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孝卿-
dc.creator鄭孝卿-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50-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도시 환경은 급속한 산업사회지향의 발전형태에 따른 도시화(urbanization)의 과정으로 인하여 미적, 인간적 측면에서 볼 때 점차로 황폐화되어 가고 있다. 예컨대, 인구가 과밀해지면서 생태계의 균형은 깨지고, 토지의 부족으로 인해서 녹지는 부족해지며, 교통의 혼란과 대기의 오염은 각종의 공해를 유발하여 도시는 병들어가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작용할 수 있는 정서적이고도 심리적인 여유를 주는 공간의 필요성이 점고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의 절대 부족에 수반한 지가상승으로 말미암아 만족할 만한 공간의 확보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나의 환경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본 논문에서는 토지 및 공간이용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지하공간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도시내에 절대 부족한 보편적인 문화공간을 마련함을 대상으로 하여 계획하였다. 연구대상으로서의 디자인은 미래에 대한 학문으로서, 그것은 사회적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한 사전계획과 창조과정을 통하여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은 인간-환경관계(men-environment relation)를 바탕으로 한 인간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서 공간에너지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환경의 인간화를 달성하고 환경문제에 새로운 비젼(vision)을 제시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토지에 대한 활용은 자연자원의 활용이며, 그것은 곧 자연정보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토지에 대한 활용은 공간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문제로서, 오늘날 기술산업발달, 도시화의 과정등으로 인해 토지 부족에서 오는 문제가 심각한 도시환경에서는 공간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효율성의 제고가 높아가고 있다. 따라서 토지 이용도를 높히기 위해서 점차적으로 지하공간에 대한 활용방안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인간-환경관계'에서의 환경적 정보조절을 통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긍정적 행위와 심리적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또한 도시환경의 인간화와 인간생활의 질적 향상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 논문을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1.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2. 지하문화공간 계획을 위한 일반적 배경을 선정하여 문화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지하공간활용에 대한 필요성 및 지하공간계획시에 필요한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문제를 고찰하였다. 3. 지하문화공간 디자인의 환경론적 해석을 통해서 연구의 목적 및 디자인에 대한 환경론적 이해의 맥을 갖도록 하였다. 1) 환경론의 기본맥락속에서 인간행태와 생태학적 입장을 고찰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디자인의 방향에 대한 배경을 기술하였다. 2) 환경에 대한 이해의 틀을 환경지각의 Gestalt 이론으로 고찰하여 공간지각 및 형태지각에 대한 원리를 살펴보았다. 3) '환경-인간상호관계'에서의 환경에 대한 철학적 지각을 바탕으로 하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을 하였다. 4. 조사된 문헌자료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하여 합리적인 디자인 과정에 따라 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을 제안하였다. 1) 디자인의 주안점은 환경개념을 배경으로한 실내환경디자인에 두었다. 2) 정보체계로서의 환경을 조절하는 디자인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지하문화공간 디자인을 구체화하였다. 3) 한국의 고유한 이미지 특징을 나타내주는 공간이 되도록 디자인 하였다. 4) 디자인의 적합성 여부는 객관적인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며, 사회적 실제적 미적가치의 측면에서 적합성의 판단과 평가 기준으로 제시되는 조형적 내용을 검토하였다. 5. 지하문화공간은 자원으로서의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과, 또한편 인간에게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생활 환경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으로 크게 요청되는 문제로 보았으며, 그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의 대안을 제시하였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w vision of environment and to attain the humanization of it through making the efficient use of the space energy. To utilize a land is to make the best use of the natural resources,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e aspect of utilization of natural information ; that is, utilization of space energy as the insufficiency of land is the serious problems in the urban areas. Therefore the practical use of underground space is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imited land. On the other hand the urban environment of nowadays is being in a ruinous condition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overpopulated city, which break the balance of the natural world and being about not only heavy traffic but the air pollution owing to the lack of greenbelt. So the space for rest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s urgently required.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is presented a plan of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for the insuffient cultural space of the urban area with the positive use of the limited land. It is the purpose of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design to improve the human life and to humanize the urban environment so that it can gratify us psychologically by the informational control of environment in the relation between men and environment. The process of this study on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design is as follows : 1) The aim and scope of this study is revealed. 2) The conception of the cultural space presented in this study is defined establishing the general background for a plan of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and the necessity of the use of it. In addition to this are investigated the general and technical problems required in planning it. 3)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design of environment are shown previous to the practice of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design. (a)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background of the tendency to the underground space design are explained, examining a Gestalt and the ecological position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 (b) By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 through a Gestalt theory of environmental are discussed the basic principle on the perception of space and a Gestalt. (c) The interpretation of environment is made by the approach of phenomenology, based on the philosophical perception on the environment in the interrelation of men and environment. 4)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design is proposed through the rational process of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amined documentary records. (a) The conception of design which controls the environment as an informational system is defined and the theory of design is taken a definite form on the basis of the aforesaid theoretical background. (b) The suitability of the design is evaluated by a objective criterion and is estimated as suitable in the respect of social, practical, aesthetic value. 5)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is showed as the alternative greatly required in the aspect of the offer of more improved environment to the human be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 2 1.3 연구의 방법 = 3 1.4 용어의 정의 = 4 2. 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을 위한 일반적 배경 = 7 2.1 문화공간의 개념 및 필요성 = 7 2.1.1 문화공간의 개념 = 7 2.1.2 문화공간의 사회적 필요성 = 9 2.2 지하공간 활용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0 2.2.1 지하공간의 형성배경 및 사회적 필요성 = 10 2.2.2 지하공간의 역사적 배경 및 현황 = 12 2.2.3 지하공간의 유형 및 특성 = 17 2.2.4 지하문화공간 계획을 위한 공법 = 20 2.2.5 지하문화공간 계획시의 고려사항 = 22 3. 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의 해석을 위한 관련이론 = 29 3.1 환경론의 개념 = 30 3.2 인간행태와 생태학적 입장 = 34 3.3 Gestalt 이론에서의 고찰 = 43 3.4 현상학적 입장에서의 고찰 = 48 4. 지하문화공간 디자인 과정 및 제안 = 53 4.1 디자인의 개념정의 및 과정 = 53 4.1.1 디자인의 개념정의 = 53 4.1.2 디자인 과정 = 57 4.2 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을 위한 계획방향 = 60 4.2.1 계획방향 = 60 4.2.2 외부환경계획 = 67 4.3 건축적 형태 도출 및 공간계획 = 71 4.3.1 건축적형태의 기본개념 = 71 4.3.2 공간계획과 디자인 = 73 4.4 실내환경디자인 = 96 4.4.1 광장(Plaza) = 98 4.4.2 레스토랑 = 108 4.4.3 갤러리 = 112 4 4.4 영상전시공간 = 116 4.4.5 마감재료계획 = 119 4.5 종합 및 평가 = 120 5. 결론 = 122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510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하문화공간-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건축형태-
dc.subject장식미술-
dc.title지하문화공간 환경디자인 및 그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and its Courses of the Underground Cultural Space-
dc.format.page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