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복식조형의 이미지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복식조형의 이미지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agery Effect of fashion Formation : Centering Cosmetic Advertisement
Authors
최영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복식조형이미지효과장식미술장식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 conception that fashion means not only just physical function but "fashion formation" has been universalized. That is, emerging from unform shape or body's suppression, it means that attempt to cleat free space - forming has been going on, which is regarded as an inner expression of human consciousness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range of fashion formation has been widening gradually in whole part of society as a field of formative arts. This study made value of beauty in fashion formation objection of itself. By introduction the way of communicating Imagery through fashion formation, functioned as expression, to advertisement, it tended to offer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ing direction of effective advertisement. Total 4 works were made seasonally. For effective closing to the subjective imagery of these work, they were made by dyeing and processing the gauze suitable for expressing touch of Korean paper (made of mulberry tree) and skin of tree. Other 3 works are illustration for surveying the variableness of fashion itself. This study was constructed for these followed aims ; 1. To study ideal harmonizing fashion formation with human body. 2. To induce to recognize importance of fashion formation in conveying imagery. 3. To provide new direction in advertising project through fashion formation. As above saw, these works tried to provide new role of fashion formation which has been functioned as beauty.;현대에 있어 복식의 의미는 단순히 물리적인 기능적 측면만이 아니라 '복식조형'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일률적인 형태나 신체의 억압에서 벗어나 인체와의 유기적인 관련속에서 자유로운 공간구성의 창조적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인간의식의 내적표현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표현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복식조형에 의한 이미지 효과를 광고에 도입함으로써 복식조형의 미적 가치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효율적인 광고방향 설정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은 총 8점이며, 이 중 실물제작은 4점으로서 작품주제인 '나무의 뿌리'의 이미지에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 재료선택에 있어서 한지의 원료인 닥종이와 나무 표피의 재질감 표현에 부합하는 거즈를 염색 가공하여 제작하였다. 기타 4점은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으로 제시하여 복식자체의 가변성을 추구하였다. 본 작품을 통해 추구한 의도는 다음과 같다. 1. 복식조형과 인체와의 관계에 대한 이상적 조화 추구 2. 이미지 효과에 있어 복식조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유도. 3. 광고 이미지 전략에 있어서 복식 조형에 의한 새로운 방향 제시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작품은 미적기능을 하는 복식조형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