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相媛 .-
dc.creator李相媛 .-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8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40-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學令前 아동의 認知發達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된 놀이 효과를 알아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발달에 관한 諸 이론을 檢討하였으며, 認知發達에 관한 몇가지 대립되는 이론을 선택하여 제시하였다. 즉 認知發達이 成長過程을 따라 발달된다는 成熟理論과, 기계적인 刺戟-反應 體系에서 발전시켜, 有機體 內部에서 일어나는 意識過程으로 槪念形成過程을 설명한 新行動主義의 學習理論, 또한 成熟과 學習, 어느 한 機制보다도,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知能이 발달된다는 Piaget의 이론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學令前 아동의 認知發達에 관한 先行實驗硏究와 계획된 놀이를 통하여 지능을 발달시킨 임상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하학적 개념을 대상개념으로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령전 아동의 면적보존은 계획적인 놀이를 통하여 발달 될 수 있을 것인가? 2. 길이 보존은 면적보존이 습득되면, 과연 따라서 습득되어 질 것인가? 3. 학령전 아동의 면적보존은 절대공간지능과 상관되어 발달 될 것인가? 4. 학령전 아동의 면적보존은 연령과 상관되어 발달될 것인가? 5. 학령전 아동의 면적보존의 학습 효과는 연령과 절대 空間知能 중 어느 것과 더 높은 正的 相關을 보일 것인가? 이상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實驗 對相者는 生後 4年 8個月에서 6年 4個月에 걸친 아동 약 30명 이었다. 實驗 切磋는 事前檢査 本 實驗, 事後檢査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事前檢査는 공간지능검사후, 수 개념검사, 길이보존검사, 면적보존검사의 順으로 실시되었다. 本 實驗은 학습놀이 도구를 사용하여 실시된 4週間에 걸친 계획된 놀이었다. 事後實驗은 사전검사와 학습놀이에서 사용되지 않은 도구로서 실시되었고, 사전실험보다 어려운 면적과 길이에 관한 保存檢査였다. 결과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여 처리하였다. 實驗 結果, 면적보존에 관한 놀이의 효과는 확실히 긍정되었으며, 면적 보존의 획득은 길이로 전이되었다. 또한 이러한 발달은 연령과 공간지능에 모두 높은 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령이나 공간지능 중 어느 것에 더 높은 正的相關을 나타낸다고 할 수는 없었다. 즉 모든 결과는 교육적인 놀이의 효과를 확실히 하는 방향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 아동의 지능 발달에 있어서, 계획적인 놀이를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This study represents an attemp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jected play for cognitive development in pre-school children. For this special purpose, among various developmental theories, a few theories concerned to intellectual growth were presented as possible interpretation. Those are maturation theory, new-behaviorists learning theory, and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In addition to these theories, the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play were suggested. The preceding considerations are valid for the following statements. Five statements are made about the effect of play as follows. 1.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ould be acquisited through play. 2. The conservation of length also would be acquired in accordance with conservation of areas. 3.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ould be developed correlating with absolute space I.Q. 4.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ould be developed correlating with age. 5. Which would be appeared as more positive correlated variable to the conservation of areas, space I.Q. or ag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ain conceptions employed in this experiments was the conceptions of areas and length among geometry conceptions. The design for this study called for pretest as a diagnostic task, main task and posttest.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 kindergarten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4:8 to 6:4. The experiments started with space I.Q. test. After this task, the subjects were required to do the tasks of conception of numbers, conservations of length and areas as pretest. The main task was playing activity using educational tools. It lasted for four weeks. Post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conservation domains as in pretest, presenting more difficult tasks than pretes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a follows. 1.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as acquired through play. 2. The conservation of areas transfered to the conservation of length. 3.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correlating with space I.Q. 4. The conservation of areas in pre-school childr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ace I.Q. and age in acquisiting conservations of areas and length in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jected play in mental development in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緖論 = 1 A. 問題提起 = 1 B. 硏究目的 = 5 Ⅱ. 文獻硏究 = 6 A. 認知 발달 = 6 B. 保存에 관한 諸 硏究 = 15 C. 놀이 = 19 Ⅲ. 硏究問題 陳 述 = 23 Ⅳ. 硏究方法 = 24 A. 대상자 = 24 B. 실험기간 및 실험자 = 24 C. 道具 = 24 D. 절차 = 25 Ⅴ. 結果 및 解釋 = 30 A. 面積保存率 = 30 B. 問題 1, 2에 관한 結果 = 31 C. 問題 3, 4, 5에 관한 結果 = 32 Ⅵ. 結論 및 考察 = 36 참고문헌 = 38 ABSTRACTS = 41 부록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5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령전 아동-
dc.subject놀이-
dc.subject지능-
dc.subject놀이학습-
dc.title學齡前 兒童의 놀이를 通한 幾何學的 槪念 保存 學習-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quisition of Conservation of Geometry Conception through Play in Pre-school Children-
dc.format.page50 p. : 삽도,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7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