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現代小說에 나타난 動物象徵 硏究

Title
現代小說에 나타난 動物象徵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imal Symbolism Appeared in the Modern Novel
Authors
蘇美惠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현대소설동물상징서사구조소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an is being always having interest in his niche. He sometimes has his own existential niche or has interest in impersonal objects. To have interest in objects can be said again giving objects meanings. Literature can be mentioned an art that starts from this work of meaning rendering. Since symbolism also is made by man's meanings-rendering ability among his territories of conscious activity, there can be no remaining space to question about the fact that symbolism becomes a source in literary expression. The more appropriate language in revealing man's experience according to Las musen is the symbolism which is an of apaque dialogue carried upon various strata rather than the general conceptual language which belongs to a transparent dialogue. In the literature that figures man's life, therefore, symbolic language remains to be a part that has to be understood necessarily. This study, upon prescriptions that symbolism is an important medium to draw man's life and especially that the animal becomes the most appropriate object to evoke mutual sympathy wi th man best through language, consciousness and behavior, started from a'recognition of a necessity to study animal symbolism. As an approach to animal symbolism, first the function of animal symbol ism was examined, then, the animal symbolism appeared in mythology, fork story and the modern novel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 of animal symbolism in the modern novel was also attempted. In the chapter Ⅱ, therefore, the function of animal symbolism in the internal world of works and their external world was examined chiefly concerned about the works presen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at it had various functions from communicating themes with an allegoric method in the reality unable to reveal the theme of any work obviously to illuminating man's pure inner world actuery. That is, it played a role of expanding potentiallity of literary expression by uniting the mental and invisible niche of man's life with the physical and visible. The chapter Ⅲ Classified it into the vertical-structual and the horizontal-structual. The pattern of vertical structure in animal symbolism was made through comparison between mythology, folk story, and the modern novel. Here revealed was that animal symbolis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nature of man's life, being continuously viewed from the myth and folk story as a base form of our literature. Also seen was that, unliely with the world of myths and fork stories where man had the superior type, the modern literature transferred to a type of animal superiority, have moving to a descendent vertical structure. That, it could be seen, impli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problems of 'inhumanization' and 'isolation from the phenomera such as mental corruption, metamorphosis or confusion in moral value which appealed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into an industrial society of the modern society made man's abridgement connected even up to animal abridgement. also there has been brought forth in the modern novel a horizontal structure in animal symbolism with focus given to man's internal world unlikely with the preceded novels. To figure man's nature not as it is but through a principle of assimilation within a certain different system, that is, through animal symbolism, could be seen to have an implication of that it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confidential man's psychology in the modern novel.;인간은 항상 영역에 관심을 갖는 존재이다. 인간은 인간 자신의 존재영역에 대한 관심을 갖기도 하며 비인간적인 대상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대상에의 관심을 갖는다 함은 대상을 의미화한다는 말로 대체될 수 있으며 문학은 특히 이러한 의미부여의 작업에서부터 출발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상징 또한 인간 의식활동의 영역 중 의미부여능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문학적인 표현에 있어서 상징이 그 원천이 된다는 사실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라스무센에 의하면 인간의 경험을 드러내는데는 투명한 담화에 속하는 일반적인 개념언어보다는 여러층위에서 이루어지는 불투명한 담화인 상징이 더 적합한 언어하고 한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 문학에 있어서 상징언어는 반드시 이해되어져야 할 부분으로 남는다. 본고에서는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데 상징이 중요한 수단이며 특히 인간과 언어, 의식, 행위등을 통하여 상호공질감을 가장 잘 유발할 수 있는 대상을 동물로 규정하고 동물상징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동물상징에 대한 접근방법으로는 공시적인 접근을 통해 동물상지의 기능을 살펴보았고 통시적인 접근을 통해 신화, 민담과 현대소설에 나타난 동물상징을 비교하였으며 현대소설에서의 동물상징의 의미에 대한 고찰도 아울러 시도하였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일제하에 나온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내적세계와 외적세계에 있어서의 동물상징 기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동물상징은 작품의 주제를 명확히 밝힐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우화적인 방식으로 그 주제를 전달하는 기능에서부터 인간의 순수 내면세계를 첨예하게 드러내주는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으로 나타나고 있음이 드러났다. 즉 동물상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정신적이고 불가시적인 영역을 동물상징을 통하여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것과 일치시킴으로써 문학표현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Ⅲ장에서는 동물상징을 수직구조와 수평구조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동물상징의 수직구조 유형은 신화, 민담과 현대소설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에 우리나라 문학의 기저형태인 신화, 민담에서부터 동물상징은 연속적으로 고찰되어지며 인간삶의 본질을 규정짓는데 동물상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인간 우위형인 신화, 민담의 세계와는 달리 현대문학에서는 동물우위형으로 전이되고 동물상징의 유형은 하강수직구조로 전이되었음이 고찰되었다. 이는 현대사회가 산업사회로 변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와해 현상, 도덕적 가치의 전도 내지는 혼란으로 '비인간화' '소외'라는 문제가 대두되면서 인간의 축소화는 동물의 축소화로까지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대소설에서는 그 이전 소설과는 다르게 인간의 내면세계에 초점이 주어지면서 동물상징에 있어서 수평구조가 나오게 되었음도 연구되었다. 인간내면을 그려냄에 있어 인간내면의 그대로가 아니고, 다른 어떤 체계 - 동물상징을 통해서 - 속에서 동일화의 원리를 통해 드러내는 것은 동물상징이 현대소설에서 내밀한 인간심리를 다룸에 있어서 중요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