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Set theory에 의한 國民學校 低學年 自然 敎科課程 指導에 관한 硏究

Title
Set theory에 의한 國民學校 低學年 自然 敎科課程 指導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instruction of natural science by set theory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李成恩.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Set theory자연교과과정집합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8.15 以後 歐美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敎育界이다. 체계화한 교육기관이 急增하고 1950년 6월 1일부터는 모든 어린이들은 만 6세가 되면 義務敎育을 받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1950년대까지 歐美의 敎育界를 휩쓸었던 敎育哲學은 Dewey의 進步主義敎育思想이라고 할 수 있다. "行함으로 배우는"(Learning by Doing)生活中心의 敎育哲學은 우리나라의 문교정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여년 동안 국민학교 교과서가 몇 차례 바뀌었으나 Dewey의 進步主義敎育思想에 그 기초를 두고 있었다. 美國에서는 이미 Sputnik 쇼크 이후 교과과정의 결정적인 變革을 단행했던 것이다. 경험위주의 Dewey式 敎育方法이 갖는 缺點은 많은 知識의 量에 비해서 探究方法的인 面의 缺如와 전체 교과과정의 체계성 유기적 관계성의 缺如라 할 수 있겠다. 晩時支難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缺□을 撥見하고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문교부에서 여러 전문가들에 위촉하여 교과서 分析硏究를 試圖해서 1973년 2월에 저학년의 교과서가 편찬 發刊하게 되었던 것이다. 전 교과과정이 모두 개편되었지만 가장 눈에 띄게 개편된 교과는 산수와 자연이다. 새 산수 교과서의 가장 두드러진 特徵은 集合論의 대담한 專入이라 할 수 있겠다. 集合論은 이미 모든 학문의 종합합성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바 국민학교 저학년 과정에서 思考하는 方法을 배우므로써 創意性과 應用力을 길러줄 수 있는 것이다. 本 硏究者는 새 산수 교과서에 나타난 集合論을 硏究하고 새 자연교과서를 살피면서 두 分野 사이에는 한 어린이가 思考하는 관점에서 接近할때 集合論이란 共通因數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새 자연교과서에서 生物分野를 선택하고 집합적 思考方式을 적용시켜 硏究해 보게 되었던 것이다. 硏究結果, 새 자연 교과서는 集合論을 意識的으로 도입하려고 했음을 發見하였다. 本 硏究에서는 국민학교 저학년 교과서에서 集合을 抽象해 내고 산수 교과서에 나타난 集合과 상관관계를 맺는데 重點을 두었다. 다시 集合論的인 입장에서 볼 때 새 자연 교과서가 지닌 편집상의 미비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러한 缺點處를 硏究者는 한 단원의 순서를 바꾸어 보기도 하고 새로운 內容을 觀察實驗하여 편입해 넣기도 하였다. 集合論은 하나의 鳥瞰圖와도 같으며, 이 鳥瞰圖에서 볼 때 모든 分野의 內容과 方向性을 設定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모든 교과과정은 이 集合論을 意識的으로 도입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Set theory has recently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especially in mathematics textbooks; but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natural sciences have not yet been revised according to set theory.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a criticism of the biology textbooks currently in use in the low grades(l-3) of elementary school. I will then suggest an ideal textbook. In Korea,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ave been changed at least three times during the past 20 years, bu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break away from the progressive education. The Dewey system emphacizes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other words, learning by doing. During the past 25 years especially, there has been a tremendous increase of information being transmitted in print and by electronic mean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method alone has been great since Dewey's main ideas were first incorporated in our educational system. In my opinion, the learning method derived from pragmatism is basically sound, but not fully adequate for today's students. They not only face a far greater amount of information than before but must learn how to organize their thoughts. So they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complex discoveries of modern sciences. Set theory offers us a logical and comprehensive way of ordering the nature. Biology in the elementary school is subject to which set theory is most easily appelied. Yet the textbooks used in 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which were revised in February, 1972 do not present biological knowledge in thoroughly systematic way. I believe this is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lied too heavily on the Dewoyian method. For example, several Chapters in the New textbooks fail to distinguish "class" from "elements", which one of the most fundamental ideas of set theory. Furthermore, the textbooks discuss the mojor nutrients required by plants for growth, but fail to men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which I discovered by experimenting with seedlings, following the textbook. After discovering this error, I felt that if the whole courses had been organized by set theory, the author would have realized himself that the class of nutrients was disordered. Finally, the textbook could be improved and made consistant with mathematics textbooks if set theory symbols were used throughout. In my opinion avove mentioned points are serious shortcomings which we must overcome to keep up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