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高麗時代 以後 唐草文에 관한 硏究

Title
高麗時代 以後 唐草文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Scroll Pattern in Koryo and Chosun Dynasty
Authors
元水映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고려시대조선시대당초문양식변화식물성운문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高麗時代와 朝鮮時代의 陶磁器(靑磁, 粉靑沙器, 白磁)와 螺鈿漆器, 銅鏡, 佛畵, 染織沕(織, 剌繡) 등 대표적인 공예 의장에 나타난 당초문양의 양식의 변천과 조형적 특질에 대해서 논하였다. 高麗時代가 되면 당초문은 다른 문양과 결합하는 형식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종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高麗時代 이후에 나타난 당초문을 식물성 당초문과 운문계 당초문으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즉, 식물성 당초문은 보상화풍, 팔메트를 비롯하여 자연계의 식물들과 결합하여 표현된 양식을 말하며, 운문계 당초문은 중국계의 운문에서 파생된 C자곡선이 주조를 이루면서 전개되는 양식을 말한다. 이렇게 분류된 당초문양에 있어서 꽃과 열매, 잎, 줄기의 표현된 형태와 전체적으로 나타난 선의 리듬을 중심으로 양식적 변천과 조형적 특질을 논하였다. 1) 식물성 당초문 高麗時代에 나타난 식물성 당초문은 초기에는 보상화풍으로 많이 나타나나 점차 사생풍화의 경향을 띠었다. 줄기는 前시대까지의 강한 연속 파상곡선의 리듬이 다소 완만해지고, 공간 전체에 걸쳐 자유분방한 곡선을 그리는 형태를 보였다. 결합된 꽃들의 형태는 보상화, 팔메트를 비롯하여 연화, 국화, 목단 등과 열매로는 포도가 나타났다. 특히 보상화의 경우, 高麗時代가 되면 중기까지는 많은 모티브가 하나로 융합되어 복잡한 형상으로 표현되었으나, 한편 모티프가 많이 생략되어 팔메트, 연화, 국화, 목단, 포도 등 구체적인 형태로 통일되어지는 양상이 나타난다. 2개의 잎을 가진 팔메트의 경우는 잎의 한쪽에서 또 하나의 분기선을 내뿜는 형으로 표현되었다. 연화는 측면형의 것이 많이 나타나며, 국화는 정면형의 野菊文이, 목단은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 본 斜面形과 측면형이 표현되었다. 특히 佛書에서는 목단이 실제의 꽃으로 표현되었다기보다는 극히 단순화시켜 기하학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좌우 어심메트릭하게 표현하고 있고, 더불어 세선의 꽃맥 표현 등은 자연의 꽃을 표현하고자 한 양면성을 보였다. 포도문은 특정한 조형물에서 표현되어진 것으로, 청자에서는 동자문과 함께 자유분방하게 나타난다. 잎은 靑磁, 銅鏡에서는 세선의 잎맥표현과 함께 자연잎 형상으로 묘사되었으며, 佛書, 螺鈿漆器에서는 대부분이 C자형을이루는 형태이지만 기하학적인 삼각형,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朝鮮時代에 나타난 식물성 당초문은 그 형식적 특징에 따라서 식물성 당초문과 추상적 식물성 당초문으로 나타난다. 추상적 식물성 당초문은 운문계의 C자형 곡선과 서방계 팔메트가 결합한 형식을 말하며, 대부분 분청사기에서 보여 진다. 이러한 朝鮮時代에 나타난 식물성 당초문은 高麗時代에 비해서 파상곡선은 더욱 완만해지고 문양을 띠엄 띠엄 배치하여 한가롭고, 여유있는 특성을 보였으며, 대체로 모티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국화의 경우는 꽃잎이 길쭉해지고, 정면형의 野菊文 뿐만아니라 겹국화의 정면형, 측면형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연화는 백자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초기에는 선단이 S자곡선을 이루다가 후기에는 둥근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목단은 분청사기에서는 실제의 목단과 거리가 있는 재구성시킨 것이 나타났으며, 다른 공예품에서는 정면형과 측면형으로 나타났다. 포도문은 그다지 많이 나타나지는 않으나, 織(物)과 螺鈿漆器의 경우에서 동자와 함께 표현되고 있으며, 자연잎을 달면서 자유분방하게 묘사된다. 잎은 대부분이 자연잎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염직물에 나타난 당초문은 거의가 식물성 당초문으로서 나타나게 되는데, 織(物)에 표현된 당초문은 中國의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많아, 사실적인 표현으로서 꽃잎과 잎의 끝이 강하게 말리면서 공간 전체를 메우려는 조형 의지와 함께 中國的인 경향이 짙게 나타났다. 한편 자수품에 표현된 당초문은 아주 완만하고 한가로운 연속 파상곡선에 단순화된 꽃잎과 잎의 형태가 도안풍으로 표현되었으나, 색채의 변화라든가, 가는 선의 잎맥 표현등으로 사생풍적인 표현을 동시에 하고 있다. 2) 운문계 당초문 高麗時代에 나타난 운문계 당초문은 초기에는 新羅時代에 이어 다소 꼬임이 강하고 탄력성이 뛰어난 C자곡선으로서 공간 전체를 가득 메우려는 충전성을 보였으나, 후기로 가면서 단순화 되는 현상을 보여 꼬임이 느슨하게 되고, 때로는 추상적인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朝鮮時代에 나타난 운문계 당초문은 분청사기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염직물에서는 그 예가 흔하지 않다. 운문계 당초문은 연속파상곡선을 그리며 전개되는 형태와 C자곡선의 표현만으로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예가 많았다. 공통적인 요소는 일종의 강한 힘의 필치의 흘림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高麗時代와 비교해서 朝鮮時代에 나타난 운문계 당초문은 강한 꼬임과 탄력성은 보이지 않으나, 끝이 투박하지 않으며 표현되는 필치는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양식상의 변화속에서도 高麗時代 이후 당초문은 전체적으로 인공적인 리듬에서 탈피하고, 잎, 줄기, 화판 등의 세부의 변화에 의해 자연화, 단순 소박, 비균제성, 여백의 미를 공적인 표현의 특질로서 나타내게 된다.;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esign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 presentation and the changes in style of the scroll pattern which appears in the representative artspottery(Chung-Ja, Bunchung-Saki, Bak-Ja) and Najun-Chilki, Copper Mirror, Buddistic Painting, Textile(Fabric, Embroidery) - of the Koryo and Chosun Dynasties, From the Koryo Dynasty the scrol1 pattern appears in combination with other patterns, and hence is found in a great variety of form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croll patterns from this period o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scroll pattern which contains the charactristics of plant and cloudlike scroll pattern. Plantlike scroll pattern includes the Bo Sang Hwa (寶相華) class and palmette as well as the forms which combine the plants of nature, while the cloudlike scroll pattern includes the forms in which C-shapes derived from the Chinese cloud pattern dominate and expand. These classified scroll patterns are analyzed individually with with a focus on their flowers, fruits, leaves, and stems. As well, each pattern is studied as a whole with a focus on its overall merits. The plantlike scroll pattern of the Koryo Dynastyis at first mainly of the Bo Sang Hwa class, but gradually it appears as the realistic pattern characteristic of the Koryo period. The stems during this period take the form of large and powerful wavy curves taking up much space and jutting out freely in all directions. The flowers included in the patterns are lotus, chrysanthemums, and peony blossoms, as well as Bo Sang Hwa and palmette. The leaves resemble the palmetto leaves in that the leaves have branches coming off the central veins. In the case of Na-Chun-Chil-Ki(lacquer 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mostare of the C-shapes of the cloud ,pattern. The flowers and the leaves are filled with fine detai1 in order to make them appear realistic. The plantlike scroll pattern of the Chosun Dynasty appears with the period's form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abstract form. The abstract plantlike scroll pattern is a combination of the C-shapes of the cloudlike pattern and the western palmette. We can see such pattern in Bunchung-Saki. The pattern's essential elemen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ttern of the Koryo Dynasty. However, the Wavy lines of this period are looser and appear more spacious. The individual items in the pattern also have a tendency of appearing larger. For example, the chrysanthemun's flower leaves are longer, and appear every kinds of chrysanthemun's pattern superimposed on one another as well as the wild chrysanthemun of front view, while the lotus, whose initial leaf tips are of the S-shape, become oval in shape like the pattern of white pottery. The peony blossoms are represented by reformed style, which is different with it's real shape in Bunchung-Saki. The shape of front or side view of the peony blossoms appear in other hand-crafts. The leaves are mainly given a touch of realism. Especially, scroll pattern are almost plantlike scroll pattern in the fabric, which are a realistic expression, that is to say, the petals and leave's are represented by strong curve and formative will to fill the space. Here, these patterns have a high tendency of China. In the embroideries, however, we can find the designed scroll patterns which are very loose spacious and continuous way-curve. Those are represented by simplified petals and leaves. In the cloudlike scroll pattern of the Koryo Dynasty, large and tight wavy curves are initially prominent. Eventually, however, the patterns become more concise or simplistec and somtimes are represented loose with twist and abstrat shape. The cloudlike scroll pattern of the Chosun Dynasty can often be seen in Boon Chung Sa Ki. These often consist solely of continuous wavy curves using the C-shape, which give them the appearance of abstract work. A common element is that these also have a strong and powerful overall impression. In Chosun Dynasty, the cloudlike pattern is not relatively strong twist and elasticity, however, it is described not as dull tips but as the line of strong driving force. Even with these changes, the scroll patterns have such common traits as naturalism, simplicity, spaciousness, and asymmetri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