can take various types and degrees in different social settings. The theory of social mobility claims that it is caused by the universal ego-need of individuals; the possibility of social mobility which is provided by the motivation and intelligence on the individual level;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structural factors and ideological and institutional norms. While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cause "The forced or structural mobility" by creating vacant statuses, the subjective, normative factors cause "free or circulatory mobility," which can be the indicators of the degree of openness in a Society. The consequences of social mobility upon the moving in dividuals and the aspirants as well as the society itself differ according to the structural normative condition of the society. Many studies show that most of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obility are regarded as being caused not by the social mobility but by the restriction and suppression of social mobility and the status inconsistencies. Social mobility not only affects the structure of social inequality reducing the continuation and intensification of the social inequality through inheritance, but also functions as the safety valve for the social mobility preventing the social conflicts from being solved through collective measures. But in reality, social mobility is limited frequently by the sanctions caused by the authority system and ascriptive elements. At the same time sociological approches to social inequality suffer from the disagreement on the very definition of concept of equal opportunity,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eficiencies and intervention of the reserchers subjectivity in the interpretation of real situation. With the above theoretical examination, studies on social mobility in Korea have been reviewed.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considerable social structural change during the past century. But even admitting the limitation of the data basis, it can be said that the actual extent of social mobility in Korean society has not been grate, and that any social mobility occured in the period has been a forced-type, short distance mobility. To this extent Korean society has not been so open and equalitarian. This condition may be attributed to the continuation of the communal, traditional value system, ever increasing structural rigidity by the nation's division, the problems accompanied by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ifferential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In view of the theory that an open society can be created by maximum social mobility as the important solution for the conflicts caused by the inequality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ies, in Korean socity, the increase of social mobility and thus the expansion of the degree of openness of the social system are considered to be a prerequisite for future social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머리말 = 1 Ⅱ. 사회이동 연구의 분석적 측면 = 6 A. 사회이동의 정의 및 제 차원 = 6 B. 사회이동의 요인 = 10 1. 개인적 차원의 요인 = 10 2. 사회적 차원의 요인 = 14 C. 사회이동의 효과 = 17 1. 개인적 차원의 효과 = 17 2. 사회적 차원의 효과 = 20 D. 사회이동 연구의 문제점 = 24 1. 연구 전제의 문제 = 24 2. 해석상의 문제 = 27 3. 방법론적 문제 = 31 Ⅲ.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이동 = 34 A. 사회이동의 역사적 변천 = 34 1. 한말이전 = 34 2. 일제하 = 37 3. 해방이후 = 39 B. 사회이동의 유형과 요인 = 40 1. 전체이동 = 40 2. 지배층 이동 = 48 C. 사회이동의 규범과 현실 = 55 1. 가치관의 측면 = 56 2. 사회구조의 측면 = 58 3. 교육기회의 측면 = 61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71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0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이동-
dc.subject불평등구조-
dc.subject사회학-
dc.title사회 이동 연구를 통한 불평등 구조의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 MOBILITY AND INEQUALITY : (THE) THEORY AND KOREAN REALITY-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