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韓國佛像衣褶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佛像衣褶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uddha's garment style in Korean Sculpture"
Authors
邊光順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한국불상의습불상불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佛像은 佛敎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傳來될 때 함께 傳來되었다. (「三國史記」 卷第十八 高句麗本紀 卷第六 小獸林王 三年 夏六月條 및 「三國遺事」 卷第三 興法 第三 順道肇麗條) 우리나라의 佛像은 中國을 通하여 들어온 관계로 그 樣式上 中國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佛像의 起源은 인도의 「간다라」佛과 「마투라」佛이다. 「간다라」佛은 그리스神像의 영향을 받아드려 佛의 樣式이나 着衣法이 회랍神像의 樣式을 따랐으며, 「마투라」佛은 佛衣의 樣式이나 着衣法이 印度의 土着的인 樣式을 따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佛像이 中國을 通하여 들어왔기 때문에 三國時代에 있어서는 中國의 南北朝 및 六朝時代 隋와 唐初期의 佛像樣式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大體로 三國時代 佛衣의 樣式은 雲崗末期에서 龍門石窟樣式을 따르고 있다. 如來像에 있어서는 法衣는 두껍고 通肩이 大部分이고 衣文은 古式 Ω形과 V字形 U字形이 主流를 이루고 있으며 衣褶의 核線은 隆起線으로 되어 있다. 佛衣의 옷자락은 左右對稱으로 고기지느러미 같이 여러段 左右로 展開되고 있다. 坐像에 있어서는 裳懸座의 形式을 取하고 있다. 菩薩像에 있어서는 如來像과 마찬가지로 法衣가 通肩이며 두꺼워 人休의 表現이 잘 나타나 있지 않다. 衣文도 如來像에서와 같이 Ω形, Ⅴ宇形, U字形 등으로 表現되고 있다. 特히 天衣자라은 時代가 올라갈수록 X字形으로 交叉되는 樣式이 많다. 옷자락이 고기지느러미 같이 여러단 左右로 展開되는 것과 衣褶이 左右對稱을 이루는 樣式은 如來像과 같다. 統一新羅時代에는 如來像은 法衣는 通肩外에 右脣偏袒이 많아지며 法衣가 얇아서 人體의 表現에 充實해진다. 衣褶 表現에 있어서는 左右對稱의 樣式이 사라지고 自由롭게 表現된다. 坐像에 있어서는 裳懸座의 形式이 사라지고 衣端은 台座위로 올라가는 形式이 主流를 이룬다. 菩薩像에 있어서는 法衣가 얇아 人體의 表現이 잘 나타나게 되고 衣褶의 表現도 寫實的이며 自由롭게 表現된다. 天衣는 앞에서 X宇로 交叉되는 形式이 사라지고 앞에서 U字形을 이루고 양팔에 걸쳐 밑으로 내려오는 形式이라던가 양어깨에 걸쳐 自由로운 곡선을 그으며 밑으로 내려오는 樣式 등 매우 自由롭고 多樣하게 表現된다. 統一新羅時代에 있어서는 이 時期의 佛像이 韓國佛像의 最盛期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 衣褶 表現樣式도 가장 發達하여 寫實的이며 自由스럽게 表現되었고 彫法도 刻明하게 表現되었다. 그러나 8C 後半부터는 人體묘사에 착실함이 없어지는 것과 同時에 衣褶의 表現도 平面的이고 圖式的이 되어 形式的인 平行의 線刻으로 表現되는 退化된 樣式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特히 大形磨崖佛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統一新羅時代 弘像의 衣褶은 主로 中國의 唐時代의 佛像樣式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高麗時代에는 統一新羅時代末期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退化의 경향이 더욱 進行된다. 佛像의 人體表現의 不均衡과 더불어 衣褶의 表現은 圖式的이고 極히 形式的으로 흐른다. 衣文이 平行線으로 極히 간략하게 表現된다던지 彫法이 陰刻線으로 나타나는 것은 彫刻에 있어서 매우 안일한 手法이며 조각으로서의 立體感을 상실한다. 또한 이러한 彫像에 있어서는 三國時代 佛像에서 느껴지는 신비로움이나 統一新羅時代 佛像에서 느껴지는 內的인 理想美미 세련미는 찾아 볼 수 없 매우 俗化된 느낌을 준다.;The Buddist statuse were originated in Gandara and Mathura in India. The Buddhist statues of Gandara followed th style of Greek God statues in the form of Buddhist garment and in the way of wearing of it. The Buddhistic garment of Mathura followed the style of India's own typical style in the Buddhistic garment and in the way of wearing it. In Korea, the Buddha's images were transmitted not from India, but it transmitted to Korea from China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inasties along with Buddhism. In three Kingdoms period, the Northern wei established a distinguished, powerful sculpture style that evaentually had strong and direct influence upon Korean sculpture during the 6the century. In Buddha statue, the robe is thick and the fish-fin shaped sharp drapery covers both side of shoulder. As a result of it, the expression of body dosent revealed well. The garment forms the style of symmetrical contrast between right and left. The pattern of the lines of garment shows ancient line, V line and U line. In Bodhisattva, like Buddha statue, The garment is full covered drapery and thcik. The sahpes of garment in Bodhisattva are as same as Buddha; line, V line, U line. Especially the drapery of garment shows the pattern of crossed shape. In Great Silla (unified Silla), it was the most prospectrous period in Buddistic sculpture, Great Silla period a unicque Korea own garment line was developed, even though its received the influence of the flamboyant realistic T'ang sculpture. In Great Silla period, the style of symmetrical contrast faded down and the expressions of garment line were realistci and libera. The rove covers only left shoulder. The garments were very thin that the expression of body were conspicuous. In the garment line the style of symmetrical contrast faded down. In Bodhisattva, as the garment veing sheer, the body one was expressed well. The drapery shows mostly a tier of U-shaped pattern in the waist and it adheres closely to the body and hangs down to the pedestal. In Koryo Dinasty the tendency of Deteriorating, which started in Great Silla, continued speedly, with the unbalance of body-line description of Buddhist statue, the discription of garment-line became much more diagrammatic. The garment also expressed with very simple parallel, and in sculpturing skill, it used only intalio line. As a result, the Buddha's sculpture in Koryo Dinasty, there were no mystery which could be found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no inner beauty which were in Great Silla sculp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