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韓裕眞-
dc.creator韓裕眞-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39-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the earthenw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ages, made an appearance. While that of former ages was adorned with gorgeous figures, it showed a simple figure, a fewhorizontal intaglio lines on the body or on the mouth. And, in the shape, the bottles and the jars with flattened four sides prevailed throughout these ages. The parts of the earthenware, which wer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age, were excavated at the Youngam Kurim-ri kiln, where the earthen ware was probably manufactured in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Among those parts, some were glazed not with kiln glost but with artificial glazes. The glazed bottle with flattened four sides is of a few horizontal intaglio lines on the outsides of the large mouth. Among the glazed earthenware, which was excavated along with the bottle with flattened four sides , there were the bottles with fine linear design (Jul-mu-ni Byoung), the small bottles with quadrangular body (Pyun-gu byoung), and the jars with wide mouth as well as flat bottom(Gwang-gu-pyoung-geo ho). There are many kilns, where, like Kurim-ri, the bottles with flattened four sides were excavated along with the bottles with fine linear design or the small bottles with quadrangular body. Those are Boryoung Jinjuk-ri kiln, Kyoung ju Anap-chi, Iksan Mireuksa-chi, and Uleung island 2nd & 3rd ancient tomb. Among those kilns, the cases of Anap-chi and Mireuksa-chi, the manufacturing period could be estimated. And the finds of these kilns, like the bottles with flattened four sides,the bottles with fine linear design,and the small bottles with quadrangluar body ,are of characteristic of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So, it can be verified that the earthenware excavated at the Kurim-ri kiln was manufactured in the age of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Also,some of the earthenware excavated at the Jinjuk-ri as well as the Kurim-ri were certainly glazed artificially. So, we can find the fact that people in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had the technique to manufacture the celadon. The earthenware of each kiln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e detail shapes and figures. Through these comparison, we could estimate that the glazed earthenware of the Kurim-ri were manufactured in the latter part of 8C - 9C of the Unified Shilla. So, in the Korean Peninsular, people in the latter part of 8C- 9C had the techique to manufacture the celadon.;통일신라 후기가 되면, 前代와는 다른 양식의 도기가 나타난다. 이 도기들은 문양상으로 볼때, 이제까지 화려하게 장식되어 오던 文樣이 점차 단순화되면서 기껏해야 몸체나 口緣部에 2-3줄의 음각선이 가로로 돌려질 뿐 거의 문양이 없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 器形上으로 볼때도 몸체의 4면을 눌러 角이 지게 만드는 甁이나 壺가 유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특징을 잘 나타내주는 도기片들이 통일 신라후기의 가마터라고 생각되는 靈岩 鳩林里 窯址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그 중에는 自然釉가 아닌 인공적인 灰釉가 칠해진것도 있다. 회유가 칠해진 4面 扁甁은 盤ㅁ形의 구연부를 가졌고, 구연부 외측면에는 2-3줄의 陰刻線이 가로로 돌려져 있고, 4면이 모두 평평하게 눌린 병이다. 4면 편병과 함께 출토된 회유가 칠해진 도기들은 몸체에 줄무늬가 세로로 새겨 있거나, 몸체가 마름모 모양으로된 작은 병(줄무늬병, 扁球甁)과 입이 넓고 평평한 바닥을 가진 廣口平底壺가 있다. 이처럼 4면 편병과 함께 줄무늬병이나 편구병이 같이 출토되는 예가 保寧 眞竹里 窯址와 慶州 雁鴨池, 益山 彌勒寺地, 鬱陵島 天附洞 2,3號墳등에서 보이고 있다. 이중 안압지나 미륵사지의 경우 出土地의 年代 측정이 가능하며 이곳에서 출토되고 있는 4면 편병이나 줄무늬병, 편구병들이 통일신라 후기의 도기 양식을 가지고 있어, 영암 구림리 출토 도기가 통일신라 후기의 것임을 증명해 주고 있다. 또한 진죽리 요지에서 출토되는 것중에는 人工施釉가 확실한 것도 있어, 鳩林里 출토품과 함께 통일신라 후기에는 한반도 내에 이미 청자를 만들 수 있는 기술적인 바탕이 축적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더우기 각 지역 출토품마다 기형이나 문양등, 세밀한 부분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이 출토품의 비교를 통해 영암 구림리 출토 회유도기들이 통일신라 후기중에서도 8세기 후반에서 9세기를 전후로 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8세기 후반에서 9세기를 전후로 한반도 내에 이미 청자를 만들 수 있는 기술적 바탕이 존재하였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2 Ⅱ. 회유의 발생 및 발전 = 4 A. 회유 및 회유도기의 개념 = 4 B. 회유의 발생 및 발전 = 5 Ⅲ. 역사적 배경 = 9 Ⅳ. 통일신라 후기의 경질도기 = 13 A. 영암 구림리 출토의 경질도기 = 13 1. 편병 = 13 2. 소병 = 17 B. 타지역 출토 경질도기 = 20 1. 편병 = 20 2. 소병 = 30 Ⅴ. 통일신라 후기의 경질도기의 편년 = 36 A. 반출 유물에 의한 고찰 = 36 B. 기형의 양식 비교에 의한 고찰 = 39 Ⅵ. 결론 = 43 참고문헌 = 45 圖版 = 48 <圖面> = 63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74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통일신라-
dc.subject경질도기-
dc.subject회유-
dc.subject도기-
dc.subject청자-
dc.title統一新羅의 硬質陶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arthen ware in the post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dc.format.pageix, 75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