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朝鮮鐵道 12年計劃線에 關한 硏究

Title
朝鮮鐵道 12年計劃線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ne of Chosun Railway 12 Years' Plan
Authors
金景林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조선철도12년계획선식민지군수공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Japanese colonial railway polic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her economic and political dorminance in Chosun (朝鮮) and to advance into the Chinese continent which eventually bestowed strong military character to the railway policy. But during 1920s, due to the development of heavy industry in Japan, ealier militaristic policy has transformed to economic policy. This placed great importance on getting adequate raw-material for her industry and finding a market to export her surplus capital. As a result of this, railway policy during this period occurred strong economic character to exploit colonial econom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Chosun railway 12 years' plan(朝鮮鐵道 12年計劃) by analysing the character and the role of the railway. The railway of the 12 years' plan (12年計劃線) was planned to maximize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Chosun's (朝鮮) colonial economy. Extracting mineral resources from the northern parts of Chosun(朝鮮) was their prime purpose. This character and the role of the line was investigated by analysing the actual cargo transportation condition. In the case of To-Mun line (圖們線), Man-Po line (滿浦線), Hye-San Line (惠山線) and Baek-Mu line (白戊線) major transporting cargo items were timber coal and iron etc. Moreover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railway of 12 years' plan (12年計劃線), raw materials along the railway line were exploited and transported away by the line. Simultaneously colonial industry developed quickly on the combined bases of affluent labour force, cheap factory site, continual supply of electricity from the northern parts of Chosun (朝鮮) and raw-material transported by the railway of 12 years plan(12年計劃線). With the outbreak of Manchurian crisis and the sino-Japanese War, Chosun (朝鮮) then acted as a supply base for the Japanese military expedition. This made the colonial government support and protect actively the colonial militaristic economy. Northern cargo collecting centres had changed greatly. Heung-Nam (興南), Sung-Jin (城津), Ham-Heung (咸興) , Kil-Ju (吉州) became new flourishing economic centres in the Northern zone. Thus from the execution of 12 years' plan(12年計劃), we could deduct that the colonial economic system had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lonial militaristic industry. But concentrated development of heavy industry became the prime causes of deformity and limping of the Chosun's (朝鮮) economic system. This railway plan was carried out on the bases of exploiting Chosun (朝鮮) labour and land, which fully allowed the Japanese monopoly to join the capitalist gain in Chosun(朝鮮). They succeeded in suppressing the Chosun's (朝鮮) infant economy through subordinating or bankcrupting the Chosun's (朝鮮) middle and small sized capital. Overall we could conclude that the colonial militaristic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brought abou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railway of 12 years' plan (12年計劃線) deformed and germinated conflicts inside of the Chosun's (朝鮮) economy.;日帝의 植民地 朝鮮에 대한 철도정책은 조선에의 支配權을 확립하며, 대륙진출을 위한 간선으로서의 軍事的 性格을 강하게 띠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1920년代 일본 자본주의 발전에 따라, 식민지 조선의 역할이 원료·자원공급지로서, 잉여자본의 투자지로서 요구되어졌다. 이에따라 식민지 경제정책도 적극적인 産業開發政策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鐵道政策도 식민지 경제정책에 상응해 식민지 경제수탈을 위한 '經濟線'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된다. 本槁에서는 이러한 性格이 부각되는 '朝鮮鐵道 12年計劃' (1927~1938)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12年計劃線의 性格과 役割을 분석하였다. 12년계획선은 식민지 경제정책의 일환으로서, 식민지 조선에 대한 철저한 수탈을 위해 부설되었다. 특히 북부조선지역의 자원개발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성격의 12년계획선이 담당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각선의 화물운송 실태의 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다. 12년계획선中 북부지역에 부설된 도문선과 만포선, 혜산선 및 백무선의 경우 운송 화물이 대부분 木材와 石炭 및 鐵을 비롯한 鑛物資源에 집중되고 있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12년계획선의 부설로 인해 연변지연의 자원이 새로이 개발되어져 12년계획선에 의해 반출되어졌다. 12년계획선에 의해 반출된 자원은 북부조선지역의 풍부한 전력과 저렴한 공장용지 및 노동력이라는 조건들과 결합해 식민지 공업화로 전개되어졌다. 더우기 만주사변·중일전쟁으로 조선이 병참기지로서 중요성이 커졌으므로, 식민지 군수공업화가 조선총독부의 지원과 장려정책하에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이러한 군수공업화는 함경도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졌으며, 북부조선지역을 새로운 중공업지대로 형성시켰다. 이에 따라 북부지역의 화물집산도 크게 변화하였다. 흥남, 성진, 길주, 함흥등이 새로운 북부조선지역의 경제 중심지로서 등장하였다. 따라서 12년계획의 추진은 식민지 군수공업화로 귀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식민지 경제구조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른 부문과는 전혀 관련성을 갖지 않는 중화학 공업부문만이 집중적으로 발전됨으로써 조선공업구조의 파행성과 기형화의 단초가 되었다. 또한 일본 독점자본의 조선진출을 본격화시켜 조선의 중소자본은 소멸되거나 일본자본에 예속화되어 조선경제의 발전은 억압되었다. 따라서 12년계획선 부설과 이와 관련한 식민지 군수공업화의 전개는 오히려 조선경제를 왜곡시키고, 모순을 배태시킨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