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2 Download: 0

가사노동에 관한 계급별 사례연구

Title
가사노동에 관한 계급별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DOMESTIC LABOR ACCORDING TO CLASSES : focused on the New Middle Class Family and the Working Class Family
Authors
김영란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가사노동신중간계급가족노동자계급주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개별가구를 단위로 수행되는 가사노동의 의미와 여성억압의 실제를 가사노동과정을 통해서 밝혀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족은 생산양식에 조응하는 경제단위이다. 여성억압의 일차적인 장소로서 가족이 유지·강화되는 것은 가족이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가장 중요한 장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사노동의 본질적인 특성에 관한 설명이 가족의 내부상태와 전체사회구조의 연관하에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을 함축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사노동의 의미와 여성억압의 실제를 한국사회의 자본주의적 성격을 규정하는 계급관계에 따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신중간계급가족과 노동자계급가족 50가구를 선정하여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를 통해 발견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중간계급가족과 노동자계급가족에서 수행되는 가사노동에는 계급적 조건이 반영되어 가사노동의 내용과 작업방식이 계급에 따라 질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상품대체 상황의 차이뿐만 아니라 신중간계급가족에서 가사노동이 보다 정교화되는 경향이 포함된다. 또한 계급적 차이가 가사노동에 대한 주부의 가치평가에 반영되어, 가구주의 사회활동과 관련하여 신중간계급가족주부는 가사노동을 단순육체노동으로 노동자계급가족주부는 사회활동보다 덜 힘든 노동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사노동이 사회적 노동보다 융통성 있게 운영된다는 점, 가족성원에 의한 역할분담 없이 주부에 의해서 수행된다는 점, 그리고 대체상품의 이용보다 주부의 직접적인 노동수행이 일상적이라는 점은 계급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셋째, 가사노동시간은 계급보다 가족주기와 주부의 부업 수행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주부는 계급에 관계없이 여성의 가사노동담당자로서의 지위규정에 동의하며, 가사노동에 대하여 상반된 견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들은 사회 참여를 희망하고 있으나, 신중간계급가족주부의 참여는 실현 불가능할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가계소득을 위한 경제활동 참가를 희망하는 노동자계급가족주부의 참여는 기혼여성노동의 증대추세에 따라 실현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계급간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측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지적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시사를 주고 있다. 가사노동은 성별노동분업의 원리를 반영하여 여성억압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가사노동에는 가족이 근거로 하는 계급적 차이가 반영되어 노동자계급가족에서는 가사노동이 저임금에 효율적으로 적응하는 노동력 재생산으로서, 신중간계급가족에서는 보다 우수한 노동력 재생산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가사노동과정에는 계급뿐만 아니라 가족주기, 주부의 부업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ify the meaning of domestic labor which is performed in the individual households and the reality of women's oppression through the domestic labor process. In the capitalist society, family is the economic unit corresponding to the mode of production. As the primary place of women's oppression, the family is keeped and reinforced because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locus of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t implicates that the essential feature of domestic labor must be explain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nner state of family and the whole social structure. Accordingly,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omestic labor and the reality of women's oppression according to class relations which determine the capitalistic character of Korean society. In this research, 50 housewives among the new middle class and the working class families residing in Seoul were compared b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cording to which class they belong to, it shows a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domestic labor and the ways of work. Not only the differences of the situation in the commodity substitution but the domestic labor in the new-middle class families have a tendency to become more elaborately. Furthermore, the new middle class housewives regard domestic labor as simple manual labor. Conversely, the working class housewives consider domestic labor as less harder than husband's social one. Second, the domestic labor time shows a differences due to the family life cycle and whether housewives perform a side line rather than class. Third, regardless of classes differential, housewives agree on the status definition as a householder and have contradictory views about domestic labor. Housewives hope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it seems that while new middle class housewives' hope for that, focused on self-realization, can not be realized, considering the tendency of increase of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orking class housewives' hope for economic participation can be rea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lend this investigator several implications. The domestic labor reflecting the principle of sexual division of labor have impact on the important mechanism of the women's oppression. The domestic labor is reflected in the class difference based on the family. For the working class families, the domestic labor has a meaning of the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n order to adjust effectively low wages. On the other hand, it regards as the excellent reproduction of labor power in the new middle class families. The process of the domestic labor has affected by the family life cycler classes and side line of housew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