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統一新羅時代 阿彌陀信仰의 歷史的 性格

Title
統一新羅時代 阿彌陀信仰의 歷史的 性格
Other Titles
Historical Meaning of Amitabha Faith in United Silla
Authors
金英美 .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통일신라시대아미타신앙한국역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新羅에 전래된 佛敎는 法興王代 公認된 이후, 中古期의 통치이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에도 高麗時代에 이르기까지 國家의 정신적 기반이 되었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新羅 中代에 가장 盛行하였던 阿彌陀信仰을 분석하고, 신앙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는 新羅人의 思惟方式을 당시의 政治 · 社會相과 연결시켜 中代 阿彌陀信仰의 역사적 의미를 추구해 보았다. 三國時代 末期에 계속된 戰爭은 전쟁에 참여했던 下層官吏 및 일반民衆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 그리고 戰爭과 죽음의 不安에 떠는 民衆을 위한 새로운 신앙이 필요하였는데, 盛唐文化의 수용과 함께 당시 중국에서 盛行하던 阿彌陀信仰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모든 衆生의 極樂往生 可能性을 인정한 아미타신앙의 平等性과, 稱名念佛에 의해 극락왕생할 수 있음이 僧侶들에 의해 강조되었던 점은 아미타신앙의 盛行을 가능케 하였다. 아미타신앙의 성행에 따라 신라에는 修行者의 極樂往生說話와 成佛說話가 생겨났다. 이 成佛說話는 阿撚皓佛이 五臺山에 常住한다고 생각한 佛國土思想과 함께 신라인의 現實骨定的인 思惟方式을 말해준다. 來世的 性格을 지닌 阿彌陀信仰을 現實的 性格으로 변형시켰다는 점은 신라 아미타신앙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文武王 이후의 中代王室은 民生安定을 통한 玉權强化策을 추진하였는데, 이것은 儒敎的 民本理念 뿐 아니라 아미타불의 衆生救濟의 蓄願과도 잘 결합할 수 있었다. 그리고 國王으로부터 最下層階級인 奴婢에 이르기까지 유포된 阿彌陀信仰은 國民의 一切感을 조성하여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즉, 武烈系 王室을 뒷받침했던 일반백성에게 가장 널리 퍼져있던 아미타신앙은 國王과 民衆을 연결시키는 매개역할을 하였다고 보인다. 한편 中代의 王들은 極樂世界를 現實化하고자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었다. 佛國土를 다스리는 國王은 阿彌陀佛의 威光을 빌려 王權 强化의 정신적 기반으로 삼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專制王權의 절정기였던 聖德王代에는 現在 阿彌陀佛을 비롯한 諸佛蓄護이 新羅 땅에 常住한다고 생각하였다. 즉 新羅를 極樂世界로 간주했던 것으로 당시의 政治社會的 安定과 統一에 따른 民族的 自信感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聖德王의 治世를 理想으로 생각하고 玉權强化를 시도하던 景德王은 聖德王代 阿彌陀佛로 成佛한 修行者를 기리기 위해 寺制을 세웠다. 이것은 과거를 회고하는 성격을 지닌 것으로 景德王代 王權의 한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Since introduced into Silla and legalized in the age of King Bup-Hung, Buddhism produced the idea of government in the middle ancient ages( 中古 ). From that time down to the Koryo dynasty, it had been the spiritual foundation of state. Therefore, this treatise purposes to analize the Amita ̄bha Faith most prevailed in the middle era ( 中代 ) of Silla and pursue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The wars, continued in the end of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changed the understanding of the lower officials and the publics who had participated in those wars. And new faith was necessary for the people who were anxious about war and death. Then Amita ̄bha faith, prevailed in China at that time, could be accepted. Amita ̄bha Faith had an equality of all man to achieve the easy passage into eternity. Moreover the Buddhist priests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it by means of recitation of Aita ̄bha Buddha's name. And those made prevalence of Amita ̄bha faith possible. Along with the prevalence of Amita ̄bha Faith, some tales were formed, which the asceties achieved the easy passage into eternity and attaining Buddhahood happened in Silla. These tales of attaining Buddhahood show the positive thought about real lives of Silla. And it is a feature of Amita­bha Faith in Silla that its character for the next world was transformed into the character for this world. From King MoonMu, the kings of middle era of Silla pursued of reinforcement of royal authority through the stability of civil life. That could be combined with the Confucian idea of respect to the people and hope of savation of the people by the Buddha Amita ̄bha. And Amita ̄bha Faith was prevailed from serf to king, could make the soldidarity of the people. Amita ̄bha Faith was strongly supported because of its capacity of intermediation between kings and the people. The kings of middle era of Silla hoped to realize the Paradise of Buddhism. Especially in the era of King Sung-Duck, the climax of the poried of absolute royal authority, it was thought that the Buddha Amita ̄bha really lived in Silla. That reflects on the national confidence in accomplishment of unification, and social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at time. But King Kyung-Duck regarded the regin of King Sung-Duck as the ideal and pursued of reinforcement of royal authority. And he built temple for the asceties attained the Buddha Amita ̄bha in the era of King Sung-Duck. That has the retrospective character and shows the limitations of royal authority in the age of King Kyung-Duc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