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聲媛-
dc.creator姜聲媛-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4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치에서 소외된 반역사건과 그 주체 인물들을 「三國史記」에서 발췌종합 · 분석함으로서 정치사를 보다 구조적으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반역은 당시 정치 체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國別 · 時期別 차이점과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本稙의 Ⅱ章과 Ⅲ章에서는 발췌한 반역사건을 國別 · 時期別로 종합, 각기 그 성격 및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Ⅳ장에서는 반역이 사회 변동의 한 요인이 되었다. 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반역전후의 사회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결과 반역사건을 나름대로 4가지 類型 즉, 服屬民 叛亂型, 擺座奪取型, 民亂型, 國家否定型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은 고대국가 초기에는 복속민 반란형, 중기에는 권좌 탈취형 , 말기에는 민란형과 국가 부정형으로 분석되어 시기별 차이와도 비슷한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國刷 반역사건의 성격을 간략히 소개하면, 백제는 首都의 達都에 따른 권력 구조의 변화와 상관 관계를 갖고 반역사건이 발생한다. 그리고 고구려 반역사건의 성격은 왕의 虐政이나 失政과 같은 합리적인 이유를 표면으로 내세우며, 반역 후 그 주체 인물들은 王位가 아닌 실질적인 權速에서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신라는 초기에 복속민 반란을 구실로 영토 확장의 계기를 마련하였고, 諦祿가 實聖을 죽이고 王位에 오른 것을 필두로 신라 반역사건은 왕위 쟁탈전으로 일관되어 발생한다. 그러나 통일 후 王室內의 家系別 왕위 쟁탈전이 치열해짐에 따른 집권층의 동요와 기근으로 인한 사회 불안은 민란으로 확산되어 반역의 주체는 귀족층에서 一般民으로 변화되며, 따라서 반역의 성격도 변질된다. 이 같은 반역사건은 단순한 왕위 교체가 아닌 정치 주도 세력의 변화에 따른 사회 변동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반역으로 불안해진 王位 유지를 위해 對外的으로는, 외교정책의 전환 또는 전쟁을 통한 국민의 정치적 관심을 轉移시켰고, 對內的으로는 儒敦나 佛敎의 理念을 통한 王者의 신성함을 강조하는 정신운동을 전개시켜 나갔다. 특히 반역 후 인사 개편이나 관제 개혁을 통한 왕권 강화는 보편적인 결과로 나타나며, 따라서 반역 사건은 사회 개혁 내지는 사회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실생활의 피폐에서 발생되기 시작한 초기 민란은 호족 세력과 결탁하여 신라의 멸망, 고려의 개국이라는 사회 변질을 초래하게 되었음은 주목할 만하다.;This study proceeded with an aim to structurally reillumi-nate the political history by way of analysis and synthesis of rebellion incidents and the main figures in rebellions, excerpted from Sam-Kuk-Sa-Ki(三國史記), which were the ones alienated from politics. As connection with rebellion had close political system at that time, we found that they showed some points of difference and some common features by country, at different periods. Accordingly, in chapter Ⅱ and Ⅲ we attempted to examine closel)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bellion by country, at different periods, and then in chapter Ⅳ, we looked into changing aspects of a society about the time of a rebellion incident, in order to prove that rebellion made an important factor in bringing about social change. Consequently, the following four types of rebellion were distinguished : submitted people's rebellion type, seize power type, popular uprising type, state-negating type. First, we may briefly introduce the nature of rebellion incidents by country. In Baikje(百濟) , rebellion incidents took place in correlation with the power structural change as Baikje transferent its capital. In Ko-Ku-Ryo(高句麗), the ostensible causes of rebellion were rational ones such as oppre-sion or misrule of a monarch, and main figured exerted enormous substantial power without sitting on throne. Silla(新羅) used submitted people's rebellion as to excuse to expand its teritory Scramble for the throne was a consistent nature of rebellion incidents of Silla, with Nur-Ci's(諦涉) accession to the throne having killed Sil-Sung(實聖) the first on the list. After unification, hower, convert on the part of having stratum due to an ever intensifying scramble for the trone of each family lianage, and people's anxiety caused by famine diffused into a popular uprising, the main body of rebellion shifting from aristocratic stratum to common people, which resulted a change in the nature of rebellion. Rebellions thus not merely made a replacement of the throne but provided a momentum of social change in political leadership in an attempt to maintain the throne weakened by continual rebellion. Silla made a conversion of her foreign policy, activating diplomatic relation with D'ang(唐). While Ko-Ku-Ryo actualized policies solidifying people's concern, by way of external war. Internally, on the other hand, they either advocated Confucianism(儒敎) as political ideology in order to consolidate the throne facing with a crisis because of rebellion, or sought to strengthen the national solidarity through Buddhism to emphasis the sanctity of the throne. We found that particurally, reinforcement of the throne through personel reorgarnization or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was a general conseque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bellion incidents and provide a momentum of social reform or social progress. Finally, it is noticeable that a popular uprising of early period, originated from improverishment of everyday life, brought about a social change of society that is the fall of Silla and founding of Koryo(高麗).-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三國史記」에 叛逆事件 = 4 1. 百濟 = 4 2. 高句麗 = 10 3. 新羅 = 22 Ⅲ. 統一新羅時代의 叛逆事件 = 33 Ⅳ. 三國 및 統-新羅時代 叛逆의 歷史的 性格 = 60 1. 叛逆前後의 社會變化 = 60 2. 叛逆의 政治史的 意義 = 69 Ⅴ. 結論 = 73 參考文獻 = 76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02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삼국시대-
dc.subject통일신라시대-
dc.subject반역-
dc.subject삼국사기-
dc.title三國 및 統一新羅時代 叛逆의 歷史的 性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三國史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Historical Character of the Revolt in Three Kingdoms and United Silla-
dc.format.pagev,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