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허윤석 소설 연구

Title
허윤석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uh, Yun-Suk's Novel
Authors
황세레나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허윤석소설심미적 거리시간관서술형식시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writer is to narrate his literary work by means of writing to represent his value view and belief and is to expect his readers to make sympathy or any other kinds of response. The writer tries to seek his own narrative technique more powerful and moe appealing to him readers' expected and implicit responses. Here, determination of a narrator's authority or previlage by ommiscient power or authenticity, determination of the communicative aspect between the reader and narrative world, and choice of moderate interactional relationship betwen characters or their behaviors within the world of narrative art viewed by the narrator can be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the esthetic distance that the writer reveals through his work. Not only the writer's appropriate choice of his narrative technique can being forth a role reinforcing his subject, but it can also reveal that his formative axis is connected with the content or thematic meaning. Especially since the writer, Huh Yun-Suk, reveals well the aspect of esthetic distance in all his works through all the same world of value, to examine into his esthetic distance through the aspect of narrative technique can be helpful to an understanding of his works' thematic consciousness. The problem of esthetic distance is not a simple question about the dramatic illusion that a reader has about the narrational world, but an inquiry about the associated relations between such constituent elements as writer and reader. narrator and characters, and the text -- that is, subjects playing respective roles in nar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esthetic distance by an aparatus of narrative technique, namely, view of time, narrative form, and viewpoint. The chapter Ⅱ deals with the writer's short stories. In view of time, he attempts to seek a directional time level by discriminating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and allocation of this time structure showes that it is adjusting psychological distances between characters or the distance between reader and narrational world. Also, distance control between narrator and reader, and between narrator and linguistic behavior is seen to contribute to the work's esthetic meaningful structure by the level of status of the narrator rendered by the writer with a narrative technique of so-called frame structure. And change due to dynamic nature in viewpoint, not a choice of the same viewpoint, is connected with the internal meaning or conflict structure of the work. Ajustment of esthetic distance, furthermore, is seen possible by direct and indirect interventionalism of viewpoint. The chapter Ⅲ analyzes the aspect of distance, which appears with a choice of the narrative technique shown in preceded short stories, in connection with a mynah, a full-length novel of his later period. In a mynah, a narrator who leads internal exploration is assigned for the conscious stream of the writer which can be titled self-identification, and the confirming process till finding self is viewed by the perspectives of time-view, narrational state and self-consciousness. The analysis suggests there is a potentiality by which a writer's works is not to be understood always respectively, but can be considered as a whole meaning combined. To see the aspect of esthetic distance by narrative technique in Huh Yun-suk's novel, like this, is not only to become an aparatus to see structure and meaning network in connection, but also becomes a method confirming the substance of his literary theme.;한 작가는 자신의 가치관과 의식을 표출하기 위해 글이라는 매개를 통해 문학작품을 서술하고, 그러한 그의 의식에 독자가 공감해주거나 어느 형태의 반응을 보이기를 기대하게 된다. 이처럼 문학작품을 하나의 화행구조로 간주할때 텍스트와 독자의 만남은 심미적 독서체험의 과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는 그가 예상하는 독자의 반응을 위해 보다 더 강력하고 호소력 있는 자신만의 서술기법을 찾게 된다. 작가가 화자에게 권위나 특권을 부여한다든지, 서술세계와 독자와의 접촉 양상을 결정하거나, 화자가 행하는 서술세계 내의 행위나 인물들 간의 교류관계의 선택 등은, 작가가 작품을 통해 드러내는 심미적 거리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드러날 수 있다. 심미적 거리의 문제는 단순히 독자가 서술세계에 대해 지니는 극적환상의 문제가 아니라 서술을 담당하고 있는 주체들과의 문제, 곧 작가와 독자, 화자와 작중인물, 텍스트라는 서술세계 안과 밖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들의 연합적인 관계의 문제이다. 이 구성요소들 간의 심미적 거리의 조정에 의해 그 작품은 공감을 얻을 수도 또는 전혀 무의미한 작품으로도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심미적 거리를 시간관과 서술형식, 시점이라는 서술기법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작가가 선택한 하나의 서사기법은 작가의 이념을 드러내고 주제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법 상의 선택으로, 이는 주제적 의미라는 내용의 축과 서사기법이라는 형식의 축이 맞물려 작용됨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Ⅱ장은 허윤석의 단편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변별하여 지향적인 시간대를 찾으려는 시간관의 양상과 이러한 시간구조의 배치로 인한 거리의 조정이 있음을 보았다. 또한 액자구조라는 서술형식의 기법에서는, 작가가 화자에게 부여한 지위의 정도에 의해 서술양상이 바뀌게 되고 이는 작품의 거리조정과 미학적 의미구조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시점의 지속이 아니라 시점의 역동성으로 인한 변화가 작품의 내적의미나 갈등구조와 연결이 되어 있고 이로 인한 심미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서사기법의 선택으로 전기 단편 소설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거리의 양상을 후기 장편소설인 『구관조』와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구관조』에서는 자아모색이라는 의식의 흐름을 위한 내면세계를 탐구하고, 진정한 자아를 찾기까지의 과정을 시간관과 서술상황, 자의식의 시점을 통해 표현해 내고 있다. 이처럼 허윤석의 소설에서 서사기법을 동한 심미적 거리를 살펴보는 것은 한 작가의 개별적인 작품 이해에서 끝나지 않고 총체적인 의미로 묶어 생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의 문학적 주제의 의미망과 형식상의 구조의 의미망이 연관되어짐을 확인시켜주는 방법이 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