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서울地域 託兒施設의 分布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

Title
서울地域 託兒施設의 分布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
Other Titles
(A) Geographical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aycare Facilities in Seoul
Authors
趙京淑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서울지역탁아시설보육시설아동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opportunity of married women for social acticities and employment is increased, appropriate daycare facility is required for their children. Therefore the demand for daycare service is much in expand in spite of lack of supply for those, so that becomes an object of public issu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ypes of daycare facilities in Seoul, and to analysis characteristics capable of discriminating between areas of high and low standards of facilities. Data are collected from the Ministry of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in city hall. Analysis of data is made by canonical correlation anlysis. Result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mean daycare rate is 5.9% in Seoul, but there is marked spatial variations of daycare capacity rate from zero to 66 percent in the level of administrative district. Secondly, state-run daycare facilities, provision of non profit centers are evenly distributed in Seoul with the exception of Kangnam and Seocho, and mainly located in poor area. Thirdly, the location of family daycare facilities, provision of profit centers follows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of the married women in 20-35 ages, and densely distributes in Dobong-Noweon, Sungdong, Chamsil-Cheonho and Western area in Seoul.;최근 기혼 여성의 취업 및 사회진출이 확대되면서, 영유아기 자녀의 양육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탁아시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급되는 탁아시설의 수가 탁아수요에 훨씬 못 미치는 상황이므로, 서울 지역의 전반적인 탁아시설 부족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특히, 탁아시설의 수급간 불균형이 심한 지역에 거주하는 젊은 기혼 여성들의 탁아문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각 행정등을 대상으로 비영리의 국공립 보육시설, 영리의 가정 보육시설, 비영리 및 영리시설이 혼재되어 있는 민간 보육시설등 각 유형에 따른 탁아시설의 분포를 지도화하고, 그 지역적 특성의 차이를 관련변수들에의해 설명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각 유형별 탁아시설의 분포변수군과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주는 관련변수군을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의 평균 보육율은 평균 5.9%정도이나, 각 행정동별 보육율의 공간적 분포는 최저 0%에서 최고 66%에 이르기까지 지역간 격차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율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은 0-5세 아동수 자체가 적은 지역으로서, 실질적인 보육아동의 수가 많기 때문에 보육율이 높은 것은 아니었다. 둘째, 비영리의 국공립 보육시설은 타 유형의 탁아시설에 비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생활보호대상 가구수가 많은 저소득충 지역에 주로 밀집해 있었다. 저소득층 기혼 여성의 탁아문제와 경제적인 부담을 고려할때 비영리 탁아시설이 이들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보다 실질적인 정부의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충계획은 저소득충 밀집지역 중에서도 실질적인 탁아 수요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가정 보육시설은 대체로 탁아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클 것으로 보이는 20-35세 미만 기혼 여성의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 지역들은 0-5세 미만 아동, 20-35세 미만 기혼 취업 여성, 핵가족 세대가 많은 지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타 유형의 탁아시설에 비해 탁아수요에 적절한 입지패턴을 보이고는 있으나, 보육정원이 적은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많은 수의 시설확충이 요구된다 하겠다. 넷째, 민간 보육시설의 분포와 지역적 특성간의 관계는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는데, 그 이유는 비영리와 영리의 탁아시설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민간 보육시설중에서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과 비영리적으로 운영되는 시설을 구분하여 분포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