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위베르 드 지방시 (Hubert de Givenchy)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위베르 드 지방시 (Hubert de Givenchy)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s
허정아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디자인위베르 드 지방시의류 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위베르 드 지방시(Hubert do Givenchy)의 디자인을 형태, 소재, 색채, 무늬, 그리고 장식을 중심으로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지방시가 작품 활동을 시작하던 1952년부터 1992년까지의 시기인 20세기 후반의 미술사조와 복식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20세기 후반의 미술사조를 통해 본 표현양식은 순수성의 지향과 우연성의 존중을 근저로 하여 다양한 표현 활동을 하였으며 동시대의 복식에서도 조형적 특색은 일반조형과 그 기본적인 경향을 같이했다. 즉 소재의 특성을 살리며 소재와 형태의 다양성을 이루며, 강렬한 색채의 사용및 심플한 형태를 표현하고 독특한 개성이 복식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오트 쿠튀르 시대(1952-1967년)에 지방시의 디자인은 그 당시의 디오르나 발렌시아가와 같이 현대적이지만 더 젊은 디자인으로 선구자적인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프레타 포르테 시대(1968-1992년)에는 '50, '60년대를 기반으로 한 클래식하고 엘레강스한 작품들을 현대미를 가미하면서 발표하여 프랑스 복식의 오소독스한 특질을 이었다. 한편 지방시는 20세기 중반의 영화 의상을 통해 배우 '오드리 헵번'을 탄생시켜, 기존의 관능적이고 성숙한 여성미 대신 마른 체형의 청순하고 깜찍한 소녀타입의 '헵번 이미지'를 부각시 켰다. 안감이나 심지를 넣지 않고 비구축적인 실루엣으로 육체의 자연미를 나타내는 60년대, 민속조 복식이 주류를 이룬 70년대에 이어 뉴 웨이브적인 비구조적 형태가 나타난 80년대 조형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지방시는 40년동안 변함없이 '50, '60년대의 양식을 기반으로한 구조적인 형태와 클래식한 스타일로 일관되게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이러한 지방시 디자인을 형태, 소재, 색채, 무늬, 장식을 중심으로 그 미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태: 「고전미」,「간결성(simplicity)」, 그리고 「볼륨과 비대칭의 조화」를 기본으로 한 「전통 서구복식의 구조적인 형태」가 그 기본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지방시는 자연적인 실루엣의 드레이퍼리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다아트와 솔기로 구성한 입체형 의복에 어깨 패드와 심지, 안감 등을 넣어 딱딱하게 정형화한 구조적 형태를 만들었으며, 소재의 특질을 살리고 기술적인 재단을 이용하여 볼륨있는 형을 만들었다. 한편 장식의 절제와 간결한 직선 커팅의 사용은 고품위의 쉬크한 복식미를 창출 하였다. 또한 네크라인 혹은 헴 라인 등에서 표현한 비대칭적 균형미는 현대적인 세련미를 나타냈다. 2) 소재: 타프타(taffeta), 벨벳(velvet), 울(wool), 크레이프(crape), 저어지(jersy), 오간디(organdy), 새틴(satin), 스웨이드(suede), 셔팅지(shirting), 낭하이(nanghai), 라메(lame'), 그리고 가죽(leather)등 고전적인 고급소재를 사용하였다. 지방시는 이러한 소재들이 갖는 두께, 중량감, 뻣뻣함, 광택, 그리고 질감과 같은 특성들을 살려 볼륨감있는 구조적인 형을 만들었으며, 소재의 사용에 있어서 단일소재의 사용은 물론 서로 다른 광택이나 질감을 갖는 소재들을 서로 배합하였다. 즉 새틴, 라메, 울과같은 소재와 벨벳을 배합하거나 저어지 흑은 울과 모피, 새틴과 쉬폰, 스웨이드와 가죽과 같이 소재들을 아플리케나 트리밍등의 방법으로 서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3) 색채: 쉬크한 색인 블랙과 화이트 또는 선명하고 생명있는 강한 브라이트 컬러(bright color)인 애기미나리아재비 노랑(buttercup yellow), 열대고추 빨강(chilli pepper red), 브라이트 핑크(bright pink), 브릴리언트 퍼플(brilliant purple), 가닛(석류석: garnet, deep red), 하늘색(터어키 석색: turquoise), 일렉트릭 블루(감청색: electric blue)등의 색을 사용되었다. 또한 '라메(lame')'의 금색은 액센트 칼라로 많이 사용하였다. 지방시는 복식에서 이와 같이 선명한 색상들을 검정색과 함께 사용하여 강렬한 색상대비 효과를 주었으며, 선명하고 강한 브라이트 컬러끼리의 색상조화로 복식에 화려함을 강조했다. 지방시는 복식의 강렬한 색대비를 칼라, 커프스, 헴 라인, 주머니, 단추, 심지어는 단추 구멍에도 배색 트리밍으로 나타내어 현대성을 표현했다. 강한 대비효과를 주는 트리밍의 넓이는 넓어서 의복에 더욱 뚜렷하고 선명한 효과를 주었다. 또한 의복의 겉과 안, 앞과 뒤를 강한색으로 서로 다르게 배색하여 색채대비를 표현했다. 4)무늬: 꽃, 표범, 뱀, 얼룩말(지브라: zebra), 물방울, 체크, 스트라이프 등을 주로 애용했다. 지방시는 고전적인 꽃 무늬로 복식에 화려함과 대담함을 표현했으며 물방울, 체크, 스트라이프와 같은 기하학적인 무늬들을 크기와 굵기에 변화를 주어 자주 사용하였다. '80년대 이후에는 포비즘 화가에게서 영감을 받아 기하학적인 추상무늬를 강한 색채와 함께 표현하였고, 이러한 무늬들은 나염, 쟈카드, 아플리케, 자수 등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지방시 복식에서는 전통적인 무늬와 현대예술의 흐름을 따른 현대적인 무늬를 함께 사용하였다. 5) 장식: 입체적인 꽃과 리본, 자수, 주머니, 벨트, 단추, 술(fringe)등을 사용하여 복식에 강조점으로 표현하였다. 꽃과 리본을 크거나 작게, 하나 혹은 여러개로 옷에 장식하여 시선을 모으고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자수는 금색 흑은 형형색색(形形色色)의 입체자수를 놓아 화려하며 고급지향의 엘레강스한 분위기를 창출했다. 지방시는 복식에서 주머니를 기능성뿐만 아니라 장식적 요소로 슈트등에 사용하였고, 코트의 등 뒤에서나 볼 수 있는 벨트를 앞에 장식 했다. 단추는 크기, 디자인 또는 배열방식등을 다르게하여 장식적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스커트 밑단이나 소매, 어깨 등에 술을 사용하여 표현하여 보행시 찰랑거리면서 다리와 팔을 노출하는 효과와 멈춤시 가려주는 은폐의 미를 내는 등 장식적인 요소로 자주 사용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찰해 본 결과, 지방시의 복식은 형태, 소재, 무늬, 장식 등에 있어서는 프랑스의 전통의 고전적인 미를 표현하였고 색채와 무늬에 있어서는 현대 예술사조의 흐름에 맞추어 현대적인 미를 표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전미와 현대미의 조화」를 특징으로한 「전통 서구복식의 구조적인 형태」, 「간결성(Simplicity)], 「볼륨과 비대칭의 조화」, 그리고 「강하고 선명한 색상의 대비」를 지방시 복식의 미적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즉, 지방시 디자인의 특성이 갖는 「간결성」과 「전통 서구 복식의 구조적 형태」는 어떠한 복식사적 변천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테마로 자리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thesis, I studied esthetic charicteristic of Hubert de Givenchy's designs centering around form, material, colors, patterns and decoration appeared in his designs. As a theoretic background for these, I looked into artistic trends and costume history of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from the time Givenchy began his career to present time. In the artistic trends of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expression type demonstrated various kinds of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inclination to pureness and respect for coincidency. The costume's formative charateristic basically showed the same tendency as general formative, In other words, the costume's formative characteristics brought about variousness of forms along with variousness of materials, used strong colors and simple form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d clear individuality. In the course of study of Givenchy's designs, I understood that among developments of modern costume which shows inclination to variousness and individuality, Givenchy have continuously made efforts to express woman's beauty by placing emphasis on elegance and classic style in costumes. At the same time, Givenchy created a tradition in fashion field by movie costumes from the second half of 1950s through 1960s. After stuying Givenchy's designs, I summerized esthetic characteristics centering around form,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decoration appeared in Givenchy's designs as follows. 1 ) Form: [the constructive form of traditional western costume] which demonstrates [classical beauty], [simplicity] and [harmonization of asymetry with volume] is the basics of costume's beauty appeared in Givenchy's designs. Givenchy created a typical constructive form of dimensational costume consisting of shoulder pad, interlining and lining. At the same time, he created costume of simple type by restraining use of unnecessary decoration and line, and costume of voluminous type by expressing charateristic and cutting materials technically. Givenchy's costume, which emphasized constructive form by restrained linier cutting, created costume's chic beauty by simple cut line. Beauty of asymetric balance appeared in neckline or hemline and also demonstrated modern refined beauty. 2) Materials: Givenchy used high-quality materials such as tweeds, taffeta, velvet, wool, crape, jergy, organdy, satin, suede, shirting, gazar, nanghai, lame' and leather, etc.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thickness, weight, stiffiness, gloss and texture which contributed to voluminous constructive form. In addition to materia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Givenchy also used materials with different gloss and texture. Givenchy created aplique or trimming by making mix of satin, lame' or wool with velvet or jergy or wool with fur, satin with chiffon, suaid with leather, respectively. 3) Colors: Givenchy used chic colors such as white and black, and distinct live and bright colors such as buttercup yellow, chilli pepper red, bright pink, brilliant purple, garnet(deep red), turquoise, electric blue, and gold color of lame for the purpose of accent color. Givenchy expressed vivid effect of color and bright color with black color and delivered splendidness of colors by harmonizing the above colors. The strong contrast of colors made trimming appear in color, cuffs, hemline, pocket, button and even button hole. Trimming width which shows strong effect of contrast also expresses further clear and vivid effect. Givenchy also successfully expressed contrast of colors which were used inside and outside of costume and its front and back. 4) Pattern: Givenchy usually used flower, leopard, snake, zebra, dots, check, stripe, etc. After the second half of 1980s, inspired by fauvism painters, Givenchy expressed geometrically abstract patterns with strong color. These patterns were expressed with print, jacquard, aplique, embroidery. Particullarly, zebra pattern gave cool impression with strong individuality. Givenchy expressed splendidness by classical flower patterns, used geometrical patterns such as dots, check whose size and thickness varied and created new geometrical patterns with cut-line and gathering. 5) Decorations which place emphasizing point on costumes, Givenchy used dimersational flowers, ribon, embroidery, pocket, belt, button and fringe. Costumes decorated with big or small flowers and ribon arrested attention and brought out romantic atmosphere. Costumes embroidered with gold or various vivid colors presented splendidness and elegant atmosphere of high quality. Pockets were used in suit for the purpose of decoration as well as function. Belts usually seen in the rear of coat are decorated in its front. Also, in addition to functional purpose, bottons were used for decoration purpose. Fringes in hemline or sleeve or sholders delivered effect of lapping, covering, exposure in walking and were often used as decoration el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