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魚賢淑-
dc.creator魚賢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46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Tales of Shilla Kings" as recorded in Samgukrusa chapter Ⅰ, Ⅱ (Kiyi). In this study, the nature and evolution processes of kings' tales are examined. This is the examination of an early stage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n chapter Ⅱ, the scope of this study is defined and organized. In chapter Ⅲ, the tal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xcept the founder myth) and the nature and evolution processes of each type are examin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olution" type emphasized the king who resolved a crisis of national civil order. The evolution of this type through four stages-complete solution, incomplete solution, complete solution with additional results, and negative solution-is studied. Second, the "Desire Achievement" type emphasized the desire achievement ability of a king. This type was followed through its three stages-positive acceptance of the king's defective element, enlargement and negative criticism of the king's defect, and partial positive acceptance of the king's negative element. Third, the "Heavenly Symbol Acceptance" type emphasized the king who accepted and possessed the holy royal authority. This type changed through three stages-acceptance by the king of a simple heavenly symbol, a new heavenly symbol with heavenly treasure, and inheritance of heavenly treasure in the Court. Fourth, the "Divination Realization" type emphasized the king who had a foreseeing power. Its stages were two-the king's own foreseeing power and a dream-sign which others had to interpret for the king. Chapter Ⅳ examines the consecutive relation between the founder myth and succeeding generations' tales. Between the two tales, a consciousness of the evolution can be found which emphasized the holy dynastic consciousness and the king's ability to maintain stability of national civil order, but also negatively associated the personal desirous achievement with the king. In chapter Ⅴ, the periods of evolution of the Shilla kings' tales are classified into six. The first is the creation period, the second is the formation period, the third is the maintenance period, the fourth is the development period, the fifth is the decline period, and the sixth is the confusion period. Therefore, Shilla kings' tales were created and evolved through several types under the affirmative point of view which tried to portray the king as a holy and perfectly competent person. With the passing of time, their emphasis changed, accepting the opposite angle also.;이 논문은 <三國遺事> 卷 1, 2 '紀異篇'에 수록되어 있는 '新羅王說話'를 검토함으로써 '王'을 중심인물로 하는 인물설화의 본질과 그 전승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된다. 그것은 韓國敍事文學傳統의 초기 단계를 규명하는 작업이 된다. 이를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연구대상 설화의 범위를 규정하고 그 제목을 구체화시켰다. 제Ⅲ장에서는 始祖神話를 제외한 後代王說話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성격 및 그 전승과정을 살폈다. 여기서 추출된 네 가지 유형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유형'은 안정된 질서의 혼란을 해결하는 왕을 부각시키되, 시대적으로 완전해결, 불완전한 해결, 완전해결 및 부가적 결과, 해결의 무산 등 네 단계로 전승된다. 둘째, '욕구성취유형'은 왕의 욕구성취 능력을 강조하되, 결함요소의 긍정, 결함충족의 비대 및 비판, 부정적 요소의 부분적 긍정 등 세 단계로 전승된다. 셋째, '천기수증유형'은 天器의 수여에서 왕이 신성왕권을 소유한 것을 강조하되, 단순한 신성징표의 제수, 새로운 신성징표 및 신성보물의 제수, 조종의 신성보물전수 등 세 단계로 전승된다. 넷째, '예시실현유형'은 예시의 권능을 강조하되, 왕의 예견력, 신성계의 夢兆 등 두 단계로 전승된다. 제Ⅳ장에서는 후대왕설화의 신화계승관계를 살피었다. 이 둘 사이에서는 신성왕조의식 및 왕의 국가질서유지능력을 강조하면서 개인적 욕구성취를 긍정적으로 왕과 결부시키지 않으려는 것이 그 전승의식으로 살펴졌다. 제Ⅴ장에서는 '신라왕설화' 전체의 전승 변화시기가 모색되었다. 이것은 6시기로 구분된다. 제1기는 '생성기'로서 왕의 신성자질을 강조한다. 제2기는 '형성기'로서 국가의 안녕질서를 다각도로 정립해가는 왕의 능력이 부각된다. 제3기는 '유지기'로서 왕의 개인적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왕의 결함까지도 수용하여 긍정화한다. 제4기는 '발전기'로서 왕의 능력을 왜소화, 비판화하거나 극대화하는 진폭현상이 일어난다. 제5기는 '쇠퇴기'로서 신성계를 통해 권능을 극대화하면서 그 결과를 현실계로까지 끌어들인다. 제6기는 '혼란기'로서 정치혼란 책임자로서 왕을 표면으로 부정한다. 그러므로 '신라왕설화'는 왕을 신성하고, 완전한 능력자로서 바라보려는 긍정적 시각 아래, 다양한 행동유형을 통해 생성·전승되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 강도 정도에 변화를 갖는다. 그러나 그에 반대되는 시각을 수용하기도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1. 연구의 목적 및 문제제기 = 1 2. 연구방법 = 5 Ⅱ. 연구의 領域과 對像의 설정 = 7 Ⅲ. 後代 新羅王說話의 類型 및 그 전승과정 = 11 1. 문제해결유형 = 12 2. 욕구성취유형 = 42 3. 천기수증유형 = 59 4. 예시실현유형 = 71 Ⅳ. 後代王說話의 始祖神話 계승 = 81 1. 신라시조신화 = 81 2. 후대왕설화의 시조신화계승의식 = 90 Ⅴ. 新羅王說話의 傳承時期馴 特性 = 98 Ⅵ. 結論 = 110 참고문헌 = 113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9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라왕 설화-
dc.subject삼국유사-
dc.subject신화-
dc.subject후대왕 설화-
dc.title新羅王 說話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三國遺事」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ales of Shilla kings-
dc.format.page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